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0806 | |
005 | 20220708095249 | |
007 | ta | |
008 | 220706s202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90901833 ▼g 94300 | |
020 | 1 | ▼a 9791187430520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235866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 ▼2 23 |
085 | ▼a 303.482 ▼2 DDCK | |
090 | ▼a 303.482 ▼b 2022z4 | |
245 | 0 0 | ▼a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 ▼d 배진숙 [외] |
260 | ▼a 서울 : ▼b 앨피, ▼c 2022 | |
300 | ▼a 389 p. : ▼b 삽화, 도표 ; ▼c 22 cm | |
490 | 1 0 | ▼a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 ▼a Mobility humanities assemblage ; ▼v 12 |
500 | ▼a 공저자: 정채연, 김경민, 이용균, 이은정, 김은하, 정은혜, 정의철, 정미영, 김숙현, 김재기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8S1A6A3A03043497) | |
700 | 1 | ▼a 배진숙, ▼g 裵眞婌, ▼d 1976-, ▼e 저 |
700 | 1 | ▼a 정채연, ▼g 丁彩姸, ▼d 1983-, ▼e 저 ▼0 AUTH(211009)136558 |
700 | 1 | ▼a 김경민, ▼d 1981-, ▼e 저 |
700 | 1 | ▼a 이용균, ▼g 李鏞均, ▼d 1966-, ▼e 저 ▼0 AUTH(211009)101675 |
700 | 1 | ▼a 이은정, ▼g 李垠姃, ▼d 1975-, ▼e 저 ▼0 AUTH(211009)74709 |
700 | 1 | ▼a 김은하, ▼g 金銀河, ▼d 1969-, ▼e 저 ▼0 AUTH(211009)63786 |
700 | 1 | ▼a 정은혜, ▼g 鄭恩惠, ▼d 1976-, ▼e 저 ▼0 AUTH(211009)44639 |
700 | 1 | ▼a 정의철, ▼d 1968-, ▼e 저 ▼0 AUTH(211009)43862 |
700 | 1 | ▼a 정미영, ▼g 丁美暎, ▼d 1971-, ▼e 저 ▼0 AUTH(211009)38712 |
700 | 1 | ▼a 김숙현, ▼g 金淑賢, ▼d 1965-, ▼e 저 |
700 | 1 | ▼a 김재기, ▼d 1967-, ▼e 저 |
830 | 0 | ▼a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 ▼v 12 |
830 | 0 | ▼a Mobility humanities assemblage ; ▼v 1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2 2022z4 | 등록번호 1118666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모빌리티 시대 이동성 증가에 따른 불안의 증가와 공동체의 다양한 재편성,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과 권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최근 한국 사회는 난민·무슬림을 비롯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외국인의 입국이 증가하면서 일반인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이 경계심과 위협감으로 변모해 가고 있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 제노포비아xenophobia의 민낯이 더욱 여실히 드러났다.
코로나19 사태로 공적 마스크, 긴급재난지원금을 분배하며 ‘국민’이 아니라는 이유로 외국인 주민을 배제한 것도 이들에 대한 배타적 태도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대안적 윤리와 공동체, 도시공간의 바람직한 형성 방안을 모색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의철(지은이)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다.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소통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2022, 공저),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2021, 공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건강: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분석과 대안 모색>(2020, 교육부·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논문으로 <지역방송 저널리즘 강화와 해결지향 저널리즘의 역할>(2022), <자기민속지학을 통한 자가격리 이야기 방역소통 성찰과 대안 탐색>(2022), <감염병 위기 속 ‘시민됨’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성찰>(2021),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2021) 등이 있다.
김숙현(지은이)
동국대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이론적-실천적 층위에서 연극 기반의 예술치료에 관심을 두고, 다문화 가족을 위시한 여러 소외된 이들과 자전적 공연을 만들고 있다. 『회상연극』(2019, 공역),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2022, 공저) 등을 출간했다.
정미영(지은이)
동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경희대 신문방송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상 관련 제작, 1인 크리에이터, 라이브커머스, 라이브중계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스피치와 프레젠테이션》이 있다.
이용균(지은이)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빌리티, 이주(인구), 개발, 세계지리에 관심을 갖고 관련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글로벌 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가 있고, 옮긴 책으로 《공간을 위하여》(공역), 《국가・경계・질서》(공역), 《이주》(공역) 등이 있다.
김은하(지은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가르치고, 한국 여성작가와 여성문학에 대해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 『개발의 문화사와 남성 주체의 행로』(국학자료원, 2016), 『실격의 페다고지』(공저, 여이연, 2022),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공저, 민음사, 2018) 등이 있다.
김경민(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서강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시적 정의와 인권》, 《문학으로 읽는 나의 인권감수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한국 문학이 아시아와 마주하는 법〉, 〈근대 여성 여행자의 글쓰기〉, 〈국가폭력의 가해자를 재현하는 문학의 역할〉 등이 있다.
정채연(지은이)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대우부교수. 고려대에서 법학사·법학석사 및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뉴욕대 로스쿨에서 LL.M.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뉴욕주 변호사이다.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의 연구조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법의 딜레마》(공저, 2020), 《법학에서 위험한 생각들》(공저, 2018) 등이 있다.
정은혜(지은이)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2021),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2022) 외 다수
배진숙(지은이)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2019),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김재기(지은이)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서로 《만주와 코리아스포라》, 《세계한인 디아스포라와 모국관계》(공저), 《세계한인 디아스포라의 귀환현상과 지원정책》(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재외한인의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러시아한인 디아스포라와 노인동맹단연구>, <미국 한인의 3·1운동과 대한인 국민회의 독립운동모금운동> 등이 있다.
이은정(지은이)
영남대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논문으로 <식민지기 만주 경험 여성의 귀환과 정체성 전략>, <피폭된 신체와 고통: 한국인 원폭 피해자를 중심으로>, <한국 유학 배경과 경험의 자원화 방식: 경산시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노동경험과 의미: 대구·경북 이주민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고-모빌리티 시대 포용과 공생의 공동체 _배진숙 1부 모빌리티와 인권/기본권 세일라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 이주의 도덕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_ 정채연 보편적 인권, 민주적 시민권, 그리고 세계주의 벤하비브의 세계사회 진단과 새로운 규범적 지도에 대한 요청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의 이론적 기초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벤하비브의 민주적 반추 민주적 반추와 아포리아의 생성적 가능성 윤리적 경계boundaries가 아닌 절차적 국경borders으로의 전향 경계 위의 인권: 난민 문학의 인권 담론 _ 김경민 인간과 국민, 그 사이의 인권 고유명사 ‘찬드라’ vs. 보통명사 ‘난민’ 괴물과 디스토피아를 상상하라 불편한 질문, ‘우리’란 누구인가 인구 변화와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캐나다 이누이트를 사례로_ 이용균 들어가며 인구 관리와 이주자의 주변화 누나부트의 인구 변화 이누이트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이누이트 이주 요인과 이주 경로 이누이트 이주자의 주변화와 공동체 정치 맺는 말 2부 이동과 정동, 그리고 공동체 식민지 조선인의 이주와 문화적 실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_ 이은정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이주경험에 문화는 어떻게 개입했을까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 이주와 의례적 실천 귀환에 개입한 문화적 규범 ‘부단한 이동’에 개입한 문화적 실천과 전략 모더니티의 이동성과 난민이 된 청춘의 서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지방 출신 대학생의 도시 입사식入社式을 중심으로 _ 김은하 인간 실격의 불안과 지방민 의식 교양 청년의 탄생과 애도가 거부된 타자 오, 전라도여, 전라도여!: 환대받지 못한 이방인과 수치 맺음말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 탑골공원과 락희거리를 사례로 _ 정은혜 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종로 탑골공원과 락희거리 사회적 배제의 개념 검토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에 대한 분석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이 주는 의미: 포용의 시선에서 결론 및 제언 3부 모바일 공동체의 윤리 이주여성의 공동체 미디어 참여가 문화적 시민권 구축에 미치는 영향: 부산 지역 〈베트남 목소리〉 팟캐스트 사례를 중심으로_ 정의철·정미영 들어가는 말: 이주의 시대,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 미디어에 나타나는 이주민과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 이주의 시대, 시민권의 변화와 문화적 시민권의 부상 공동체 미디어와 〈베트남 목소리〉의 전개 〈베트남 목소리〉 사례 〈베트남 목소리〉와 이주여성의 미디어 참여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와 문화적 시민권 구축 나가는 글: 시민으로서의 이주민과 미디어의 역할 도시공간과 축제, 그 윤리적 사유 _ 김숙현 도시와 도시공간에 대한 권리 도시공간은 도시 거주자들의 ‘작품’ 공공공간의 전유와 공간의 재구성; 축제의 의미 찾기 축제, 공간과 역할 관계의 고정관념을 벗다 미적 공동체의 장으로 맺으며: 불가능성의 사유, 윤리 쿠바 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 한인의 연속(돌발)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_ 배진숙·김재기 쿠바 한인 이주 100주년을 맞이하며 미국의 쿠바인 디아스포라 멕시코·쿠바 한인 재미 쿠바 한인 연구참여자 정보 쿠바에서 미국으로의 재이주 동기와 경로 민족·인종정체성 언어, 문화, 사회적 관계 연쇄적 이주의 재조명과 디아스포라적 재결합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