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8084 | |
005 | 20220622113126 | |
007 | ta | |
008 | 220616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66850936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233501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495.75071 ▼2 23 |
085 | ▼a 497.5071 ▼2 DDCK | |
090 | ▼a 497.5071 ▼b 2022 | |
100 | 1 | ▼a 고춘화, ▼g 高春花, ▼d 1973- ▼0 AUTH(211009)54233 |
245 | 1 0 | ▼a 국어 의식과 문법 교육 : ▼b 국어교육철학의 뿌리로서 문법 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 / ▼d 고춘화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2 | |
300 | ▼a 37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50-371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071 2022 | 등록번호 1118658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교육에서 사라진 ‘국어’는 문법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 국어를 위한, 국어에 의한, 국어의 문법 교육은 이상이 아니라 현실이다. 모국어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그 바탕으로서의 문법 교육은 온전히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은 우리말에 대한 앎과 사랑에서 출발합니다. 문법 교육은 우리말의 규칙과 원리를 중점적으로 가르치기에 문법 교육은 국어교육의 바탕이자 뿌리입니다. 문법 교육은 여러 가지 오해와 선입견을 견뎌내는 한편 교육내용을 다양하게 확장하면서 나아가고 있습니다. 마치 일제 강점기의 국어학자들이 우리말을 지켜냈듯이 문법 교육은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말로서의 국어교육을 지켜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 책은 문법 교육에서 국어교육이란 무엇이고 어떠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묻고 답한 것입니다.
― 머리말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Ⅰ. 국어 의식과 문법 교육의 정체성 1장 언어정체성과 문법 교육의 역할 2장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3장 어문운동의 교육적 함의와 실현 양상 4장 주시경의 국어 의식과 「國語文法」(1910) Ⅱ. 언어 의식과 문법 교육의 내용 5장 학습자 언어 의식과 형태소 교육 6장 개념 범주와 의미 속성 중심의 명사 교육 7장 삶의 실제성과 역동성 중심의 의미 교육 Ⅲ. 교실 언어와 문법 교육의 실행 8장 이야기 생성과 표현을 통한 문법 수업 9장 머릿속사전을 활용한 추상어 교육 방안 10장 교실 언어문화와 비속어 교육 Ⅳ. 문법 교육과 국어교육철학 11장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정체성 12장 문법 교육 텍스트의 변천과 특징 13장 문법 교육의 통합과 국어교육의 인간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