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198 | |
005 | 20231128133102 | |
007 | ta | |
008 | 220621s202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67423436 ▼g 94700 | |
020 | 1 | ▼a 979118553081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238330 | |
040 | ▼a 245016 ▼c 245016 ▼d 211009 | |
041 | 0 | ▼a kor ▼a ger |
082 | 0 4 | ▼a 410.285 ▼2 23 |
085 | ▼a 410.285 ▼2 DDCK | |
090 | ▼a 410.285 ▼b 2022 | |
245 | 0 0 | ▼a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 / ▼d 김형민 [외] |
246 | 3 | ▼a 제사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2 | |
300 | ▼a 220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 ▼v 05 |
500 | ▼a 공저자: 황화상, 송상헌, 김한샘, 홍정하, 강병규, 박민준, 유덕근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독일어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김형민, ▼g 金炯玟, ▼d 1963-, ▼e 저 ▼0 AUTH(211009)38328 |
700 | 1 | ▼a 황화상, ▼g 黃華相, ▼d 1969-, ▼e 저 ▼0 AUTH(211009)3794 |
700 | 1 | ▼a 송상헌, ▼g 宋相憲, ▼d 1977-, ▼e 저 ▼0 AUTH(211009)150368 |
700 | 1 | ▼a 김한샘, ▼d 1975-, ▼e 저 ▼0 AUTH(211009)79654 |
700 | 1 | ▼a 홍정하, ▼d 1969-, ▼e 저 ▼0 AUTH(211009)76490 |
700 | 1 | ▼a 강병규, ▼g 姜炳圭, ▼d 1973-, ▼e 저 ▼0 AUTH(211009)15024 |
700 | 1 | ▼a 박민준, ▼e 저 |
700 | 1 | ▼a 유덕근, ▼g 兪德根, ▼d 1973-, ▼e 저 ▼0 AUTH(211009)88048 |
830 | 0 | ▼a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 ▼v 05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285 2022 | 등록번호 1118659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정신에 부합하기 위해 기존의 이론언어학과 공학을 융합한 ‘디지털 언어 연구’일 것이다. 디지털 언어 연구는 인간과 기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간 언어의 데이터를 기술하고 분석하며 설명한다.
이를 통해 언어 연구가 인공지능, 언어공학, 언어정보학 등의 진일보에 도움을 준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전통적인 이론언어학을 등한시하지 않는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이론언어학의 기반 위에서 응용언어학의 융합을 타진하므로, 이론언어학의 도움과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다. ‘언어 연구’+‘공학’의 융합은 순수 학문 분야를 넘어 산업계의 발전에도 일조할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학은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넘어, 산업계의 성장과 더 나은 인간의 미래 삶에 이바지할 것이다.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의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5’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제4차 산업혁명’은 2016년 1월 20일~23일 스위스의 다보스(Davos)에서 열린 제46회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이 화두로 제시한 개념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20세기 후반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식정보혁명을 이룩한 제3차 산업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을 일컫는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정신에 부합하기 위해 기존의 이론언어학과 공학을 융합한 ‘디지털 언어 연구’일 것이다. 디지털 언어 연구는 인간과 기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간 언어의 데이터를 기술하고 분석하며 설명한다. 이를 통해 언어 연구가 인공지능, 언어공학, 언어정보학 등의 진일보에 도움을 준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전통적인 이론언어학을 등한시하지 않는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 연구는 이론언어학의 기반 위에서 응용언어학의 융합을 타진하므로, 이론언어학의 도움과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다. ‘언어 연구’+‘공학’의 융합은 순수 학문 분야를 넘어 산업계의 발전에도 일조할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학은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넘어, 산업계의 성장과 더 나은 인간의 미래 삶에 이바지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황화상(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E-mail: hshwang@sogang.ac.kr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미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2017)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2021) 등
유덕근(지은이)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독어학 석사 - 독일 Universität Bielefeld 언어학 박사 - 現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교수 - 저서 FLEX 독일어 (공저, 2010, 한국외대 지식출판콘텐츠원)
강병규(지은이)
중국 북경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 이학박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조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학과 교수
홍정하(지은이)
[학력] 1996년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1998년 고려대학교 철학과(언어학) 석사 2005년 고려대학교 언어과학과(전산언어학) 박사 [주요경력] 2008~200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2009~2013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교수2016~현재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연구교수 [역서] 『언어학자를 위한 통계학 : R 활용』(2013) (공역) [논문] 『담화표지 ‘-는’/‘-가’와 화자 시점 :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2011), 『만-켄달추세 검증과 언어 사용 추세 분석』(2012), 『신문 텍스트 유형의 통시적 변화: 접속부사 사용 추세의 통계분석을 중심으로』(2012), 『추세의 유사도를 이용한 중심어와 관련어의 상관성 연구 : 통계적 방법과 활용』(2014), 『무작위 표본에 대한 코퍼스 언어학적 연구』(2014)
김형민(지은이)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Salzburg)대학교 철학박사 숭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유럽문화학과 교수
송상헌(지은이)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언어학 박사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NTU) Research Fellow,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부교수
김한샘(지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 전공 문학박사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부교수
박민준(지은이)
중국 북경대학교 중어중문학 박사 북경대학교 한어연구센터(CCL) 연구원,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 객원연구원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전공 조교수

목차
간행사 책머리에 ?ber die Besonderheiten des Parsings in verschiedenen linguistischen Theorien?Kim, Hyeong Min 1. Einf?hrende ?berlegungen 2. Was ist Parsing? 3. Schlussbemerkung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 연구-주요 문제와 언어학의 역할?황화상 1. 서론 2. 한국어 분석의 주요 문제들 3. 언어학(자)의 역할 4. 요약 딥러닝 언어모형의 평가와 언어학?송상헌 1. 들어가며 2. 언어모형 3. 평가체계 4. 검증 환경 5. 언어학의 기여 6. 맺으며 주석 말뭉치의 현황과 전망-감성 분석 말뭉치를 중심으로?김한샘 1. 머리말 2. 인공지능 시대의 주석 말뭉치 3. 문장 단위의 감성 주석 말뭉치 4. 감성 요소 상세 주석 말뭉치 5. 맺음말 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벤포드 법칙: 원리와 응용?홍정하 1. 서론 2. 벤포드 법칙 3. 언어 텍스트의 벤포드 분포 4. 텍스트의 벤포드 분포에서 저빈도 타입 5. 큰수의 법칙과 텍스트 크기 6. 텍스트의 표준 벤포드 분포 7. 결론 중국의 자연어처리 연구 현황과 발전 추세?강병규·박민준 1. 서론 2. 자연어 처리(NLP) 국제 학계에서의 중국의 위상 3. 중국 국내 자연어처리 연구현황 분석 4. 중국어 자연어처리 연구의 발전 역사와 최근 동향 5. 맺음말 입력강화 방식을 통한 형태중심 언어학습 연구-인공문법과 독일어어순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유덕근 1. 들어가는 말 2. 기억과 언어학습 3. 입력자극 분포 4. 인공문법과 독일어 어순 학습 5.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