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882 | |
005 | 20220630163638 | |
007 | ta | |
008 | 220627s2022 ulkad 001c kor | |
020 | ▼a 9791156009610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623307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006.3 ▼2 23 |
085 | ▼a 006.3 ▼2 DDCK | |
090 | ▼a 006.3 ▼b 2022z8 | |
100 | 1 | ▼a 岡嶋裕史, ▼d 1972- |
245 | 2 0 | ▼a (인공지능시대의) AI 리터러시 교과서 / ▼d 오카지마 유우시, ▼e 요시다 마사히로 지음 ; ▼e 황석형 [외]옮김 |
246 | 3 | ▼a 인공지능시대의 에이아이 리터러시 교과서 |
246 | 1 9 | ▼a はじめてのAIリテラシー : ▼b 基礎テキスト |
246 | 3 | ▼a Hajimete no ēai riterashī : ▼b kiso tekisuto |
260 | ▼a 서울 : ▼b 홍릉, ▼c 2022 | |
300 | ▼a xv, 249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공역자: 정영애, 김민경, 김수환 | |
700 | 1 | ▼a 吉田雅裕, ▼d 1985-, ▼e 저 |
700 | 1 | ▼a 황석형, ▼g 黃錫炯, ▼d 1968-, ▼e 역 |
700 | 1 | ▼a 정영애, ▼g 鄭英愛, ▼d 1973-, ▼e 역 |
700 | 1 | ▼a 김민경, ▼e 역 |
700 | 1 | ▼a 김수환, ▼e 역 |
900 | 1 0 | ▼a 오카지마 유우시, ▼e 저 |
900 | 1 0 | ▼a Okajima, Yūshi, ▼e 저 |
900 | 1 0 | ▼a 요시다 마사히로, ▼e 저 |
900 | 1 0 | ▼a Yoshida, Masahiro,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6.3 2022z8 | 등록번호 11186632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제정한 “수리.데이터사이언스.AI교육프로그램 인증제도”에 준거하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기초 수준의 AI.데이터사이언스 분야의 기본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재다. AI인재 양성을 위한 학문체계를 이해하고 AI분야의 기초능력을 체득하려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지각능력, 학습능력, 추론능력, 판단능력 등)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인공적으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 및 기술로서, 컴퓨터과학 뿐만 아니라, 수학, 통계학, 공학, 언어학, 인지과학, 심리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와 관련되어 있으며, 연구 ․ 개발 ․ 응용을 위한 대상 영역의 폭이 상당히 넓다.
현재, 인공지능은 인류의 생활과 산업에 새로운 혁명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핵심기술로서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업무효율화와 생산성향상을 실현하고 있고,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가 조금씩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사회 각 분야에 스며들고 있다. 또한, 각 기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AI를 도입 ․ 활용하게 되면서, 인공지능을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AI인재”에 대한 수요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세계 각국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서 AI핵심 역량을 갖춘 AI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1년 4월에 “혁신적 포용사회를 선도할 빅3+AI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AI인재확보를 위한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AI와 소프트웨어(SW), 미래기술 분야의 핵심 인재를 집중 육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 초 ․ 중 ․ 고 교과과정에 AI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대학에서는 AI ․ SW교육을 교양필수 과정으로 지정하여 AI ․ 빅데이터 등 신기술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책은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제정한 “수리 ․ 데이터사이언스 ․ AI교육프로그램 인증제도”에 준거하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기초 수준의 AI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의 기본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주변 선진국의 AI인재 양성을 위한 학문체계를 이해하고 AI분야의 기초능력(Literacy, Numeracy, Coderacy, AI Literacy)을 체득하려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오카지마 유시(지은이)
일본의 정보학 연구자, 시스템 엔지니어, 대학교수다. 1972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97년 주오 대학 종합정책학부 정책과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 대학원의 종합정책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후지종합연구소(현 미즈호 리서치 앤 테크놀로지스) 근무, 간토가쿠인 대학 경제학부 부교수 및 정보학과센터 소장, 주오 대학 종합정책학부 부교수를 거쳐 현재는 주오 대학 국제정보학부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포스트 모바일- IT와 인간의 미래도》, 《해커의 수법- 소셜부터 사이버 공격까지)》, 《블록체인- 상호불신이 실현하는 새로운 보안》,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인터넷상의 ‘또 하나의 세계’》 등이 있으며, 국내에 번역된 저서로는 《이공계 출신이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이유》,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삼국지》,《클라우드 혁명과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 등이 있다.
요시다 마사히로(지은이)
황석형(옮긴이)

목차
제1장 AI리터러시 제2장 사회 변화와 AI 제3장 사회에서 활용되는 데이터 제4장 데이터와 AI의 활용 제5장 데이터와 AI의 기술 제6장 데이터의 특징과 수집 및 활용 제7장 데이터와 AI 활용에 관한 주의사항 제8장 데이터와 AI에 관한 보안기술 제9장 AI에 필요한 기초 통계와 수학 제10장 알고리즘 제11장 데이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제12장 데이터 다루기 제13장 시계열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 제14장 데이터 활용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