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탄잘리교 : 박유하 시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유하
서명 / 저자사항
탄잘리교 : 박유하 시집 / 박유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천년의시작,   2022  
형태사항
140 p. ; 21 cm
총서사항
시작시인선 ;0411
ISBN
9788960216150 9788960210691 (세트)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1314
005 20220715104824
007 ta
008 220714s2022 ulk 000cp kor
020 ▼a 9788960216150 ▼g 04810
020 1 ▼a 9788960210691 (세트)
035 ▼a (KERIS)BIB000016237765
040 ▼a 225013 ▼c 225013 ▼d 211009
082 0 4 ▼a 895.715 ▼2 23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박유하 탄
100 1 ▼a 박유하
245 1 0 ▼a 탄잘리교 : ▼b 박유하 시집 / ▼d 박유하 지음
260 ▼a 서울 : ▼b 천년의시작, ▼c 2022
300 ▼a 140 p. ; ▼c 21 cm
490 1 0 ▼a 시작시인선 ; ▼v 0411
830 0 ▼a 시작시인선 ; ▼v 041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박유하 탄 등록번호 1513602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시작시인선 412권. 박유하 시인의 첫 시집. 시인은 세계에 대한 나의 인식과 세계라는 실재가 불일치하는 순간에 대해 노래한다. 박유하의 시에는 인식을 확신하는 타자와 그 확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는 ‘나’가 등장하며, 시종일관 ‘나’와 세계가 불일치하는 다양한 국면들을 시로 형상화한다.

한편 시적 화자는 의도적으로 명료함을 벗어나 주체가 인식할 수 없는, 그래서 뭐라 말해야 할지 모르는 현상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시인은 인식할 수 없는 모든 우연을 ‘허공’으로 명명한다. 이번 시집에는 ‘허공’이라는 시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시인에게 허공은 불분명하기에 자유로운 세계로 인식된다. 시인은 현실과 꿈의 중간쯤에서, 인식과 착란 사이 어딘가에서 시적 주체가 타자들과 함께 부유하고 있는 허공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박유하 시인의 첫 시집 『탄잘리교』가 시작시인선 0411번으로 출간되었다. 시인은 1987년 충남 논산 출생으로 2012년 『내일을여는작가』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탄잘리교』에서 시인은 세계에 대한 나의 인식과 세계라는 실재가 불일치하는 순간에 대해 노래한다. 박유하의 시에는 인식을 확신하는 타자와 그 확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는 ‘나’가 등장하며, 시종일관 ‘나’와 세계가 불일치하는 다양한 국면들을 시로 형상화한다. 한편 시적 화자는 의도적으로 명료함을 벗어나 주체가 인식할 수 없는, 그래서 뭐라 말해야 할지 모르는 현상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시인은 인식할 수 없는 모든 우연을 ‘허공’으로 명명한다. 이번 시집에는 ‘허공’이라는 시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시인에게 허공은 불분명하기에 자유로운 세계로 인식된다. 시인은 현실과 꿈의 중간쯤에서, 인식과 착란 사이 어딘가에서 시적 주체가 타자들과 함께 부유하고 있는 허공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그곳은 대상과 의미, 확신과 의심, 의식과 무의식 등이 어우러져 묘한 긴장감을 이끌어 낸다. 요컨대 시인은 우리에게 경험을, 경험의 산물인 인식을, 인식을 통해 형성된 세계를 의심하라고 말한다. 나아가 ‘나’라는 자기 존재마저도 부정하고 의심할 것을 촉구한다. 해설을 쓴 이병철(시인, 문학평론가)은 이번 시집에 대해 “그녀는 세계와 ‘나’가 불화함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기꺼이 삼켜 제 안에서 더 크고 깊게 키워 내는 시인”이라 평했으며, 추천사를 쓴 이혜원(문학평론가, 고려대 교수)은 “시인은 호접몽 속의 나비와 자신을 달리 구분하지 않고 오히려 나비가 되어 자신을 황홀하게 바라볼 줄 아는 자”이며,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를 확장하며 존재의 변환을 시도한다”고 평했다. 이처럼 박유하의 시가 매력적인 이유는 시인이 ‘균열’을 사랑하는 시인이기 때문이다. 시인은 세계의 모든 것을 의심하고 부정하면서 인식의 균열, 일상성의 균열, 관념과 의미의 균열을 도모한다. 궁극적으로 꿈과 현실의 균열을 파고들어 자신의 감각에 집중함으로써, 시인은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유하(지은이)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이야기 시를 실험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자연스러운 변형’과 ‘그러할 수밖에 없는 생성’의 목격자로 살고 있다. 저서로 『탄잘리교』『현대시에 나타난 영상적 표현 연구』가 있다. 인스타 ID : park_youhaa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시인의 말

방청객 11
방 거래 14
폭발 사건 16
여덟 살 18
또다시 나비처럼 20
몸 안의 기후 21
귀가 22
민들레 꽃씨 24
눈물점 26
이상한 고장 27
색감色感 28
교주 30
고양이 안테나 32
일식 34
물의 일기 35
접시 주인 36
표류인 38
추격전 40
패턴 41
늙은 소파의 귀 42
푸른 사과 43
딱 44
몰타 45
움나뮈푸데 46
테두리 48
희비 50
팽위의 사람들 52
관광객 54
모티바 56
비린내 58
방언 60
회복력 62
허우풍 마을 사람들 63
달리는 동상 64
목요 예배 66
사각의 방 67
탄잘리교 68
105번 버스 70
투라 71
우라마토 72
없는 방 73
울렁증 76
모기향 78
라파토라스 80
아나투스 82
아르나 84
아스라한 나무 아래 85
안마 88
기다란 상자 90
무언의 관계 91
너머에서 92
호흡의 흡 94
더블 96
타인의 방 98
상월의 정류停流 100
겨울의 귀 101
소음들 102
숨 놀이 104
리셋 106
가짜 음식 108
숨바꼭질 110
외출 112
횡단 114
방문 116
화분 118
해후 120
쥐들의 왕국 122
늦잠 124
점집 126
벽의 꿈속 128

해설
이병철 빛나는 의심, 눈부신 균열 129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