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443 | |
005 | 20221212174843 | |
007 | ta | |
008 | 220622s2022 ulkac 001c dkor | |
020 | ▼a 9788960907416 ▼g 03680 | |
035 | ▼a (KERIS)BIB000016273695 | |
040 | ▼a 211063 ▼c 211063 ▼d 211009 | |
041 | 1 | ▼a kor ▼h ita |
082 | 0 4 | ▼a 780.92 ▼2 23 |
085 | ▼a 780.92 ▼2 DDCK | |
090 | ▼a 780.92 ▼b 2022z1 | |
100 | 1 | ▼a Morricone, Ennio, ▼d 1928- ▼0 AUTH(211009)37017 |
245 | 1 0 | ▼a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 : ▼b 영화를 음악으로 기억하게 한 마에스트로의 고백 / ▼d 엔니오 모리코네, ▼e 주세페 토르나토레 지음 ; ▼e 이승수 옮김 |
246 | 1 9 | ▼a Ennio, un maestro |
260 | ▼a 서울 : ▼b 마음산책, ▼c 2022 | |
300 | ▼a 499 p. : ▼b 삽화, 초상화 ; ▼c 22 cm | |
500 | ▼a 연보와 색인수록 | |
600 | 1 0 | ▼a Morricone, Ennio ▼v Interviews |
650 | 0 | ▼a Composers ▼z Italy ▼v Interviews |
650 | 0 | ▼a Motion picture music ▼x History and criticism |
700 | 1 | ▼a Tornatore, Giuseppe, ▼d 1956-, ▼e 저 ▼0 AUTH(211009)30472 |
700 | 1 | ▼a 이승수, ▼d 1966-, ▼e 역 ▼0 AUTH(211009)98629 |
900 | 1 0 | ▼a 모리코네, 엔니오, ▼e 저 |
900 | 1 0 | ▼a 토르나토레, 주세페,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2 2022z1 | Accession No. 1118661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2 2022z1 | Accession No. 1513605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2 2022z1 | Accession No. 1118661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2 2022z1 | Accession No. 1513605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마음산책 ‘말’ 시리즈의 열아홉 번째 주인공은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코네다. 엔니오 모리코네는 대표곡을 쉽사리 꼽을 수 없을 만큼 무수한 명곡들을 남긴 작곡가다. 그는 영화 〈석양의 무법자〉〈미션〉〈시네마 천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의 주제곡 등 450곡이 넘는 영화음악을 작곡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700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올렸다. 무엇보다 그는 영화가 끝나도 잊히지 않는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음악을 하나의 독립된 예술 장르로 확립했다.
하지만 모리코네의 개인적인 삶은 그의 음악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그는 사람들 앞에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즐기지 않았다.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은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던 모리코네의 내밀한 삶과 방대한 음악 세계를 하나의 화음처럼 엮어낸 책이다.
모리코네가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공개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인터뷰어 주세페 토르나토레의 역할이 컸다. 영화 〈시네마 천국〉의 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는 모리코네가 유서에 언급했을 만큼 신뢰하고 우정을 나눈 인물이다. 두 사람은 〈시네마 천국〉의 알프레도와 토토처럼 평생 끈끈한 관계였으며, 이 책은 그 우정의 산물이다. 모리코네는 주세페 토르나토레와 대화를 나누며 80년 음악 인생을 밀도 높게 풀어낸다.
영화를 음악으로 기억하게 한 마에스트로, 엔니오 모리코네
〈시네마 천국〉감독과 함께 정리한 80년 음악 인생
마음산책 ‘말’ 시리즈의 열아홉 번째 주인공은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코네다. 엔니오 모리코네는 대표곡을 쉽사리 꼽을 수 없을 만큼 무수한 명곡들을 남긴 작곡가다. 그는 영화 〈석양의 무법자〉〈미션〉〈시네마 천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의 주제곡 등 450곡이 넘는 영화음악을 작곡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700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올렸다. 무엇보다 그는 영화가 끝나도 잊히지 않는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음악을 하나의 독립된 예술 장르로 확립했다.
하지만 모리코네의 개인적인 삶은 그의 음악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그는 사람들 앞에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즐기지 않았다.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은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던 모리코네의 내밀한 삶과 방대한 음악 세계를 하나의 화음처럼 엮어낸 책이다.
모리코네가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공개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인터뷰어 주세페 토르나토레의 역할이 컸다. 영화 〈시네마 천국〉의 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는 모리코네가 유서에 언급했을 만큼 신뢰하고 우정을 나눈 인물이다. 두 사람은 〈시네마 천국〉의 알프레도와 토토처럼 평생 끈끈한 관계였으며, 이 책은 그 우정의 산물이다. 모리코네는 주세페 토르나토레와 대화를 나누며 80년 음악 인생을 밀도 높게 풀어낸다.
대중적인 음악을 작곡하기 위해 필요했던 실험 정신
늙지 않는 열정으로 낡지 않는 음악을 만들어낸 모리코네의 창작론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을 떠올리면 그가 작곡한 영화 〈미션〉의 〈Gabriel’s Oboe〉,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의 〈Deborah’s Theme〉처럼 서정적인 멜로디가 먼저 연상된다. 이 책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대중 예술가로서의 모리코네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은 ‘실험가’로서의 모리코네를 조명한다.
모리코네는 청년 시절 이탈리아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에서 받은 고전음악 교육을 바탕으로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을 영화음악에 적용했다. 모리코네의 아름다운 멜로디와 쇤베르크의 전복적인 무조음악은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인터뷰를 읽다 보면 모리코네의 감동적인 선율 아래로 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냉철한 분석이 흐르고 있었음을 이해하게 된다.
모리코네는 미국의 현대음악가 존 케이지에게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실험적인 음악 집단 ‘새로운 협화음 즉흥 연주 그룹’에서 트럼펫 주자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이 그룹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소리 너머의 새로운 소리를 탐색했다. 이는 영화음악가로서 모리코네가 훗날 유리 깨지는 소리, 휘파람 부는 소리, 채찍을 내리치는 소리, 군중이 운집하는 소리 등을 영화에 활용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한 작품이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면 그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낮춰 보는 시선이 따라오기도 하지만,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은 그러한 편견에 맞서면서 대중적인 작품을 쓰려면 오히려 더욱 섬세한 실험 정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곡을 쓸 때 나는 쓰는 기쁨이 필요해요. 소극적으로 있고 싶지 않고 내가 작곡한 것에 계속 주의를 기울이려고 해요. 나 자신이 뭘 했는지 알아야 하는 거예요. 실험이라고 말하죠.
_130쪽
모리코네에게 실험 정신은 예술가로서의 신념이었을 뿐 아니라 창작자로서의 지혜였다. 모리코네는 1960년대 세르조 레오네 감독과 함께 작업한 서부영화들부터 1980년대의 〈미션〉, 〈시네마 천국〉, 1990년대의 〈러브 어페어〉, 2000년대의 〈피아니스트의 전설〉과 2010년대의 〈헤이트풀 8〉까지 꾸준하게 작업을 이어갔다. 모리코네는 특별한 전성기 없이 지속적으로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낸 창작자였다.
모리코네는 꾸준함의 원동력으로 실험 정신을 꼽는다. 그는 과거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았고, 늘 새로운 것을 시도했으며, 그런 시도에서 창작의 기쁨을 얻었다. 그는 예술가로서 자기 자신을 자극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실험을 통한 기쁨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토록 오랜 세월 동안 지치지 않고 창작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다.
우리가 사랑한 영화음악의 탄생 배경부터
거장 영화감독들과의 에피소드까지 담겨 있는 영화음악 아카이브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에는 모리코네가 만들어낸 영화음악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었는지에 관한 이야기들과 모리코네가 함께 작업한 거장 감독들과의 에피소드가 함께 담겨 있다. 이 책은 영화와 영화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소중한 아카이브로 기능할 것이다.
영화음악은 혼자 작업하는 것이 아니다. 영화감독, 제작사, 홍보사 등 여러 관계자들과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영화음악가는 자신이 만든 음악을 사람들에게 설득해야 한다. 세르조 레오네, 브라이언 드 팔마, 쿠엔틴 타란티노 등 거장 감독들과 협업했던 모리코네는 그들과 때로는 다투고, 때로는 영감을 나누면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갔다.
레오네가 장난 치는 건 드문 일인데 그 장난은 귀여웠어요. 그때가 새벽 1시였는데 자고 있는 나에게 그가 마이크를 통해 소리쳤죠. “모리코네, 음악이 엉망이야. 어떻게 이런 걸 만들었어?” 영화 속 유령처럼 말했어요. 자기 목소리가 꿈에서처럼 내게 들리기를 바라면서요. “형편없는 음악을 만들었군. 아주 형편없어.” 하고 속삭였죠.
_412쪽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은 깊이 있는 대화가 담긴 인터뷰집이면서 모리코네의 작업 아카이브인 동시에 오랜 세월 동안 지치지 않고 꾸준하게 좋은 음악을 만든 예술가의 창작론이다. 이 책은 모리코네라는 거대한 산맥을 한눈에 조망하는 데 친절한 안내자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엔니오 모리코네 (Ennio Morricone)(지은이)
1928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났다. 트럼펫 연주자인 아버지의 지도로 음악이론을 배웠고 일곱 살 때 처음 작곡을 시도했다. 열한 살에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에 입학해 트럼펫을 전공했고 이어 작곡 과정을 밟았다. 현대음악의 거장으로 꼽히는 작곡가 고프레도 페트라시를 사사했으며, 바흐와 스트라빈스키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십대 시절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굶주림을 면하려고 독일군과 미군 앞에서 트럼펫을 연주했는데, 이는 평생 굴욕적인 기억으로 남는다. 작곡 학위를 취득한 1954년 무렵부터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으며, 국영 방송국 RAI에서 라디오 음악과 TV 프로그램 음악을 편곡했다. 그 밖에 극단, 음반사 RCA 등에서 작·편곡가로 활동하다 1961년 영화 〈파시스트〉를 통해 공식적으로 영화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한다. 세르조 레오네 감독의 〈황야의 무법자〉(1964)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그는 평생에 걸쳐 450곡이 넘는 영화음악과 절대음악 100여 곡을 남겼다. 1960년대에 전위적인 음악을 표방한 ‘새로운 협화음 즉흥 연주 그룹’에서 활동하는 등 실험성을 추구한 그는 영화에 휘파람이나 사이렌, 물방울 소리, 타자기 소리 같은 일상의 소리를 도입하는가 하면, 불협화음을 활용한 12음 기법과 대위법 등 기존 작곡 방식을 벗어난 음악을 선보였다. 이처럼 음악과 생활 소음,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아우르며 영화 속 서사와 인물 심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그의 음악은 장르를 뛰어넘어 사랑받아왔다. 그의 앨범들은 지금까지 7000만 장 이상 팔렸으며,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1984) OST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사운드트랙으로 꼽힌다. 그 외 대표작으로 〈미션〉 〈언터처블〉 〈시네마 천국〉 〈시티 오브 조이〉 〈사선에서〉 〈러브 어페어〉 〈헤이트풀 8〉 등이 있다. 2007년 아카데미 공로상을, 2016년 아카데미 음악상을 받았다. 80년 가까이 작곡을 했어도 늘 머릿속에 새로운 음악이 있다고 말한 그는 2020년 7월 6일, 로마에서 91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주세페 토르나토레(지은이)
이탈리아의 현존하는 위대한 감독 중 한 명. 수많은 연극, 다큐멘터리 제작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은 그는 29세가 되던 해 각본과 연출을 맡은 영화 <프로페서>로 데뷔했다. 이후 1988년 <시네마 천국>으로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아카데미와 골든글로브의 외국어영화상 수상에 이어 영국아카데미 각본상 등 5개 부문에 수상하며 전 세계 평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995년 <스타 메이커>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한 데 이어 2001년 <말레나>로 베를린국제영화제 금곰상에 노미네이트되고, 2009년 <바리아>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파시네띠상을 수상, 세계 3대 국제영화제에 모두 이름을 올리며 명성을 이어나갔다. 작품마다 정교한 캐릭터, 인간의 순수성에 대한 탁월한 묘사와 주도면밀한 스토리텔링, 유려한 영상미가 고루 갖춰진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이승수(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비교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 교 이탈리아어 통번역학과에서 강의를 하며 이탈리아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습니다. 번역한 책으로 《다뉴브》 《내가 있는 곳》 《엔니오 모리코네의 말》 《제로니모의 환상모험》 《모르티나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영감이란 건 존재하지 않아요 “당신은 경력을 쌓지 못할 겁니다” 작곡가의 약점 트럼펫과 품위 어머니의 이름처럼 애증의 서부영화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순간 할리우드 감독들 그리고 〈미션〉 어떤 소리든 음표가 된다 숨겨진 사랑의 테마 대중을 향한 혁신 100살에 그만두겠습니다 옮긴이의 말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