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9159 | |
005 | 20220623105430 | |
007 | ta | |
008 | 220621s2022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68014794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6233437 | |
040 | ▼a 244008 ▼c 244008 ▼d 211009 | |
082 | 0 4 | ▼a 324.6309494 ▼2 23 |
085 | ▼a 324.6309494 ▼2 DDCK | |
090 | ▼a 324.6309494 ▼b 2022 | |
100 | 1 | ▼a 최용훈, ▼g 崔容熏 |
245 | 1 0 | ▼a 스위스 선거제도의 이해 = ▼x Switzerland election system / ▼d 최용훈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2 | |
300 | ▼a 45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40-356)과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6309494 2022 | 등록번호 1118659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스위스의 선거와 정당제도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와 행정자치위원회에서 4년간 일했던 경험을 토대로 비교법적 측면에서 검토했다. 연방·칸톤·코뮌 차원에서 재외국민과 외국인의 참정권 허용 수준, 후보자명부 작성, 선거운동 방법, 투표용지별 기표방법, 유권자 90%가 활용하는 우편투표와 2019년 하반기에 중단된 전자투표를 상세하게 소개했다. 또한 제네바 칸톤과 코뮌의 선거제도, 정당과 재정, 정당별 연혁 및 정강정책 등을 자세히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1848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연도별 연방선거 결과를 기술했다. 특히 관련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112개의 도표와 53개의 그림을 실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연방선거제도 개요 제1절 연방선거 개요 제2절 연방선거 참정권 제3절 여성, 재외국민, 외국인, 장애인의 참정권 제4절 연방의원 정수 및 칸톤별 의석배분 제5절 하원의원 선출방식 제6절 상원의원 선출방식 제2장 연방선거 준비 및 선거운동 제1절 선거일 및 국민투표일 제2절 선거인명부 및 후보자명부 제3절 연방선거 운동 제4절 재·보궐선거 제3장 투표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기표방법 제3절 투표소 투표 제4절 우편투표 제5절 전자투표(인터넷 투표) 제4장 개표 및 당선인 결정 제1절 개표 절차 제2절 연방의원 당선인 결정:비례대표제의 의석배분 제3절 선거결과 공표 및 이의신청 제4절 투표율 및 선거운동 비용 제5장 칸톤 및 코뮌선거 제1절 칸톤 선거 제2절 제네바 칸톤선거 사례 제3절 2018년 4월 제네바 칸톤의원 및 칸톤정부 선거 제4절 코뮌선거 제6장 스위스 정당론 제1절 스위스 정당 개요 제2절 정당과 재정 제3절 정당별 지지층 및 득표율 제4절 주요 정당 및 군소 정당 제7장 주요 연도별 선거결과 제1절 1848년~1917년(다수대표제) 제2절 1919년(비례대표제 도입)~1967년 제3절 1970년 이후 참고문헌 미주 찾아보기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