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8079 | |
005 | 20230808113253 | |
007 | ta | |
008 | 220616s202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30314938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6158130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36 ▼2 23 |
085 | ▼a 336 ▼2 DDCK | |
090 | ▼a 336 ▼b 2022z1 | |
245 | 0 0 | ▼a 공공경제학 / ▼d 나성린 [외]지음 |
250 | ▼a 제5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22 | |
300 | ▼a xxiii, 460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전영섭, 홍성훈, 허은정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나성린, ▼g 羅城麟, ▼d 1953-, ▼e 저 ▼0 AUTH(211009)117458 |
700 | 1 | ▼a 전영섭, ▼g 錢英燮, ▼d 1957-, ▼e 저 ▼0 AUTH(211009)82769 |
700 | 1 | ▼a 홍성훈, ▼g 洪性勳, ▼d 1980-, ▼e 저 ▼0 AUTH(211009)24110 |
700 | 1 | ▼a 허은정, ▼g 許恩禎, ▼d 1981-, ▼e 저 ▼0 AUTH(211009)15433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 2022z1 | 등록번호 11186581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4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 2022z1 | 등록번호 1118687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번에 제5판을 내놓으면서 저자들도 공공경제학의 학문적 발전과 공공부문 제도의 현실적 변화를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제도 현황을 다루고 있는 제9장 예산제도, 제15장 조세제도, 제17장 사회보장제도, 제19장 지방재정제도 등을 개정하였고, 다른 장에서도 학문 발전과 제도 변화를 반영하도록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5판을 내면서
끊임없이 발전하는 이론과 변화하는 제도를 고르게 반영하여 공공경제학 교과서를 쓰는 것은 어려운 작업임을 저자들은 이번에도 절감하였다. 최근 들어 공공경제학은 제도설계, 사회선택, 최적조세 이론 등이 나오고, 이러한 이론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도 다양하게 이루어지면서 크게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와 정부를 포함하는 공공부문의 의사결정 과정과 정책 효과에 대해 사회적으로 관심이 커지면서 현실의 제도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제4판을 출간한 이후 우리나라의 조세, 재정, 복지 제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몇 가지 큰 변화만 생각해보면, 조세정책에서는 과세형평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소득세와 법인세의 세율이 인상되었다. 이렇게 세율만이 아니라, 소득세와 법인세의 공제제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지난 국제금융위기 이후 낮게 유지된 이자율 때문에 통화정책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재정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우리만이 아니라 여러 나라 정부에서 재정지출 규모를 꾸준히 늘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복지정책에서는 빈곤 수준을 최저생계비와 같은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중위소득과 같은 상대적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변화하였고, 국민연금, 건강보험, 기초연금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번에 제5판을 내놓으면서 저자들도 공공경제학의 학문적 발전과 공공부문 제도의 현실적 변화를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제도 현황을 다루고 있는 제9장 예산제도, 제15장 조세제도, 제17장 사회보장제도, 제19장 지방재정제도 등을 개정하였고, 다른 장에서도 학문 발전과 제도 변화를 반영하도록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5판 개정 작업을 무사히 마쳤다는데 안도감을 느끼면서 조금 더 노력하여 더욱 완결성 있게 교과서를 마무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부끄러움을 느낀다.
이번 제5판 개정 작업에는 서울시립대학교의 허은정 교수가 새로이 저자로 참여하였다. 개정 작업을 진행하면서 저자들을 도와준 분들이 없었다면 작업을 무사히 마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리고 작업을 지원하고 재촉해주신 박영사의 조성호 이사님과 전채린 차장님께 감사 말씀을 드리고 싶다. 하지만 이 책에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저자들의 책임이다. 앞으로 미흡한 점을 더욱 보완하여 이른 시일에 다음 개정판을 내놓을 것을 약속한다.
2022년 2월
나성린, 전영섭, 홍성훈, 허은정
정보제공 :

저자소개
나성린(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경제학과 졸업 영국 University of Essex 경제학석사 영국 University of Oxford 경제학박사 영국 University of Wales 경제학과 연구 조교수 영국 University of Essex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경제학과 초빙 부교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초빙연구위원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회장 행정고등고시, 외무고등고시, 입법고등고시 위원 제18, 19대 국회의원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전영섭(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박사 미국 남일리노이 주립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과 초빙교수 행정고등고시, 입법고등고시 위원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홍성훈(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졸업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경제학박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 조교수
허은정(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박사 독일 본대학교 경제학과 박사후연구원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부교수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목차
PART 01 공공경제학의 기초 CHAPTER 01 공공경제학의 소개 1.1 공공경제학의 내용 7 1.2 공공경제학의 발전과정 9 ■참고문헌 / 12 CHAPTER 02 정부개입의 필요성 2.1 시장경제와 효율성 15 2.1.1 경제적 효율성의 개념: 파레토효율성 16 2.1.2 자원배분의 효율성 17 2.1.3 시장가격체계의 효율성 23 2.2 정부개입의 필요성 24 2.2.1 최소국가론 25 2.2.2 시장실패 25 2.2.3 정부실패 29 2.2.4 공평성 30 ■참고문헌 / 32 CHAPTER 03 소득분배이론 3.1 소득재분배의 필요성 35 3.1.1 공평성의 정의 35 3.1.2 사회후생함수 39 3.1.3 소득재분배의 이유 40 3.2 불평등의 척도 42 3.2.1 소득계층별 분포 43 3.2.2 실증적 척도: 지니계수 44 3.2.3 규범적 척도 46 3.3 효율성과 공평성 49 3.3.1 효율성과 공평성의 상충관계 49 3.3.2 최선의 정책 50 3.3.3 차선의 정책 52 ■참고문헌 / 54 PART 02 정부지출이론 CHAPTER 04 공공재이론 4.1 공공재의 특성 61 4.1.1 비경합성 61 4.1.2 배제불가능성 62 4.1.3 분류의 불완전성 63 4.2 순수공공재의 효율적 공급 63 4.2.1 공공재에 대한 시장수요곡선 도출 63 4.2.2 부분균형적 접근법에 의한 공공재의 효율적 공급 65 4.2.3 일반균형적 접근법에 의한 공공재의 효율적 공급 66 4.3 린달의 자발적 교환모형 69 4.4 무임승차자의 이론 72 4.4.1 무임승차자 문제 73 4.4.2 수요표출메커니즘 74 4.5 클럽이론 79 부록 | 사무엘슨조건의 수학적 도출 81 ■참고문헌 / 85 CHAPTER 05 외부성과 환경정책 5.1 외부성과 시장실패 89 5.2 재산권과 코오즈정리 91 5.2.1 재산권의 정의 91 5.2.2 재산권과 공유지의 비극 92 5.2.3 코오즈정리 94 5.3 환경오염과 환경정책 96 5.4 환경세 98 5.4.1 환경세의 종류 99 5.4.2 우리나라의 환경세 현황 100 ■참고문헌 / 103 CHAPTER 06 공공선택이론 6.1 애로우의 불가능성정리 108 6.2 투표제에 대한 분석 112 6.2.1 전원합의제 112 6.2.2 과반수투표제 112 6.2.3 보다투표제 121 6.2.4 점수투표제 123 6.3 과반수투표제와 정치적 균형 124 6.3.1 중위투표자정리 124 6.3.2 대의민주주의와 정당 126 6.4 관료제의 경제학적 분석 127 6.4.1 니스카넨 모형 127 6.4.2 미그에?벨랑제 모형 129 ■참고문헌 / 131 CHAPTER 07 공기업과 공공요금의 결정 7.1 공공요금 설정의 기본원칙 136 7.1.1 효율성 136 7.1.2 공평성 137 7.1.3 재정수입의 확보 138 7.2 한계비용 가격설정 139 7.3 평균비용 가격설정 140 7.4 램지 가격설정 142 7.5 과부하 가격설정 147 7.6 이부요금 148 7.6.1 코오즈의 이부요금 149 7.6.2 오이의 최적이부요금 151 7.7 비용에 근거한 가격설정방식 152 7.8 공공요금을 결정할 때 현실적으로 고려할 사항 154 부록 | 역탄력성 법칙의 수학적 도출 155 ■참고문헌 / 159 CHAPTER 08 비용-편익 분석 8.1 비용-편익분석의 기초 163 8.2 비용-편익분석의 이론 164 8.2.1 투자기준 165 8.2.2 비용과 편익의 형태 168 8.2.3 비용과 편익의 평가 169 8.2.4 할인율의 선택 170 8.3 비용-편익분석의 실제 172 8.4 위험과 불확실성 173 8.5 비용-편익분석과 소득분배 175 8.6 동태적 비용-편익분석 176 8.7 비용-효율성분석 177 ■참고문헌 / 178 CHAPTER 09 예산제도 9.1 예산의 기능 181 9.1.1 재정정책적 기능 181 9.1.2 행정관리적 기능 183 9.2 예산의 규모 183 9.2.1 최적규모 추정 184 9.2.2 주요국과의 상대적인 크기 비교 184 9.2.3 사업별 비용-편익분석 186 9.3 예산의 지속적 증가 현상 186 9.3.1 소모적 지출의 증가 187 9.3.2 이전지출의 증가 188 9.4 예산제도 189 9.4.1 입찰제도 189 9.4.2 재정계획제도 190 9.4.3 프로그램예산제도 190 9.4.4 영기준예산제도 191 9.5 조세지출예산 193 9.6 우리나라의 예산제도 196 9.6.1 우리나라의 예산 구조 및 규모 196 9.6.2 예산의 종류 199 9.6.3 예산제도의 특징 200 9.6.4 예산정책 발전방향 202 ■참고문헌 / 203 PART 03 조세이론 CHAPTER 10 조세의 기본원리 10.1 경제적 효율성 209 10.2 공평성 210 10.2.1 편익원칙 210 10.2.2 지불능력원칙 212 10.3 행정의 단순성 213 10.4 신축성 214 10.5 정치적 책임성 215 부록 | 수직적 공평성과 누진세 215 ■참고문헌 / 220 CHAPTER 11 조세와 소득분배 11.1 조세의 귀착 223 11.1.1 조세귀착의 정의 223 11.1.2 조세귀착에 대한 접근방법 224 11.2 조세귀착의 부분균형분석 226 11.2.1 완전경쟁시장에서의 부분균형분석 226 11.2.2 독점시장에서의 부분균형분석 230 11.2.3 이윤세의 귀착 232 11.2.4 조세귀착과 자본화 234 11.3 조세귀착의 일반균형분석 235 11.3.1 하버거의 일반균형분석 236 11.3.2 일반균형계산모형 239 부록 |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따른 종량세 귀착의 상대적인 크기 239 ■참고문헌 / 242 CHAPTER 12 정부개입의 필요성 12.1 효율적인 조세 245 12.1.1 정액세 245 12.1.2 초과부담 246 12.1.3 초과부담의 측정 250 12.1.4 왜곡이 이미 존재하는 경제에서 새로운 조세의 도입 251 12.2 소득세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252 12.2.1 노동자의 노동공급 결정 253 12.2.2 소득세가 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254 12.2.3 소득세가 노동시장 참여결정에 미치는 영향 262 12.2.4 실증적 연구 263 12.3 조세가 저축에 미치는 영향 267 12.3.1 기본모형 267 12.3.2 근로소득세가 저축에 미치는 영향 268 12.3.3 이자소득세가 저축에 미치는 영향 269 12.3.4 근로소득세와 이자소득세를 동시에 부과하는 경우 270 12.3.5 지출세의 가능성 271 12.3.6 실증적 연구 272 ■참고문헌 / 274 CHAPTER 13 최적조세이론 13.1 최적조세와 차선의 이론 279 13.2 최적물품세 282 13.2.1 동질적 소비자경제에서의 램지 조세 283 13.2.2 이질적 소비자경제에서의 램지 조세 287 13.3 최적소득세 288 13.3.1 최적선형소득세 289 13.3.2 최적비선형소득세 292 부록 | 동질적 소비자경제에서 역탄력성 법칙의 수학적 도출 293 ■참고문헌 / 297 CHAPTER 14 개별조세이론 14.1 조세의 종류 301 14.1.1 직접세와 간접세 301 14.1.2 종가세와 종량세 302 14.1.3 인세와 물세 302 14.1.4 국세와 지방세 302 14.2 소득세 302 14.2.1 소득의 정의 303 14.2.2 공제제도 307 14.2.3 세율구조 308 14.2.4 과세단위 310 14.2.5 물가상승과 지수연동제 312 14.3 법인세 313 14.3.1 법인세 부과의 합리성 314 14.3.2 법인세의 구조 314 14.3.3 법인세의 종류 315 14.3.4 바람직한 법인세의 기준: 중립성 317 14.3.5 법인세와 자금조달결정 318 14.3.6 법인세와 투자결정 320 14.4 간접세 324 14.4.1 간접세의 종류 324 14.4.2 부가가치세 325 14.5 자산세 327 14.5.1 자산세의 근거와 문제점 328 14.5.2 자산세의 종류 328 부록 | 귀속제도하에서의 법인세 계산 331 ■참고문헌 / 332 CHAPTER 15 우리나라의 조세제도 15.1 조세구조의 특성 335 15.1.1 조세체계 335 15.1.2 국세와 지방세의 구성 338 15.1.3 국세의 세목별 구성 339 15.2 우리나라의 소득세 340 15.3 우리나라의 법인세 347 15.3.1 감가상각비의 산정 349 15.3.2 조세지원제도 350 15.4 우리나라의 소비세 351 15.4.1 부가가치세 351 15.4.2 개별소비세 352 ■참고문헌 / 356 PART 04 사회보장제도 CHAPTER 16 사회보장제도의 이론 16.1 사회보장제도의 목표와 필요성 363 16.1.1 사회보장제도의 목표 363 16.1.2 사회보장제도의 필요성 364 16.2 바람직한 사회보장제도 366 16.2.1 경제적 효율성 366 16.2.2 행정적 효율성 367 16.2.3 목표 효율성 367 16.2.4 최소한의 수치심 368 16.2.5 보편성 368 16.3 사회보장제도의 종류 369 16.3.1 사회보험 369 16.3.2 사회부조 370 16.4 빈곤의 개념과 측정 371 16.4.1 빈곤의 개념 371 16.4.2 빈곤의 측정 372 16.5 부의 소득세와 근로장려세제 376 16.5.1 부의 소득세 376 16.5.2 근로장려세제 377 ■참고문헌 / 379 CHAPTER 17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17.1 우리나라의 사회부조 383 17.2 우리나라의 사회보험 388 17.2.1 국민연금 388 17.2.2 기초연금 391 17.2.3 건강보험 392 17.2.4 고용보험 394 17.3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 396 17.4 우리나라 빈곤의 정도와 사회보장제도의 효과 398 ■참고문헌 / 400 PART 05 지방재정 CHAPTER 18 지방재정의 이론 18.1 지방정부의 기능 407 18.1.1 지방정부와 자원배분의 효율성 408 18.1.2 지방정부와 소득분배 412 18.1.3 지방정부와 경제안정화 412 18.2 중앙집권제도와 지방분권제도 413 18.2.1 중앙집권제도의 장점 413 18.2.2 지방분권제도의 장점 415 18.3 지방정부의 재원조달 415 18.3.1 지방채 416 18.3.2 수수료 416 18.3.3 지방세 416 18.3.4 보조금 417 18.4 지방재정조정제도 418 18.4.1 보조금의 종류 419 18.4.2 보조금의 경제적 효과 420 ■참고문헌 / 425 CHAPTER 19 우리나라의 지방재정 19.1 지방재정 현황 429 19.1.1 지방재정의 구조 429 19.1.2 지방재정의 규모 432 19.1.3 재정자립도 434 19.2 지방재정 확충방안 436 19.2.1 국세와 지방세 관계의 조정 436 19.2.2 지방세제의 현황 및 발전방향 437 19.2.3 지방세외수입의 개선방향 444 19.3 지방재정조정제도 446 19.3.1 지방교부세 447 19.3.2 지방교육재정교부금 447 19.3.3 국고보조금 447 ■참고문헌 / 449 INDEX 국문색인 / 450인명색인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