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

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원준, 鄭元準, 1970-, 저 김대욱, 1979-, 저 윤호영, 저 이형민, 李炯敏, 1978-, 저 박진우, 저 김동성, 저 손영곤, 저 전홍식, 저 천용석, 저 정유미, 저 박종구, 朴鐘九, 1970-, 저
Title Statement
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 = Big data research methods and applications / 정원준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0  
Physical Medium
298 p. : 삽화, 도표 ; 24 cm
Series Statement
KAS 광고지성총서 ;09
ISBN
9788999720093
General Note
공저자: 김대욱, 윤호영, 이형민, 박진우, 김동성, 손영곤, 전홍식, 천용석, 정유미, 박종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5-293)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1452
005 20230901170327
007 ta
008 220718s2020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20093 ▼g 93320
035 ▼a (KERIS)BIB000015453219
040 ▼a 247017 ▼c 247017 ▼d 211009
082 0 4 ▼a 659.10285 ▼2 23
085 ▼a 659.10285 ▼2 DDCK
090 ▼a 659.10285 ▼b 2020
245 0 0 ▼a 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 = ▼x Big data research methods and applications / ▼d 정원준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0
300 ▼a 298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90 1 0 ▼a KAS 광고지성총서 ; ▼v 09
500 ▼a 공저자: 김대욱, 윤호영, 이형민, 박진우, 김동성, 손영곤, 전홍식, 천용석, 정유미, 박종구
504 ▼a 참고문헌(p. 275-293)과 색인수록
700 1 ▼a 정원준, ▼g 鄭元準, ▼d 1970-, ▼e▼0 AUTH(211009)99511
700 1 ▼a 김대욱, ▼d 1979-, ▼e▼0 AUTH(211009)118851
700 1 ▼a 윤호영, ▼e
700 1 ▼a 이형민, ▼g 李炯敏, ▼d 1978-, ▼e▼0 AUTH(211009)155544
700 1 ▼a 박진우, ▼e
700 1 ▼a 김동성, ▼e
700 1 ▼a 손영곤, ▼e
700 1 ▼a 전홍식, ▼e
700 1 ▼a 천용석, ▼e
700 1 ▼a 정유미, ▼e
700 1 ▼a 박종구, ▼g 朴鐘九, ▼d 1970-, ▼e▼0 AUTH(211009)23630
830 0 ▼a KAS 광고지성총서 ; ▼v 09
940 ▼a 광고지성총서 ; ▼v 09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9.10285 2020 Accession No. 1118670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과거에는 분석하기 어려웠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필연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 광고 기술을 넘어서』는 데이터 안에 숨겨져 있는 네트워크 구조와 이용자의 행동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정확도 높은 실질적인 인간의 심리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광고 PR 영역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연결과 융합의 차원에서 더욱 진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실질적인 연구 및 실무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책을 광고 PR 영역의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어젠다로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빅데이터, 초연결성과 네트워크 등은 4차 산업혁명을 대변하는 핵심적인 키워드이다. 이들은 컴퓨터 기반의 데이터 분석과 함께 광고 PR의 학문적·실무적 영역에서도 통용되고 있다. 학문적으로 빅데이터를 분석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양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실무적으로도 실무자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광고이용자 분석과 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 집행한다.
과거에는 분석하기 어려웠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다양한 속성을 포함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필연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나아가 그 데이터 안에 숨겨져 있는 이용자들 간의 네트워크 구조와 이를 통해 이용자의 행동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정확도 높은 실질적인 인간의 심리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지평이 날로 확장되고 있다.
광고 PR 영역은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연결과 융합의 차원에서 더욱 진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책을 통하여 실질적인 연구 및 실무 사례를 바탕으로 광고 PR 영역의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어젠다를 제공하고자 한다.
빅데이터란 아날로그 환경에서의 데이터에 비해 생성되는 주기가 짧은 수치 데이터와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현시대의 빅데이터는 생성되고 축척되는 방대한 용량을 포함한 데이터 자체뿐만 아니라 이를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과 조직, 기술을 포괄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빅데이터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과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총칭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 책을 통하여 미래 광고 PR 영역의 역군이 될 독자들이 데이터 기반 시대에 데이터가 제시하는 통찰력과 대응력을 제공받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종구(지은이)

현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으로 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와 산업정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동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정보전략(ISP) 컨설턴트와 한국연구재단-서강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거쳤다. 저서로는 『뉴미디어 채택이론』(201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2018, 공저),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2019, 공저), 『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2020, 공저), 『광고의 미래 넥스트 10년』(2021, 공저)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TV방송콘텐츠에 대한 인터넷반응은 TV시청률의 보완지표인가, 대체지표인가?」(≪커뮤니케이션이론≫, 2018), 「방송산업 수요기반 공공데이터 조성에 관한 시론」(≪방송통신연구≫, 2019), 「광고산업의 포용적 성장을 위한 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 조성 방안」(≪광고학연구≫, 2020) 등이 있다.

정원준(지은이)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PR학 전공 교수이다. 연세대학교(B.S.), Illinois State University(M.A.) 그리고 Purdue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학과에서 PR학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Louisiana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세부 연구 분야는 국정 PR, 정부·정책 PR, 빅데이터 분석 기반 공공PR, 투자자 관계(IR), 지역 관계, 이슈·위기·쟁점·갈등 관리, 국제 PR 등이다. 저서로『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공저, 학 지사, 2021),『빅데이터의 분석 방법과 활용』(공저, 학지사, 2020),『광고홍보 교육의 현재와 미래』(공저, 한경사, 2019),『디지털 사회와 PR 윤리』(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정책 PR론』(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고, 국내외 다수의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이형민(지은이)

윤호영(지은이)

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조교수(2019-) 서울시립대학교 융합전공학부 객원교수(-2019)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 학사(2019) 위스콘신대학교 언론학 박사(2017) 일리노이대학교 사회학 박사과정 3년 마침(2008)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2005)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2002) 저서: 『비주얼 저널리즘』 등 저·편서 5권 논문: 「방송 뉴스가 재현하는 성범죄 피해 여성 이미지에 대한 키프레임 분석: 가상물, 자료화면을 통한 피해자다움의 재생산과 익명-실명 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등 SCI(E), SSCI, KCI 논문 32건

김대욱(지은이)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수

김동성(지은이)

손영곤(지은이)

전홍식(지은이)

천용석(지은이)

정유미(지은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발간사
머리말

제1장 광고PR분야에서 빅데이터의 의의와 활용방안

제2장 비정형 덱스트 데이터 분석

제3장 의미연결망 분석

제4장 소셜 네트워크 분석

제5장 소셜미디어 분석

제6장 메타분석의 이해와 활용

제7장 컨조인트 분석

제8장 옥외광고 효과 측정 기법

제9장 빅데이터 활용에서 개인정보 침해와 보안 및 윤리

제10장 광고와 데이터 사이언스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