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임진왜란과 정기룡, 후대의 기억 : 충의공 정기룡 장군 400주기 추모 학술대회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노영구, 盧永九, 1967-, 저 이상훈, 저 제장명, 1960-, 저 윤정, 尹晶, 1970-, 저 이대화, 李大和, 1972-, 저 이해준, 李海濬, 1953-, 저
서명 / 저자사항
임진왜란과 정기룡, 후대의 기억 : 충의공 정기룡 장군 400주기 추모 학술대회 / [노영구 외]
발행사항
파주 :   경인문화사,   2022  
형태사항
270 p. : 삽화 ; 23 cm
ISBN
9788949966465
일반주기
기획: 한국역사민속학회, 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공저자: 이상훈, 제장명, 윤정, 이대화, 이해준  
감수: 정창원, 이대화, 한미라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명(개인명)
정기룡,   1562-162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1088
005 20220713174212
007 ta
008 220711s2022 ggka b 000c dkor
020 ▼a 9788949966465 ▼g 93910
035 ▼a (KERIS)BIB000016281663
040 ▼a 247017 ▼c 247017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53 ▼2 DDCK
090 ▼a 953.0553 ▼b 2022z1
245 0 0 ▼a 임진왜란과 정기룡, 후대의 기억 : ▼b 충의공 정기룡 장군 400주기 추모 학술대회 / ▼d [노영구 외]
260 ▼a 파주 : ▼b 경인문화사, ▼c 2022
300 ▼a 270 p. : ▼b 삽화 ; ▼c 23 cm
500 ▼a 기획: 한국역사민속학회, 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500 ▼a 공저자: 이상훈, 제장명, 윤정, 이대화, 이해준
500 ▼a 감수: 정창원, 이대화, 한미라
504 ▼a 참고문헌 수록
600 1 4 ▼a 정기룡, ▼d 1562-1622
700 1 ▼a 노영구, ▼g 盧永九, ▼d 1967-, ▼e▼0 AUTH(211009)31708
700 1 ▼a 이상훈, ▼e
700 1 ▼a 제장명, ▼d 1960-, ▼e▼0 AUTH(211009)34981
700 1 ▼a 윤정, ▼g 尹晶, ▼d 1970-, ▼e▼0 AUTH(211009)46525
700 1 ▼a 이대화, ▼g 李大和, ▼d 1972-, ▼e▼0 AUTH(211009)1735
700 1 ▼a 이해준, ▼g 李海濬, ▼d 1953-, ▼e▼0 AUTH(211009)50896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53 2022z1 등록번호 1118667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22년은 정기룡 장군 서거 400주년이면서, 임진왜란 발발 430주년이다. 역사적으로 기념해야 할 뜻깊은 시기에 하동군 및 사단법인 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그리고 한국역사민속학회에서 개최한 정기룡 장군 추모 학술대회의 발표와 토론문을 엮었다.

순국 400주년에 충의공 업적을 다시금 되새겨 본다

2022년은 정기룡 장군 서거 400주년이면서, 임진왜란 발발 430주년이다. 역사적으로 기념해야 할 뜻깊은 시기에 하동군 및 사단법인 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그리고 한국역사민속학회에서 정기룡 장군 추모 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본서는 추모 학술대회의 발표와 토론문을 엮은 책이다. 1부 주제는 ‘임진왜란과 충의공 정기룡’으로 임진왜란기 육지전투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재고하고, 임진·정유재란기 정기룡 장군의 활약과 전공을 조명한다. 이어서 2부 주제는 ‘후대의 역사해석과 기억’으로 영·정조 시기 임진왜란기 활약한 인물에 대한 기억을 상기하고, 동시에 근현대시기 정기룡 장군의 현창 과정을 고찰한 후, 향후 지역사회의 기념사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 종합토론에서는 원로학자분들과 전공 선생님을 모시고 학술대회에서 드러난 쟁점들을 자유롭게 논의함으로써, 정기룡 장군에 대한 평가를 심화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해준(지은이)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목포대, 공주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 역사문화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을 지냈다. 주요저서로는 『조선시기 촌락사회사』(1996, 민족문화사), 『역사속의 전라도』(1999, 다지리), 『지역사와 지역문화론』(2001, 문화닷컴), 『충남의 역사와 정신』(2006,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2008, 경인문화사), 『전통문화와 생활문화』(2011, 방송통신대출판부, 공저) 등이 있다.

노영구(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동 대학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부장 등을 거쳐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한국 전근대 전쟁 및 군사사 등 분야에서 『한국군사사』7(경인문화사, 2012), 『영조 대의 한양 도성 수비 정비』(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조선중기 무예서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조선후기의 전술』(그물, 2016), 『연병지남ㅡ북방의 기병을 막을 조선의 비책』(아카넷, 2017),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경기문화재단, 2018), 『한양의 삼군영』(서울역사박물관, 2019)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연구 논문 및 정책보고서 등을 발표하였다. 한국역사연구회, 문헌과 해석, 한국군사사학회 등의 학회 활동과 함께 일본 防衛硏究所 戰史硏究센터 객원연구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하였다.

제장명(지은이)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소장입니다. <이순신 전문가>로 이순신 연구와 강의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주요 교육 기관에서 이순신 정신과 리더십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제장명 소장님은 20년간 해군 <충무공리더십센터>와 해군사관학교에서 이순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종사해 왔습니다. 부산대학교대학원에서 한국사를 전공하여 <정유재란 시기 해전과 조선 수군 운용>을 주제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경상남도 <이순신 프로 젝트> 역사고증자문위원과 <난중일기 세계기록 유산> 등재 시 집필위원을 맡는 등 이순신 선양과 세계화 사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왔습니다. 『충무공 이순신』(2004), 『이순신 파워인맥 : 7년전쟁을 승리로 이끌다』(2008), 『경남의 임진왜란사』(2009), 『이순신 백의종군』(2011), 『이순신 파워 인맥 33』(2012), 『이순신 파워인맥, 이순신을 만든 사람들』(2018) 등을 집필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이순신 유적지 전반을 소개한 『충무공 이순신의 흔적을 찾아서』(2018)를 출간하였으며, 관련 논문 40여 편을 주요 학술지에 발표하였습니다. 이순신 연구 활동과 함께 최고의 <이순신 전문가>로 신문 및 TV 등을 통해 이순신과 이순신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1TV의 <역사추적>과 <역사스페셜>, SBS-TV <거북선 스페셜>, 아리랑 TV 등에 출연하였으며, 잡지와 일간지 등에 기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윤정(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조선 중종 전반기 ‘훈구’ 계열의 경제정책」으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18세기 국왕의 ‘문치’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현재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깊이 있는 역사 인식을 갖춘 초등학교 선생님들을 길러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 논문에 「영조의 경희궁 개호와 이어의 정치사적 의미 : 사도세자 사사와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 「인조대 ‘새문동왕기’설 생성의 정치사적 의미 : 경덕궁의 역사적 연원에 대한 고찰」, 「태종 18년 개성 이어와 한양 환도의 정치사적 의미 : 양녕대군 세자 폐립과 세종 즉위과정에 대한 공간적 이해」 들이 있다.

이대화(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민속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일본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외국인공동연구자를 거쳐 현재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현대 한국의 일상생활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인, 어떤 집에서 살았나』(공저), 『한국인, 어떤 옷을 입고 살았나』(공저), 『제국 일본의 하늘과 방공, 동원』(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 「한국사 연구에서 ‘접경 지대’ 연구 가능성의 시론적 검토」, 「1930년대 “科學館報”에 나타난 ‘과학 기술’의 표상과 특징」(공저), 「戦時期国民防空指針書の刊行と朝鮮における普及」, 「1930年代 前半期 朝鮮의 ‘防空政策’ 宣傳 普及」 등이 있다.

이상훈(지은이)

육군박물관 부원장

한국역사민속학회(기획)

한국역사민속학회는 1990년 3월 다양한 분야의 소장학자들이 모여 일제강점기 국학의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분과학문의 장벽을 넘어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창립되었습니다. 우리 학회는 지배계층이 아닌 ‘民’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오랫동안 영위했던 생활양식인 ‘俗’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역사 문헌적인 분석과 현장조사를 융합한 종합적 연구를 추구해 왔습니다. 이러한 취지에서 학회 운영 역시 역사학, 민속학, 국문학, 문화인류학, 종교학, 예술학 등 여러 학문 분과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세대와 전공을 초월한 학문적 연대를 통해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사회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기획)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서부경남 일대에서 불퇴전의 기록으로 바다의 이순신 장군에 빗대 ‘육전(陸​戰)의 명장’으로 일컬어지는 충의공(忠毅公) 정기룡(鄭起龍, 1562∼1622)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는 2017년 11월 1일 하동군에서 창립총회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기념사업회는 그간 장군의 현창사업을 주도하던 경충사유지관리위원회를 근간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제2대 문찬인 회장을 중심으로 숭모제 거행, 관련자료의 발간, 기마동상건립 추진 등 충의공의 현창사업에 적극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개회사 _ 차인배,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축?사 _ 문찬인,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제1부 임진왜란과 충의공 정기룡
임진왜란 초기 육전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_ 노영구, 국방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 초기 양상(1592년 4월~6월)?
Ⅲ. 임진왜란의 국면 전환과 조선군의 반격(1592년 7월~8월)?
Ⅳ. 일본군의 새로운 전략의 모색과 좌절(1592년 9월~10월)?
Ⅴ. 맺음말

정기룡 장군의 出仕와 임진왜란 중의 활약 검토 _ 이상훈, 육군박물관 부관장
Ⅰ. 머리말
Ⅱ. 정기룡의 성장과정과 출사
Ⅲ. 임진왜란의 발발과 참전?
Ⅳ. 임진왜란기 활동의 평가
Ⅴ. 맺음말?

정유재란 시기 정기룡의 활동과 역사적 평가 _ 제장명,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장
Ⅰ. 머리말?
Ⅱ. 정유재란 초기 전황과 정기룡의 활동
Ⅲ. 사로병진작전과 정기룡의 조명연합 활동?
Ⅳ. 정기룡의 활동에 대한 전쟁사적 의미와 평가?
Ⅴ. 맺음말

제2부 후대의 역사해석과 기억
영조대 이순신 사적 현창의 정치사적 의미 _ 윤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Ⅱ. 영조대 사적정비의 양상과 특징
Ⅲ. 戊申亂에 따른 忠逆의리의 재정비?
Ⅳ. 맺음말?

임진왜란 역사인물 현창에 관한 연구 _ 이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하동지역 충의공 정기룡의 사례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정기룡 현창사업과 의미?
Ⅲ. 일제강점기 정기룡 현창사업의 양상?
Ⅳ. 일제강점기 현창사업의 의미: 역사지식 대중화
Ⅴ. 맺음말?

지역 역사인물 기념사업의 방향과 과제 _ 이해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 하동 정기룡 장군 선양사업과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하동의 역사인물 충의공 정기룡?
Ⅲ. 지역 역사인물 선양의 기본 방향
Ⅳ. 역사인물 연구·계승·활용 방안
Ⅴ. 맺음말?

토론
개인 토론문
Ⅰ. 토론문 _ 김성채, 하동군청 학예연구사?
Ⅱ. 토론문 _ 김회룡, (사)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학술홍보위원장
Ⅲ. 토론문 _ 문찬인,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장?
Ⅳ. 토론문 _ 박경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명예교수?
Ⅴ. 토론문 _ 임학성,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

종합 토론

관련분야 신착자료

조원창 (2023)
정연식 (2023)
여인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