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양지혜, 梁知惠, 1983-, 편역 박우현, 朴祐賢, 1986-, 편역 김태현, 편역 이민성, 편역 고태우, 高泰雨, 1983-, 편역 구병준, 편역 이명학, 李明學, 1983-, 편역 박진서, 朴振緖, 1988-, 편역 주동빈, 朱東彬, 1987-, 편역
서명 / 저자사항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 양지혜 [외]편역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21-  
형태사항
책 : 삽화 ; 27 cm
총서사항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경제편 ;43-
ISBN
9788961876988 (v.1) 9788961877626 (v.2) 9788961876971 (세트)
일반주기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내용주기
1.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 / 박우현, 김태현, 이민성, 고태우, 구병준, 이명학, 박진서 편역 (698 p.) -- 2. 조선 전력 정책의 수립과 운영 / 이명학, 주동빈, 고태우, 구병준, 김태현, 박우현, 박진서, 양지혜, 이민성 편역 (735 p.)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9880
005 20230724171426
007 ta
008 220627m20219999ulka b 001c kor
020 ▼a 9788961876988 (v.1) ▼g 94910
020 ▼a 9788961877626 (v.2) ▼g 94910
020 1 ▼a 9788961876971 (세트)
035 ▼a (KERIS)REQ000056194541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951.903 ▼2 23
085 ▼a 953.06 ▼2 DDCK
090 ▼a 953.06 ▼b 2020z23
245 0 0 ▼a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 ▼d 양지혜 [외]편역
260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300 ▼a 책 : ▼b 삽화 ; ▼c 27 cm
490 1 0 ▼a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a 경제편 ; ▼v 43-
500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05 1 0 ▼n 1. ▼t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 / ▼d 박우현, ▼e 김태현, ▼e 이민성, ▼e 고태우, ▼e 구병준, ▼e 이명학, ▼e 박진서 편역 ▼g (698 p.) -- ▼n 2. ▼t 조선 전력 정책의 수립과 운영 / ▼d 이명학, ▼e 주동빈, ▼e 고태우, ▼e 구병준, ▼e 김태현, ▼e 박우현, ▼e 박진서, ▼e 양지혜, ▼e 이민성 편역 ▼g (735 p.)
700 1 ▼a 양지혜, ▼g 梁知惠, ▼d 1983-, ▼e 편역 ▼0 AUTH(211009)82909
700 1 ▼a 박우현, ▼g 朴祐賢, ▼g 1986-, ▼e 편역 ▼0 AUTH(211009)145159
700 1 ▼a 김태현, ▼e 편역
700 1 ▼a 이민성, ▼e 편역
700 1 ▼a 고태우, ▼g 高泰雨, ▼d 1983-, ▼e 편역
700 1 ▼a 구병준, ▼e 편역
700 1 ▼a 이명학, ▼g 李明學, ▼d 1983-, ▼e 편역
700 1 ▼a 박진서, ▼g 朴振緖, ▼d 1988-, ▼e 편역
700 1 ▼a 주동빈, ▼g 朱東彬, ▼d 1987-, ▼e 편역
830 0 ▼a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p 경제편 ; ▼v 43-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 2020z23 44 등록번호 1118825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953.06 2020z23 43 등록번호 1118663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953.06 2020z23 43 등록번호 5110572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43권. 일제하 한국철도의 구상과 정책, 건설과 운영, 그 결과와 영향에 관한 방대한 자료 중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핵심 자료를 선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명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제하 철도 형성의 역사와 침탈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899년 9월 18일 한반도에서도 경인선이 개통되며 철도의 시대가 그 막을 올렸다. 그러나 1945년 8월 해방에 이르기까지, 철도는 조선 또는 조선인 본위로 운영되지 못했다. 일제의 지배 아래에서 조선의 철도는 일본제국의 지배와 침략을 위한 목적에서, 대륙으로 군대와 물자를 수송하는 침략로이자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자원과 인력을 동원하는 수탈로로 활용되었다. 본 자료집은 일제하 한국철도의 구상과 정책, 건설과 운영, 그 결과와 영향에 관한 방대한 자료 중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핵심 자료를 선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명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제하 철도 형성의 역사와 침탈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우현(지은이)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강사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교통으로 본 일제시대(동북아역사재단, 2021), 대공황 초기 조선사업공채 정책과 궁민구제토목사업의 축소(1929~1931)(역사문제연구 49, 2022), 1910~20년대 聞慶의 근대교통 도입과 店村의 부상(영남학 78, 2021) 등

양지혜(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탁상 위의 유토피아-일제하 조선 북부의 개척촌 조성과 실패(사림 81, 2022), 근현대 한국의 광업개발과 ‘공해(公害)’라는 느린 폭력(역사비평 134, 2021), 일제하 대형 댐의 건설과 ‘개발재난’(한국문화 89, 2020),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한양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등

김태현(지은이)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26, 2022),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재생산 (공동연구, 아세아연구 64,2021), ‘신의주·안동’ 지역 밀무역 단속의 변화와 밀수출품 운반업자의 대응(1929~1937) (한국문화 89, 2020), ‘신의주·안동’ 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한국사연구 183, 2018) 등

이민성(지은이)

건국대학교 사학과 박사수료 3·1운동 100년 2(공저, 휴머니스트, 2019), 1928년 식민지 조선 ‘병비충실’ 운동의 추이와 성격(한국문화 97, 2022), 1910년대 중반 조선 주둔 일본군 군영 배치계획과 軍營 유치운동의 양상(한국근현대사연구 83, 2017) 등

고태우(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조교수 1970년대 한국의 공해(公害) 상황과 재난 인식(개념과 소통 28, 2021), 기후, 날씨와도 싸워야 했던 일본제국주의, 그리고 식민지민-길었던 한 해, 1939년 조선 대가뭄의 양상과 그 여파(역사와 현실 118, 2020), 개발의 문턱 앞에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개발운동(사회와 역사 128, 2020), 일제하 토건업계와 식민지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등

구병준(지은이)

독립기념관 연구원 조선간이생명보험의 재정구조와 적립금 운용(1929-1937)(한국문화 97, 2022), 1929년 조선총독부의 조선간이생명보험 법령 제정과 보험 재정의 이중적 취약 구조: 조선간이생명보험령의 예정 이율과 사망률 규정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42, 2021), 조선총독부의 인구관리와 영아사망률 통계 문제 (역사문제연구 44, 2020) 등

이명학(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전임연구원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주택금융 도입과 도시금융조합의 자금 운용 (한국사연구 198, 2022), 총동원체제기(1938~45년) 조선총독부 공영주택정책의 운영 실태와 조선인의 주변화-부영주택(府營住宅)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120, 2021), 일제시기 행정구역의 개편과 명칭의 변화-면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0, 2020) 등

박진서(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 재난과 난민(공저,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 연구사업단, 2022), 전시체제기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의 ‘노동재해’-사고 원인 분석의 정치성에 주목하여(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등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기획)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차례

발간사 4
편찬사 6
편역자서문 12

I 관련 신문 기사 17
〈해제〉 18
1 일본 · 일본인 본위의 철도 개발 비판 23
2 조선 · 조선인 본위의 철도 개발 요구 54
3 철도와 저항 90
4 철도와 고용 차별 104
5 철도와 사고 117
6 철도와 통학 123
7 철도와 전쟁 131
8 철도와 관광 140

II 실행 계획과 내용 145
〈해제〉 146
1 한국병탄 직후 일본의 대륙침략 구상과 조선철도계획 161
2 1910년대 일본 육군의 만주침략 구상과 조선철도의 만철 위탁경영 170
3 1920년대 자원 수탈을 위한 철도정책으로의 전환 187
4 1920년대 조선철도12년계획의 구상과 수립 194
5 1931년 만주사변의 발발과 북선철도계획의 수립 339
6 전시하 일본제국의 연락 강화와 조선철도 구상 344
7 일제하 조선철도의 시기별 주요 정책과 그 시행 353
8 일제하 조선철도의 각 노선별 건설과 개량 391
9 일제하 조선철도의 영업 447
10 일제하 조선철도의 수입과 지출 485
11 일제하 조선철도의 운영 기구와 조직 500
12 전시 말 조선철도의 재편 553
13 해방 직전 조선철도의 실태 566



III 관련 법령
579
〈해제〉 580
1 조선총독부철도국관제 581
2 조선총독부철도국사무분장규정 605
3 조선국유철도건설규정 627
4 조선사설철도보조법 637

IV 실행 결과 643
〈해제〉 639
1 조선철도의 운영 양상 646
2 조선철도의 투자 규모와 개업 현황 652
3 조선철도의 재정 상태 669

자료목록 679
참고문헌 689
찾아보기 693

관련분야 신착자료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