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223 | |
005 | 20220623174838 | |
007 | ta | |
008 | 220621s2022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9229202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194665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82 | 0 4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2z3 | |
245 | 0 0 | ▼a 호모 내러티쿠스 = ▼x Homo-narraticus : ▼b 인문융합치료의 이해 / ▼d 김영순 [외] |
260 | ▼a 하남 : ▼b 패러다임북, ▼c 2022 | |
300 | ▼a 408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490 | 1 0 | ▼a 인문융합상담 총서 ; ▼v 01 |
500 | ▼a 공저자: 오영섭, 권요셉, 김진선, 지성용, 오정미, 황해영, 왕금미, 김의연, 이정섭, 정화정, 윤수진 | |
504 | ▼a 참고문헌(p. 377-39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영순, ▼g 金永洵, ▼d 1966-, ▼e 저 ▼0 AUTH(211009)39640 |
700 | 1 | ▼a 오영섭, ▼e 저 |
700 | 1 | ▼a 권요셉, ▼e 저 |
700 | 1 | ▼a 김진선, ▼e 저 |
700 | 1 | ▼a 지성용, ▼e 저 |
700 | 1 | ▼a 오정미, ▼e 저 |
700 | 1 | ▼a 황해영, ▼e 저 |
700 | 1 | ▼a 왕금미, ▼e 저 |
700 | 1 | ▼a 김의연, ▼e 저 |
700 | 1 | ▼a 이정섭, ▼e 저 |
700 | 1 | ▼a 정화정, ▼e 저 |
700 | 1 | ▼a 윤수진, ▼e 저 |
830 | 0 | ▼a 인문융합상담 총서 ; ▼v 01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3 | 등록번호 1118660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함께’ 이야기하는 인간으로서 ‘호모 내러티쿠스’를 만나게 된다. ‘호모 내러티쿠스’라는 언명은 인문학의 핵심 개념인 ‘내러티브’가 의미구성의 토대를 이루고 있음에 기초한다.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는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진행해 온 ‘인문융합치료 콜로키움’의 연구활동 성과를 글로 엮은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인문융합치료가 인문학의 제 학문분과를 융합하여 인간을 치유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학문의 분야 자체로 그 철학적 배경은 물론 연구의 대상과 학문적 이념 그리고 특유의 연구방법을 지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함께’ 이야기하는 인간으로서 ‘호모 내러티쿠스’를 만나게 된다. ‘호모 내러티쿠스’라는 언명은 인문학의 핵심 개념인 ‘내러티브’가 의미구성의 토대를 이루고 있음에 기초한다.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는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진행해 온 ‘인문융합치료 콜로키움’의 연구활동 성과를 글로 엮은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인문융합치료가 인문학의 제 학문분과를 융합하여 인간을 치유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학문의 분야 자체로 그 철학적 배경은 물론 연구의 대상과 학문적 이념 그리고 특유의 연구방법을 지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는 다음과 같이 4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1부 ‘인문융합치료의 배경과 개념’에서는 인문융합치료에 대한 이론적이면서도 개념적인 내용을 기술한다. 1부는 인문융합치료의 이념과 학문적 배경 (1장), 인문융합치료 관련 교육과 연구 동향 (2장), 인문융합치료의 핵심개념(3장), 인문융합치료의 대상과 전문가(4장)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2부 ‘내러티브 인문융합치료의 실제’에서는 내러티브와 연극, 음악, 명화, 미술 등의 장르를 융합한 치유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3부에서는 연극융합치료: 몸짓과 이야기의 만남(8장), 음악융합치료: 리듬은 무의식을 타고(9장), 명화감상융합치료: 명화로 읽는 공감이야기(10장), 미술융합치료: 그림과 이야기의 콜라주(11장)를 제안한다.
4부 ‘초월적 인문융합치료의 도전’에서는 제목 그대로 인문융합치료의 도전 과제들을 제시한다. 4부에서는 영성융합치료: 공존적 인간의 완성(12장), 명상 융합치료: 자기 마음과의 대화(13장), 인문융합진로상담: 미래를 향한 탐구(14장)를 기술한다.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는 인문학의 사회적 실천에 관심이 있는 인문학도는 물론 이미 상담 및 치료 분야의 임상에 재직하는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인문융합치료 안내서의 역할을 하리라 생각한다. 아울러 이 책은 인간이 타자와의 대화를 통해 성찰하는 가운데서 스스로를 치유하고, 함께 이야기하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런 의미에서 보자면 이 책은 자기를 알고자 하는 독자들과 타자와의 관계를 개선하려고 하는 독자들 모두에게 유익한 독서 거리를 제공하는 교양서 역할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순(지은이)
1965년 강원도 양구 출생, 중앙대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공대 문화교육학부에서 석사를, 베를린자유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학과장, 인하대 부설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BK21 FOUR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공동번역서 『다문화교육과 인간관계』,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등이 있으며, 공동저서로는 『다문화교육용어사전』, 『베트남문화의 오딧세이』,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사회와 리터리시 이해』 외 다수가 있다. 단독저서로는 『다문화 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이론가들』, 『다문화교육과 협동학습 경험』, 『이주여성의 상호문화 소통과 정체성 협상』, 『공유된 미래 만들기』, 『시민을 위한 사회·문화 리터러시』가 있다. 또한 연구방법론 분야의 공동저서로는 『질적 연구 여행』, 『질적 연구의 즐거움』이 있다.
지성용(지은이)
현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학과 간 협동과정 인문융합치료전공 초빙 교수다. 한국영성심리분석상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융합심리분석상담사(보건복지부, 직능원 2022-000731) 수퍼바이저 및 출제·검정위원장, 인문융합상담치료전문가 수퍼바이저(2021-SUP-002) 및 검정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센터 초대센터장과 라파엘종합상담센터장을 역임했다.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서 대외협력처장을 지냈으며, 천주교인천교구 50주년기념 영성센터장으로 일했다. 이탈리아 교황청립 우르바노대학교 STL(Dogma)석사, STD(Spirituality)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영국 St. Anselm Institute에서 Spiritual counseling Skill,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연구과정에 참여했다. 그동안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2022, 김영순 공저)》, 《에니어그램의 영성(2018)》, 《바이블테라피(2013)》 등을 출간했다.
황해영(지은이)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와 한국연구재단 지원 사업인 초국적 이주시대 가족센터 구성원의 상호문화 실천에 관한 통합적 연구에 관한 사무국장을 겸임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중국동포 결혼이주여성의 생애경험 탐구: 인정투쟁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가 있으며, 공동 번역서로는 『중국 민족지 1,2,3』이 있다. 또한 『재한 중국동포 단체 리더의 인정투쟁의 의미』,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 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동향 연구』, 『중·고등학교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정미(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다문화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연구의 전임연구원을 맡은 바 있다. 이후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 전공의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의 학술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건국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상지대학교, 국민대학교에서 다문화와 관련한 강의를 했으며, 단독저서로 『다문화 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이 있고, 공동저서로 『시집살이 이야기 집성 1~10』, 『한국전쟁 이야기 집성 1~10』, 『한국문화와 콘텐츠』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상호문학교육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법론 연구: 다국적의 구비문학 자료를 바탕으로」,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 베트남 설화를 중심으로」, 「아시아 트릭스터담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 ‘다름’이 아닌 ‘같음’을 바탕으로」, 「이주민 설화 조사를 통해 본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 등이 있다.
김의연(지은이)
일본 Kurume대학에서 심리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이면서, 자연속애(愛)의원 발달센터장, 미래사회건강교육협동조합 이사장, 한국인간발달학회 이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행동수정 심리솔루션 12가지: 보육교사 알고 싶은 ADHD & 문제행동>, <소아암 완치자를 위한 12가지 심리제안>, <소아당뇨병을 위한 12가지 심리제안> 등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 청소년을 위한 저서가 있다. 명상 관련저서는 <東洋医学を応用した ストレスケアの実際 ストレス科学との連携と協働>가 있다.
오영섭(지은이)
미국 에즈베리신학대학원에서 상호문화학으로 문학 석사 학위를,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BK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부설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공동 저서로는 <이주배경 청소년을 위한 미술·이야기융합치료의 이해>를 집필했다. 인문융합상담전문가, 교류분석상담사, 미술심리상담사, 목회상담가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주배경 청소년과 외국 인유학생을 상담하고 다문화상담을 가르치고 있다.
권요셉(지은이)
인하대학교에서 인문융합치료 전공으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와 인문융합치료 전공 초빙교수로 정신분석과 문학치료를 강의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노인 우울증자의 분석가담화 기반 생애회상치료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 『라캉을 둘러싼 인문학』, 『나는 왜 불안한 사랑을 하는가』 등이 있다. 또한, 『Narr ative inquiry on the Subjectivity Change Process of Lifelong Learners in Psychoanalysis』,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노인 우울증 환자의 생애회상기반 상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진선(지은이)
인하대학교에서 상담심리전공으로 교육학석사학위 취득 후 인문융합치료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영역은 다문화, 청소년, 진로상담 등이다. 현재 청소년상담사이며 임상심리사로 인천진로학습센터에서 진로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연구위원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사학위논문은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경험 사례연구: 인문융합치료를 중심으로”이다.
왕금미(지은이)
동국대학교에서 예술치료석사학위를 취득 후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문융합치료전공 초빙교수, 케이바움미술치료교육연구소 소장, 한국통합미술심리치료학회장을 역임하였다. 공동저서로는 <미술이야기융합치료의 이해>. 주요논문으로는 “콜라주를 활용한 청소년의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ollage art therapy for immigrant youthes”, “미술매체를 활용한 학교밖 중도입국 청소년의 콜라주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등이 있다.
이정섭(지은이)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문융합치료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부설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공립형 대안학교의 전문상담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인천가정법원의 위탁보호위원직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이주 배경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요인에 관한 동향 연구”가 있다.
정화정(지은이)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에서 교육학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인하대학교 인문융합 치료학과 박사과정에서 수련 중이다. 상담가로서 미술, 동작, 연극 등 예술 매체를 이용한 심리치료로 다양한 내담자를 만나고 있다. 경찰서와 보호관찰소에서 비행 청소년 상담과 성폭력 가해자 교육을 하고 있으며 정신병원에서 사이코드라마 디렉터로, 대안학교 심리치료 교과의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비교”, “사이코 드라마 연구에 관한 동향분석” 등이 있다.
윤수진(지은이)
평범한 우리나라 들꽃의 숨겨진 아름다움을 전통적인 채색기법으로 보여주는 작가로서 활동하며 마니프서울국제아트페어, 국가보훈문화예술협회 여성작가 초대전, 한국·홍콩 모던아트페어 등 여러 전시에 초대됐다. 또한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경기도미술대전 특선, 아트서울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그동안 그림을 그리면서 나를 치유하는 시간을 가졌다면, 미술치료를 하면서 타인 특히 전입신병의 심리를 치유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사명감으로 2019년부터 전입신병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 ‘전입신병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학과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서문] 함께 이야기하는 인간, 호모 내러티쿠스 1부 인문융합치료의 배경과 개념 1장 인문융합치료의 학문적 배경 1. 인문융합치료의 이념: 공존인문학 2. 인문융합치료와 연구방법 2장 인문융합치료 관련 교육 및 연구 동향 1. 인문융합치료 교육 동향 2. 융합의 원리와 연구동향 3장 인문융합치료 핵심개념 1. 개념 정립을 위한 변론 2. 인문융합치료의 원리 4장 인문융합치료의 대상과 전문가 1. 인문융합치료의 대상 2. 인문융합상담전문가 3. 인문융합치료의 기법 2부 내러티브융합치료의 실제 5장 이야기융합치료: 그림으로 푸는 이야기 1. 이론적 배경 2. 미술 · 이야기융합치료의 모형 3. 미술 · 이야기융합치료의 실제 6장 문학융합치료: 은유와 내러티브의 어울림 1. 이론적 배경 2. 인접 학문의 소개 3. 서사문학융합치료 프로그램과 실제 사례 7장 스토리텔링융합치료: 이미지에 이야기를 입히다 1. 이론적 배경 2. 스토리텔링융합치료의 메커니즘 3. 스토리텔링융합치료의 모형 3부 예술융합치료의 실제 8장 연극융합치료: 몸짓과 이야기의 만남 1. 이론적 배경 2. 이야기와 연극치료 3. 연극치료와 정서 4. 연극융합치료 사례 9장 음악융합치료: 리듬은 무의식을 타고 1. 이론적 배경 2. 자유연상-음악융합치료 프로그램 3. 자유연상-음악융합치료의 실제 4. 결론 10장 미술 융합치료: 그림과 이야기의 콜라주 1. 미술치료 및 내러티브 2. 미술융합치료의 원리 3. 미술융합치료의 치료적 속성과 단계 4. 미술융합치료의 모형 5. 미술융합치료 프로그램 사례 11장 명화감상융합치료: 명화로 읽는 공감이야기 1. 이론적 배경 2. 명화 · 미술융합치료 프로그램 개발 3. 명화 · 미술융합치료 프로그램 실제 4부 초월적 인문융합치료의 도전 12장 영성융합치료: 공존적 인간의 완성 1. 종교와 영성 2. 자아초월과 영성의 인문학적 융합 3. 인문융합치료와 영성심리학 4. 다가오는 새로운 연구 주제 앞에서 13장 명상융합치료: 자기 마음과의 대화 1. 이론적 배경 2. 명상융합치료의 모형 14장 인문융합진로상담: 미래를 향한 탐구 1. 이론적 배경 2. 인문융합진로상담의 모형 3. 인문융합진로상담 사례: 다문화가정 청소년 참여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