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912 | |
005 | 20220630115639 | |
007 | ta | |
008 | 220627s2021 ulkaj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6704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217550 | |
040 | ▼a 211020 ▼c 211020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34 | |
100 | 1 | ▼a 허광무 |
245 | 1 0 | ▼a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 / ▼d 허광무, ▼e 정혜경, ▼e 김미정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 |
300 | ▼a 655 p. : ▼b 삽화, 연표 ; ▼c 24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4 - 사회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0 | ▼a 부록: 일제 강제동원 관련 주요 연표 | |
504 | ▼a 참고문헌(p. 632-64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정혜경, ▼e 저 |
700 | 1 | ▼a 김미정, ▼e 저 |
830 |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4 - 사회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953.06 2021z18 34 | 등록번호 11186635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강제동원 피해 중 노무동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일본 제국과 점령 지역으로 노무동원된 역사적 사실을 동원 방식, 동원 유형,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돌아오지 못하는 사람들, 강제동원 희생자와 유골 문제, 지급되지 않은 미불금 문제, 강제동원 역사 왜곡 문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특히 강제동원 연구에서 오랫동안 주목되지 않았던 여성동원과 아동동원을 통해 비윤리성과 폭력성, 불법성이 밝혀졌다.
이 책은 강제동원 피해 중 노무동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일본 제국과 점령 지역으로 노무동원된 역사적 사실을 동원 방식, 동원 유형,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돌아오지 못하는 사람들, 강제동원 희생자와 유골 문제, 지급되지 않은 미불금 문제, 강제동원 역사 왜곡 문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특히 강제동원 연구에서 오랫동안 주목되지 않았던 여성동원과 아동동원을 통해 비윤리성과 폭력성, 불법성이 밝혀졌다. 그동안 여러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 책을 통해 강제동원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더욱 풍성한 연구성과가 나오길 기대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혜경(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식민지 시기 재일 한인의 노동운동사를 주제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구술사(Oral History)와 기록학(Achival Science) 분야도 공부했다. 전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11년간 조사과장으로 일하며 수 천 명의 피해자들의 경험과 마주했다. 현재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주요 저서로는 『조선민중이체험한 ‘징용’』 (동북아역사재단, 2021), 『반대를 론하다 - ‘반일종족주의’의 역사부정을 넘어』 (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9),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섬앤섬, 2019), 『일본지역 탄광·광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 - 미쓰비시(三菱) 광업(주)사도(佐渡)광산을 중심으로-』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2019), 『우리지역의 아시아태평양전쟁 유적 활용 - 방안과 사례』 (도서 출판 선인, 2018) 등이 있다.
허광무(지은이)
한일민족문제학회장, 일제 강제동원&평화연구회 연구위원 일본 히토쓰바시(一橋)대학에서 일본근현대사회경제사를 전공하여 석 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조사과장·심사과장을 지 냈고, 현재 일제 강제동원&평화연구회 연구위원이다. 저서로는 『탐욕의 땅, 미쓰비시 사도(佐渡)광산과 조선인 강제동원』(공 저, 선인, 2021), 『일제강제동원, 정부가 중단한 진상규명』(공저, 선인, 2020), 『반대를 론하다-‘친일종족주의’의 역사부정을 넘어』(공저, 선인, 2019), 『일본지역 강제동원 현장을 가다』(선인, 2019), 『강제동원을 말한 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피징용 노무자 미수금문제』(공저, 선인, 2015), 『일제 강제동원 Q&A①』(공저, 선인, 2015) 등이 있다.
김미정(지은이)
국가기록원 학예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강제동원 및 근대여성사·사회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기록학(Achival Science) 분야도 공부했다. 국무총리 소속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위원회’ 조사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 가기록원 학예연구사이다. 저서로는 『일제말기 여성동원 선전논리』(동북아역사재단, 2021), 『잊혀 진 여성들, 기억에서 역사로-일제말기 여성노무동원』(선인, 2021), 『일 제시대 문화유산을 찾아서』(공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등 이 있다.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총설 13 제1부 전시체제와 노무동원 제1장 국가총동원체제와 노무동원 제1절. 국가총동원체제와 국민동원 32 제2절. 조선의 노무동원 시스템(행정조직) 48 제2장 노무동원 경로: 모집, 국민징용, 관 알선 제1절. 모집에 의한 노무동원 86 제2절. 「국민징용령」 제정과 적용 99 제3절. 관 알선에 의한 노무동원 122 제4절. 동원 방법에 대한 오해와 진실 136 제3장 근로보국대 제도 제1절. 근로보국대 제도 수립 158 제2절. 근로보국대 운용과 실태 186 제4장 동원 지역별 직종별 노무동원 실태 제1절. 일본 220 제2절. 한반도 279 제3절. 기타 342 제5장 여성과 아동동원 제1절. 노무자가 된 여성 464 제2절. 조선여자근로정신대 487 제3절. 아동동원 508 제2부 끝나지 않은 역사청산: 현안과 과제 제6장 전시 노무동원이 남긴 과제 제1절. 광복과 해방, 돌아오지 못한 이들 526 제2절. 돌려받지 못한 임금과 권리 552 제3절. 전시 노무동원의 강제성을 말한다 572 부록 603 참고문헌 632 찾아보기 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