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438 | |
005 | 20220624140424 | |
007 | ta | |
008 | 220622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28891335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6273483 | |
040 | ▼a 244008 ▼c 244008 ▼d 211009 | |
082 | 0 4 | ▼a 371.33468 ▼2 23 |
085 | ▼a 371.33468 ▼2 DDCK | |
090 | ▼a 371.33468 ▼b 2022z1 | |
100 | 1 | ▼a 김창환 |
245 | 1 0 | ▼a 메타버스가 교육한다 / ▼d 김창환 지음 |
260 |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22 | |
300 | ▼a xvii, 133 p. ; ▼c 19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3468 2022z1 | Accession No. 1118661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코로나19가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상을 열어젖혔다. 메타버스가 우리 생활 전반을 크게 바꿀 것이라 전망하는 이들이 많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교육에서 메타버스란 무엇이며, 그것이 교육의 모습을 어떻게 바꿀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게 해 주는 가장 간결한 입문서다.
코로나19가 열어젖힌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
코로나19 확산 이후 메타버스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크게 늘었다. 메타버스가 전에 없던 새로운 개념은 아니지만, 코로나19로 대중의 관심을 얻고 일상 구석구석에 자리하게 된 것은 사실이다. 글로벌 IT 기업이 메타버스의 가능성을 보고 관련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메타버스의 영향을 인터넷의 영향에 견주고 있다. 교육 또한 메타버스의 영향을 받는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팬데믹으로 물리적 접촉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이미 메타버스 세계는 교육의 중요한 장이 됐다. 아직 메타버스에 하나의 뚜렷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이 책은 현재의 무성한 논의를 갈무리하고 메타버스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거기서 변화 이해와 예측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가 바꾸는 교육 시공간,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학생, 진로
이 책은 교육에서 메타버스란 무엇인지, 현재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그것이 교육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거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논하는 가장 간결하고 콤팩트한 입문서다. 교육의 시공간,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사와 학생의 역할, 미래 진로 등이 메타버스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장별로 살펴볼 수 있다. 저자는 메타버스로 인한 교육의 변화를 마냥 긍정하지도, 우려의 시선만을 보내지도 않는다. 미래를 상상하고 가치 판단을 하는 것은 이 책을 읽는 독자, 즉 학습자로서 독자의 몫이다. 대신 저자는 장별 토론 질문으로 그것을 돕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코로나19가 열어젖힌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 01 메타버스의 개념과 구성 요소 02 메타버스 세계의 특징 03 메타버스의 미래 04 메타버스와 교육의 시공간 05 메타버스와 교육과정 06 메타버스와 교수학습 방법 07 메타버스와 교사 08 메타버스와 학생 09 메타버스와 학생의 미래 진로 10 메타버스 교육의 가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