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7940 | |
005 | 20220616180524 | |
007 | ta | |
008 | 220614s2022 ulka b 000a kor | |
020 | ▼a 9788972441533 ▼g 0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 ▼2 23 |
085 | ▼a 953 ▼2 DDCK | |
090 | ▼a 953 ▼b 2022z5 | |
245 | 2 0 | ▼a (우리의 맥을 잇는) 한국사 이야기 / ▼d 디오기획 편역 |
260 | ▼a 서울 : ▼b 신라출판사, ▼c 2022 | |
300 | ▼a 496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496 | |
710 | ▼a 디오기획, ▼e 편역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 2022z5 | Accession No. 1118656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 2022z5 | Accession No. 151360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 2022z5 | Accession No. 1118656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 2022z5 | Accession No. 151360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꼭 알아야 할 우리 역사를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 역사에 관심 있는 독자들이 최대한 흥미를 갖고 가벼운 마음으로 다가설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 현대사로 나누고, 각 시대 앞부분에 왕위계승도를 수록하여 시대적 흐름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의 맥을 잇는
한국사 이야기
<우리의 맥을 잇는 한국사>는 역사의 변천 과정들을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 역사를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 역사에 관심 있는 독자들이 최대한 역사에 흥미를 갖고 가벼운 마음으로 다가설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바른 시각과 이해를 돕고자 읽기에 어려운 어휘나 용어는 쉽고 풀어 써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의 맥을 잇는 한국사>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 현대사로 나누고, 각 시대 앞부분에 <왕위계승도>를 수록하여 시대적 흐름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우리나라 역사에 좀 더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는 역사 속 이야기를 담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삼국시대 / 13 우리 민족의 기원 / 14 한반도에 구석기 사람들이 살았을까 신석기 사람들의 변화된 생활 모습 최초의 부족 국가 탄생과 발전 / 20 청동기 사회와 계급의 형성 최초의 부족 국가, 고조선 고조선의 팔조금법 기자 동래설의 진위 위만 조선의 등장과 철기 문화 남북 여러 나라의 등장 -부여 -옥저와 동예 -고구려 -진국과 삼한 고구려의 왕실 계승도 / 42 고구려의 건국과 성장 / 46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 유리왕의 황조가 호동 왕자와 낙랑 공주 명재상 명림답부 고국천왕과 을파소 산상왕과 시골 처녀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수나라와의 16년 전쟁 당 태종 이세민과 연개소문 고구려의 최후 백제 왕실 계승도 / 82 찬란한 백제 문화 / 86 백제의 건국 개루왕과 도미의 아내 백제의 발전 광개토대왕의 등장과 백제의 위기 고구려의 첩자 도림 신라와의 혼인 동맹 백제의 중흥 충신 성충의 절규 백제 여인들의 충절과 넋이 어린 낙하암 백제 유민의 저항 신라 왕실 계승도 / 124 삼국 통일을 이룬 신라 / 132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우리나라 노래와 음악의 시초 연오랑과 세오녀의 전설 신라를 나라 이름으로 정하다 선덕여왕의 선견지명 삼국통일의 주역 김유신과 김춘추 신비한 피리 수로부인과 헌화가 치열한 왕위 다툼 임금의 귀는 당나귀 귀 처용의 노래 해동성국 발해 / 172 고구려 정신을 이어나가라 발해의 전성기를 이끈 선왕 발해의 빛나는 문화 후삼국 시대 / 178 후고구려의 궁예 견휜의 후백제 제2부 고려시대 / 189 고려 왕실 계승도 / 190 고려시대 / 196 태조 왕건의 훈요십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광종 성종과 28조 시무책 서희의 담판 강조정변과 거란의 2차 침입 강감찬의 귀주대첩 송과의 교류와 학문의 발전 여진족의 침입 이자겸과 묘청의 난 정중부의 난 무신 정권 시대 -의종의 죽음 -정중부와 경대승의 세력 다툼 -최충헌의 등장 -노비 만적의 난 -최충헌 부자의 권력 승계 -무너진 최씨 정권 6차에 걸친 몽골과의 전쟁 삼별초의 대몽 항쟁 원나라의 지나친 내정 간섭 공민왕의 개혁 정치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정몽주의 죽음과 고려의 몰락 제3부 조선왕조시대 / 279 조선 왕실 계승도 / 280 조선왕조시대 / 284 이성계와 무학대사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한 번 가면 돌아오지 못하는 함흥차사 태종의 개혁 정치 역사에 길이 남을 성군 세종대왕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 나라의 말 훈민정음 창제 과학자 장영실과의 만남 아쉬운 문종의 죽음 수양대군의 야심과 계유정난 단종 복위 운동 굳은 절개의 선비들 이시애의 난 시화의 불씨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사건들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반정 -기묘사화 -작서의 변 -을사사화 조선의 의적들 선조의 등극과 당파 싸움의 시작 임진왜란 -당파 싸움이 몰고 온 전쟁 -부산성과 동래성 전투 -피난길에 오른 선조 -성웅 이순신과 의병들의 활약 -권율의 행주대첩 -다시 찾은 한성 정유왜란 계속되는 당파 싸움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상복을 둘러싼 당파 싸움 당쟁에 휘말린 인현황후와 장희빈 영조시대의 빛과 어둠 이어지는 태평성대 천주교의 전파와 탄압 홍경래의 난 강화도령 철종 홍선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쇄국 정책 강화도조약의 체결 임오군란 갑신정변과 열강들의 침입 동학 혁명 갑오개혁 우리나라 최초의 헌법 홍범14조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선포 독립협회와 황국협회 을사조약 대한제국의 최후 제4부 근 현대사 / 449 일제 감정기 / 450 일제의 무단 통치와 3.1운동 의열단의 활약 대한민국 임시정부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학생들의 항일 운동 일제의 비참한 항복 대한제국 정부 수립과 발전 / 474 대한민국 정부 수립 형제에게 총을 겨눈 한국 전쟁 독재 정권을 몰아낸 4월 혁명 5.16군사 구테타와 박정희의 장기 집권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