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errick, James A. 강상현, 姜尙炫, 1957-, 역
서명 / 저자사항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 / 제임스 A. 헤릭 지음 ; 강상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Culture Look :   컬처룩,   2022  
형태사항
627 p. ; 23 cm
총서사항
컬처룩 미디어 총서 ;023
원표제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 an introduction (7th ed.)
ISBN
9791192090047 9791185521060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595-614)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Rhetoric --History Rhetoric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9335
005 20220705171629
007 ta
008 220622s2022 ulk b 001c kor
020 ▼a 9791192090047 ▼g 94300
020 1 ▼a 9791185521060 (세트)
035 ▼a (KERIS)BIB00001614183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02.23 ▼2 23
085 ▼a 302.23 ▼2 DDCK
090 ▼a 302.23 ▼b 2014z16 ▼c 23
100 1 ▼a Herrick, James A.
245 1 0 ▼a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 / ▼d 제임스 A. 헤릭 지음 ; ▼e 강상현 옮김
246 1 9 ▼a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 ▼b an introduction ▼g (7th ed.)
246 3 9 ▼a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260 ▼a 서울 : ▼b Culture Look : ▼b 컬처룩, ▼c 2022
300 ▼a 627 p. ; ▼c 23 cm
490 1 0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23
504 ▼a 참고문헌(p. 595-614)과 색인수록
650 0 ▼a Rhetoric ▼x History
650 0 ▼a Rhetoric
700 1 ▼a 강상현, ▼g 姜尙炫, ▼d 1957-, ▼e▼0 AUTH(211009)8947
830 0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23
900 1 0 ▼a 헤릭, 제임스 A.,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14z16 23 등록번호 11186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14z16 23 등록번호 151359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14z16 23 등록번호 11186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14z16 23 등록번호 151359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오늘날의 이론가에 이르기까지 레토릭 전통의 긴 발자취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위대한 레토릭 사상가와 이론가들의 여러 아이디어에 의존하면서 장구한 역사적 탐구를 하는 이 책은 설득적 공적 담론이 어떻게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서구권뿐만 아니라 비서구권의 레토릭과 페미니즘 이론, 과학 레토릭, 유럽과 미국의 비판 이론 등도 다룬다.

또한 이 책은 말과 글을 비롯하여 인쇄 및 영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다양한 상황에서 설득적 말하기와 글쓰기를 평가하고 실행하기 위한 개념적인 틀을 제공해 준다. 레토릭을 통한 상호 작용은 사회적 합의를 발전시키고 서로 협동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해 나가게 해준다. 현대 사회는 다원적인 특성으로 인해 담론을 통해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레토릭 연구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에 더욱더 적실하면서도 필요함을 보여 준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 디지털 시대에 이르기까지
레토릭의 장구한 역사와 이론을 종횡무진 넘나들다

흔히 레토릭을 말과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는 물론 지금도 말은 중요한 소통과 설득의 수단이다. 그러나 초기에 말을 주된 매개로 했던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는 문자와 인쇄술은 물론 오늘날의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까지 이어지면서 훨씬 다양한 소통과 설득의 수단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개인 및 집단과 문자 소통을 하며,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정보를 주고받고, 줌을 매개로 한 수업과 회의에도 참가한다.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가상화된 현실 세계에 참여하기도 한다. 모든 만남과 소통과 공유의 공간에서, 때로는 갈등 상황에서 우리는 타인에게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타인의 동의를 얻기 위해 노력한다. 레토릭의 역사는 말하기와 글쓰기에서부터 오늘날의 첨단 디지털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통과 설득의 전략적 이용에 대한 관심을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오늘날의 이론가에 이르기까지 레토릭 전통의 긴 발자취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위대한 레토릭 사상가와 이론가들의 여러 아이디어에 의존하면서 장구한 역사적 탐구를 하는 이 책은 설득적 공적 담론이 어떻게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서구권뿐만 아니라 비서구권의 레토릭과 페미니즘 이론, 과학 레토릭, 유럽과 미국의 비판 이론 등도 다룬다.
또한 이 책은 말과 글을 비롯하여 인쇄 및 영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다양한 상황에서 설득적 말하기와 글쓰기를 평가하고 실행하기 위한 개념적인 틀을 제공해 준다. 레토릭을 통한 상호 작용은 사회적 합의를 발전시키고 서로 협동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해 나가게 해준다. 현대 사회는 다원적인 특성으로 인해 담론을 통해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레토릭 연구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에 더욱더 적실하면서도 필요함을 보여 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임스 A. 헤릭(지은이)

미국 호프칼리지 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 교수로,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종교, 과학 분야의 레토릭 측면을 연구해 왔다. 저서로는 《레토릭의 역사와 이론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2021, 7판)을 비롯해 《논증: 주장의 이해와 형성Argumentation: Understanding and Shaping Arguments》(2017, 6판), 《기술적 탁월성의 전망: 인간적 고양과 레토릭의 미래Visions of Technological Transcendence: Human Enhancement and The Rhetoric of Future》(2017) 등이 있다.

강상현(옮긴이)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디지털 방송론, 레토릭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회장,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 실무위원장,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공동위원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과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책으로는 《정보 통신 혁명과 한국 사회: 뉴 미디어 패러독스》, 《크리스티안 푹스의 초국적 정보자본주의 비판》,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공저), 《모바일 미디어》(공저),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디지털 방송론》(공저),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공편),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 정보 사회》(공저), 《지배 권력과 제도 언론》(공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레토릭이란 무엇인가
레토릭에 대한 재평가
레토릭과 설득
레토릭의 개념
레토릭과 상징 체계 ? 효과적인 상징적 표현
레토릭 담론
레토릭은 계획적인 것이다 ? 레토릭은 수용자에게 맞추는 것이다 ? 레토릭은 인간적인 동기를 드러낸다 ? 레토릭은 반응하는 것이다 ? 레토릭은 설득을 추구한다 ? 레토릭은 상황 의존적인 쟁점을 다룬다
레토릭 기술의 사회적 기능
레토릭은 아이디어를 검증한다 ? 레토릭은 특정 입장을 옹호한다 ? 레토릭은 힘을 배분한다 ? 레토릭은 사실을 발견한다 ? 레토릭은 지식을 만들어 낸다 ? 레토릭은 공동체를 만들어 낸다
결론
반복되는 주제

2장 레토릭의 기원과 초기 역사
레토릭의 등장
아테네의 민주 개혁 ? 아테네의 교육 ? 아테네 법정과 민회
소피스트
아테네의 번영 ? 소피스트에 대한 평판 ? 소피스트는 무엇을 가르쳤나 ? 소피스트는 어떻게 가르쳤나 ? 소피스트는 왜 논란거리가 됐나
영향력 있는 두 소피스트
고르기아스 ? 고르기아스의 찬가와 레토릭 장치 ? 프로타고라스
이소크라테스: 레토릭의 거장
선생 이소크라테스 ? 정치이론가 이소크라테스
고대 그리스의 여성 작가
스파르타 여성의 속담 ? 아스파시아 ? 사포
결론

3장 플라톤과 소피스트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시험대에 오른 레토릭
고르기아스와의 토론: 레토릭의 특성과 이용 ? 소크라테스와 폴루스: 권력으로서의 레토릭 ? 소크라테스와 칼리클레스: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 ? 《고르기아스》가 남긴 것 ? 플라톤은 레토릭과 소피스트에게 공정했는가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의 레토릭: 진정한 기술?
영혼의 복잡성 ? 마부 신화 ? 레토릭 기술의 구성 요소 ? 영혼 기술로서의 레토릭
결론

4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레토릭의 개념
레토릭과 변증법
레토릭과 변증법: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 기술로서의 레토릭
약식 삼단 논법
청중과 함께 구성된 주장 ? 민주적인 논증
세 가지 레토릭 상황
정책 연설(의회 연설 또는 정치 연설) ? 의식 연설 ? 법정 연설
기술적 입증
로고스: 올바른 주장의 논리 ? 파토스: 청중의 감정에 대한 심리학 ? 에토스: 화자의 특성에 대한 사회학 ? 토포이: 주장의 유형 ? 일반적인 오류
아리스토텔레스의 스피치 스타일관
은유와 다른 장치
결론

5장 로마의 레토릭
로마 사회와 레토릭 장소
레토릭과 정치권력 ? 레토릭과 로마 교육
키케로의 레토릭 이론
《창안에 대하여》와 《헤레니우스를 위한 레토릭》 ? 레토릭의 기본 원리 ? 창안과 기억 공부 ? 키케로의 《연설가에 대하여》 ? 키케로의 종말
퀸틸리아누스
토가 ? 레토릭과 훌륭한 시민 ? 시민-연설가 교육시키기
롱기누스: 《숭고함에 대하여》
언어의 감정적 힘
후기 로마 제국의 레토릭
제2 소피스트 현상
결론

6장 기독교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레토릭
레토릭, 긴장, 그리고 파편화
중세 초기의 레토릭
성 아우구스티누스 ? 아우구스티누스의 레토릭 이론
《기독교 교리에 관하여》
아우구스티누스와 레토릭 교육 ? 마르티아누스 카펠라 ? 보에티우스
레토릭과 중세 교육
디스푸타티오와 센텐티아이 ? 여성과 교육 ? 레토릭의 지속성
중세 절정기의 레토릭 기술
설교술 ? 서간술 ? 편지 쓰기 기법 ? 여성과 편지 쓰기 ? 시작술 ?
마리 드 프랑스
결론

7장 르네상스 시대의 레토릭
르네상스의 여성 레토릭 전문가
크리스틴 드 피상
이탈리아 인본주의
인본주의자의 특징 ? 공증인 ? 고전 전통의 회복 ? 페트라르카 ? 피코 델라 미란돌라 ? 로렌초 발라 ? 후안 루이스 비베스 ? 레토릭과 르네상스 교육 ? 레토릭과 르네상스 미술
변증법으로의 선회
아그리콜라 ? 페트뤼 라무스
영국의 르네상스 레토릭
레토릭 교육 ? 마술, 과학, 그리고 스타일
후기 르네상스와 대화적 레토릭
마들렌 드 스퀴데리
결론

8장 계몽주의 레토릭
변화하는 레토릭의 역할
마거릿 캐번디시
글쓰기 경력
비코와 인간 사상의 레토릭
비코와 데카르트 ? 레토릭과 상상력 ? 레토릭과 인간 사유의 진화 ? 비코의 신화론: 문명 형성력으로서의 서사 ? 영향
18세기 영국의 레토릭
영국 교육에서의 레토릭 ? 연설법 운동
스코틀랜드 학파
순문학 운동 ? 케임스 경 ? 휴 블레어 ? 조지 캠벨 ? 리처드 와틀리: 고전 레토릭을 되살리다 ? 마리아 에지워스
결론

9장 현대 레토릭 Ⅰ: 주장, 수용자, 과학
논증과 합리적 담론
페렐만과 올브레흐츠타이테카: 뉴 레토릭 ? 수용자 중심성 ? 위르겐 하버마스와 합리적 사회
과학 레토릭
선구자들 ? 과학에 대한 레토릭적 접근 ? 검증되지 않은 과학의 힘 ? 과학에서의 옹호 ? 과학과 공동체 ? 디어드리 매클로스키와 경제학 레토릭 인류학에서의 레토릭 ? 존 캠벨이 보는 찰스 다윈의 레토릭
결론

10장 현대 레토릭 Ⅱ: 서사, 배치, 대상
맥락 속의 레토릭
케네스 버크와 상징적 행위로서의 레토릭 ? 로이드 비처와 상황적인 것으로서의 레토릭
레토릭과 서사
변화 ? 미하일 바흐친과 다성적 소설 ? 웨인 부스와 소설의 레토릭 ? 서사 되돌아보기 ? 서사 레토릭에 대한 월터 피셔의 생각 ? 스토리와 공동체에 대한 어니스트 보먼의 견해
배치 레토릭
사물 레토릭
디지털 레토릭
주목 경쟁 ? 뉴 리터러시
결론

11장 현대 레토릭 Ⅲ: 텍스트, 권력, 대안
포스트모던 레토릭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것”에 대한 문제 제기 ? 장프랑수아 료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 미셸 푸코 ? 퀴어 이론 ? 자크 데리다
페미니즘과 레토릭
남성 언어에 대한 도전 ? 여성 목소리의 실종 ? 창안과 이론 ? 젠더를 레토릭하게 구성하기 ? 해결책: 레토릭의 재개념화 ? 정복으로서의 레토릭 ? 초대로서의 레토릭 ? ‘작품,’ ‘텍스트,’ 해독 작업 ? 페미니즘과 고대 전통
비교 레토릭
고대 인도 레토릭에서의 주장 ? 아프리카의 레토릭 형식 ? 비유럽 레토릭에 관한 조지 케네디의 연구 ? 아즈텍과 이집트 레토릭 ? 고대 중국의 레토릭 ? 아베로에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전통: 12세기 아랍 레토릭 ? 그리스 전통의 재조망
결론

리뷰와 토론
참고 문헌
용어 해설

관련분야 신착자료

有山輝雄 (2023)
Gladwell, Malcolm (2023)
Luhmann, Niklas (2023)
변용수 (2023)
샌드박스네트워크. 데이터랩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