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0132 | |
005 | 20220701145550 | |
007 | ta | |
008 | 220630s2021 ulkadj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6919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169655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37 | |
100 | 1 | ▼a 이송순, ▼g 李松順, ▼d 1969- ▼0 AUTH(211009)85701 |
245 | 1 0 | ▼a 일제말 전시 총동원과 물자 통제 / ▼d 이송순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 |
300 | ▼a 438 p. : ▼b 삽화, 도표, 연표 ; ▼c 24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7 - 사회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0 | ▼a 부록: 1. 일제말 전시 총동원과 물자 통제 관련 자료, 2. 일제말 전시 총동원과 물자 통제 관련 연표 | |
504 | ▼a 참고문헌(p. 420-429)과 색인수록 | |
830 |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7 - 사회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953.06 2021z18 37 | 등록번호 1118665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953.06 2021z18 37 | 등록번호 5110544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 군국주의 파시즘체제하에서 침략전쟁 도발과 확대, 패전에 이르는 과정, 전시 총동원이라는 총력전체제하에서 일본제국주의가 식민지 조선에서 행한 물자동원과 수탈의 과정, 내용을 살펴보았다. 일본 본국과 식민지 사회는 단순 재생산도 불가능한 축소 재생산 과정에 빠져들면서 일본제국주의의 몰락은 단지 시간 싸움에 불과했다.
마침내 11945년 8월 일본의 패전과 함께 조선은 해방이 되었지만, 그 해방이 식민 지배의 제도와 모든 결과를 봉인시키고 청산하게 하지 못했다. 전시 물자동원 과정에서 파생된 각종 제도와 시스템, 인식은 해방 이후 새로운 독립국가 건설에 여러 흔적을 남겼다. 이 책을 통해 일제 전시 총동원체제기 어떤 제도로 식민지를 수탈했는지를 정리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서론 1. 일제의 군국주의 파시즘적 총동원체제와 식민지 조선 14 2. 연구사 정리 17 3. 연구 방법과 내용 28 제1장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전쟁과 총동원체제 구상 1. 세계대전과 근대 총력전체제 36 2. 만주 침략과 총동원체제 구상 66 3. 조선의 농공병진정책과 ‘조선공업화’ 84 제2장 일제 침략전쟁 확대와 조선의 전시 총동원체제 형성 1. 중일전쟁 도발과 침략전쟁 확대 - 군국주의 파시즘적 총동원체제 전개 112 2. 중일전쟁 이후 조선의 병참기지화와 전시 총동원 143 제3장 전시 광물자원 동원과 강제저축 1. 광물자원 증산과 금속회수 184 2. 강제저축을 통한 자금 수탈 208 제4장 전시 식량 증산정책의 전개와 파탄 1. 전시 쌀 증산정책의 전개 226 2. ‘미곡중점주의’ 정책 수정과 잡곡 증산 257 제5장 식량 및 기타 농산물 공출 1. 식량 공출정책의 실시 270 2. 의류작물 공출: 면화, 대마 292 3. 공출에 대한 농민 저항 307 제6장 식량 및 생필품 배급과 암거래 1. 소비 통제와 암거래 확산 318 2. 식량 및 생필품 배급 352 결론 377 부록 399 참고문헌 420 찾아보기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