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충원 역사산책 :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만나는 한국 근현대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학규
서명 / 저자사항
현충원 역사산책 :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만나는 한국 근현대사 / 김학규
발행사항
고양 :   섬앤섬,   2022  
형태사항
343 p. : 삽화 ; 21 cm
ISBN
9788997454501
일반주기
부록: 전국 국립묘지 현황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41-34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9435
005 20220624134428
007 ta
008 220622s2022 ggka b 000c kor
020 ▼a 9788997454501 ▼g 03910
035 ▼a (KERIS)BIB000016196759
040 ▼a 211059 ▼c 211059 ▼d 211009
082 0 4 ▼a 951.903 ▼2 23
085 ▼a 953.06 ▼2 DDCK
090 ▼a 953.06 ▼b 2022z5
100 1 ▼a 김학규
245 1 0 ▼a 현충원 역사산책 : ▼b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만나는 한국 근현대사 / ▼d 김학규
260 ▼a 고양 : ▼b 섬앤섬, ▼c 2022
300 ▼a 343 p. : ▼b 삽화 ; ▼c 21 cm
500 ▼a 부록: 전국 국립묘지 현황
504 ▼a 참고문헌: p. 341-343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 2022z5 등록번호 1118660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서울현충원은 한국 근현대사가 오롯이 응축되어 있는 공간이다.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탄생을 주도한 독립운동가들을 모신 독립유공자 묘역, 분단과 전쟁으로 얼룩진 우리의 아픈 현대사 속에서 전사한 군인과 군무원이 자리한 군인·군무원 묘역, 4명의 전직 대통령이 안장된 국가원수 묘역,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가에 헌신한 이들을 모시는 국가유공자 묘역, 대한민국의 치안을 담당하던 이들이 안장된 경찰 묘역 등이 조성되어 있다.

현충원에 담겨 있는 한국 근현대사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서울현충원은 한국 근현대사가 오롯이 응축되어 있는 공간이다.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탄생을 주도한 독립운동가들을 모신 독립유공자 묘역, 분단과 전쟁으로 얼룩진 우리의 아픈 현대사 속에서 전사한 군인과 군무원이 자리한 군인·군무원 묘역, 4명의 전직 대통령이 안장된 국가원수 묘역,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가에 헌신한 이들을 모시는 국가유공자 묘역, 대한민국의 치안을 담당하던 이들이 안장된 경찰 묘역 등이 조성되어 있다.
첫 출발을 국군묘지로 시작하였기에 군인들의 묘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은 어쩔 수 없다 할지라도 묘역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친일파들의 볼썽사나운 묘를 보면, 이곳이 영광과 환호, 가슴 뿌듯한 자부심 못지않게 분노와 탄식, 회한이 많았던 한국 근현대사를 그대로 담고 있는 역사의 거울 같은 곳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현충원에는 독립유공자묘역에 자리 잡은 친일파 묘처럼 안타까운 일도 있지만, 앞으로 장군과 장교, 사병의 묘역 크기를 차별 없이 통일하기로 하고 위패나 비문 등에서 남녀평등을 시도하는 등 바람직한 변화의 바람도 일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학규(지은이)

1965년 충남 당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했다. “역사는 붓으로만 쓰는 게 아니라 온몸으로 쓰는 것”이라는 말을 좋아한다. 1990년 이래 동작구에 살고 있고, 지금은 동작역사문화연구소 공동 대표 겸 소장을 맡아 동작 지역사를 연구하면서 지역주민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동작공동체라디오 동작FM에서 팟캐스트와 유튜브로 〈낭만과 전설의 동작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오마이뉴스에 〈동작민주올레〉를 연재하고 있다. 시민과 함께 서울현충원을 비롯한 역사 현장을 탐방하고 해설하는 일을 최고의 즐거움 중 하나로 생각하며 살고 있다. 저서로 《낭만과 전설의 동작구》(공저, 동작FM, 2015), 《동작민주올레》(동작FM, 2018), 《현충원 역사산책 –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만나는 한국 근현대사》(섬앰섬, 2022)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펴내는 말 …8

프롤로그 한국 근현대사와 국립서울현충원 …13
한국 근현대사와 국립서울현충원/ 국군묘지로 출발한 국립서울현충원/ 헌법정신과 현충시설의 불일치?/ 순국선열을 기리기 위한 해방 직후의 노력/ 이승만이 독립유공자를 모시는 일에 관심을 두지 않은 이유는?/ 4·19 직후에도 독립유공자 표창이 있었다?/ ‘독립운동에 기반한 나라’ 대한민국/ 죽은 사람마저 차별하는 현충원?

탐방 1 독립운동가 길 …35
해방 20년 만에 조성된 독립유공자 묘역/ 이인영과 신돌석의 묘는 있는데, 전봉준의 묘는 왜 없을까/ 독립유공자에게 수여하는 건국훈장·건국포장·대통령표창/ 의병, ‘대한제국’을 지키고자 일어선 사람들/ 반외세 반봉건 투쟁의 동학농민군과 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가짜 독립운동가 묘가 있다?/ 현충원에서 만나는 영화 〈암살〉과 〈밀정〉, 〈박열〉의 주인공들/ 대한의 독립을 위해 ‘씨를 뿌린 사람들’/ 홍범도 장군, 의병장에서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로!/ 윤준희·임국정·한상호, ‘15만원 탈취 사건’의 주인공들/ ‘신출귀몰’ 이수흥, 혈혈단신으로 일제 식민지배를 뒤흔들다/ ‘신출귀몰’ 서원준, 평안도·황해도 일대를 뒤흔든 제2의 이수흥/ 스코필드,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푸른 눈의 외국인/ 해방 후 48년이 지나서야 조성된 임시정부요인 묘역/ “이름도 남기지 못하고 돌아가신 분들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국가유공자 제2묘역의 독립운동가들/ 장군 제1묘역에 안장된 독립운동가들/ 국가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된 독립운동가들/ 충혼당의 독립유공자들/ 부부위패판에서 만나는 독립운동가들/ 현충탑 위패봉안관의 독립운동가들

탐방 2 친일파 길 …115
국립서울현충원의 ‘친일파 길’을 걷는 의미는?/ 해방 이후 진행된 친일청산을 위한 노력/ 국립현충원 내 친일반민족행위자 안장 현황/ 부부위패판의 친일파 김홍준과 김호량/ 국가유공자 제1묘역의 친일파들 백낙준·엄민영·황종률·김정렬/ 장군 제1묘역의 김백일과 신응균/ 국가원수 묘역의 박정희 전 대통령/ 장군 제3묘역의 이종찬과 정일권/ 장군 제2묘역의 이응준과 신태영, 임충식/ 국가유공자 제2묘역의 안익태와 조진만/ 독립운동가 묘역의 친일파들(김홍량·이종욱·윤익선·임용길)/ 일송정의 추억, 가곡 〈선구자〉의 조두남과 윤해영/ 현충원 친일파 묘 정리 없이 친일청산 없다!

탐방 3 여성 길 …157
애국은 남성만의 전유물인가/ ‘신여성’의 선구자 김란사, 여성 해방의 새 장을 열다/ 국가유공자 제3묘역의 여성들/ 2021년 봄, 독립유공자 묘역에 불기 시작한 변화의 바람/ 안경신ㆍ김마리아ㆍ유관순 등 무후선열제단의 여성 독립운동가들/ 이렇게 바뀌는 데 56년이 걸렸다/ ‘홍일점 의병’ 양방매/ 비극적 죽음으로 삶을 마감한 임수명/ 임시정부요인의 뒷바라지 도맡았던 오건해/ 우여곡절 끝에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오광선·정정산의 묘와 묘비/ 조선혁명군과 한국광복군의 여전사 오광심/ 민족해방운동에서 여성의 역할을 강조한 여성 독립운동가들/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나선 신순호/ 3대에 걸친 독립운동가 집안의 한국광복군 오희영/ 임시정부 요인 묘역에는 왜 여성 독립운동가가 없을까?/ 국가유공자 제2묘역의 김마리아/ 외규장각 「의궤」 반환의 주역, ‘직지 대모’ 박병선/ 국가유공자 제1묘역의 이태영, 한국 최초의 여성 법조인/ 이승만 전 대통령 묘에 합장되어 있는 프란체스카 여사/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에 합장되어 있는 이희호 여사/ 박정희 전 대통령과 나란히 안장되어 있는 육영수 여사

탐방 4 4?3길 …217
“4·3이 머우꽈?”/ 제주 4·3 사건과 베트남전쟁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경찰묘역, 제주 4·3 사건의 의인 문형순의 묘는 어디에?/ 무기력했던 초대 국무총리 이범석/ 안재홍(미군정 민정장관) vs 조병옥(미군정 경무부장)/ 제주 4·3 사건에 대해 ‘가혹한 탄압’을 지시한 이승만/ 서북청년회를 이끌고 제주 4·3 사건에 개입한 경찰간부/ 장군 제1묘역의 김익열, 제주 4·3의 의인/ 장군 제1묘역의 문용채와 최석용, 김정호와 채병덕/ 박진경 대령(11연대 연대장), 그는 왜 부하의 손에 살해되었을까?/ 장병묘역의 김명, ‘산사람들’로 위장한 특수부대 부대장

탐방 5 5월 길 …255
국립서울현충원 ‘5월 길’/ 5ㆍ18 계엄군의 묘, 40년 만에 ‘전사’에서 ‘순직’으로!/ 12·12 쿠데타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김오랑 중령/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신군부 세력의 베트남전 참전 경험/ 12·12 쿠데타 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또 한 명의 군인/ 5·18 민주화 운동 당시 순직 경찰관의 묘/ ‘민주·인권 경찰’은 그 시대를 어떻게 살았는가/ 12·12 군사 반란을 저지하고자 했던 정병주 특전사 사령관의 묘/ 광주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헌신한 전직 대통령

탐방 6 대통령 길 …277
‘대통령길’을 걸으며 한국 현대사를 되짚어본다/ 대한민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통령의 위상과 역할은?/ 이승만 전 대통령(초대~3대)의 묘/ 이승만은 스스로 자신의 묏자리를 정했다?/ 시비에 새긴 〈헌시〉와 시대 인식/ 김대중 전 대통령(15대)의 묘/ 박정희 전 대통령(5대~9대)의 묘/ 박정희에 대한 평가는 지금도 진행 중/ 김영삼 전 대통령(14대)의 묘/ 죽어서도 차별?

탐방 7 평화 통일 길 …303
분단과 전쟁으로 이어진 우리의 아픈 현대사/ 서울현충원의 ‘평화·통일 길’/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과 소년병의 ‘부치지 못한 편지’/ 현충문 폭파 사건/ ‘육탄10용사’ 현충비 앞에서 겪는 복잡한 심경/ 현충원에 안장된 ‘실미도 사건’의 피해자들/ 독립유공자 묘역에서 평화와 통일의 희망을 발견하다/ 남과 북에서 동시에 잊힌 독립운동가 장재성/ 북에는 진묘, 남에는 허묘… 조선혁명군 총사령 양세봉 장군의 묘/ 임정요인 묘역의 손정도·박신일 부부와 두 아들(손원일, 손원태)/ 국가유공자 제2묘역의 주시경과 그 제자들/ 6·15 남북공동선언의 주역,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 ‘전쟁 영웅’이 아닌 ‘평화 영웅’이 부각되는 시대를 기다리며

부록 전국 국립묘지 현황 및 참고문헌 …333

관련분야 신착자료

길승수 (2023)
정연식 (2023)
조원창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