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연 언어 음운 체계의 보편성 : 주요 30개 언어를 대상으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용, 許龍, 1955-
서명 / 저자사항
자연 언어 음운 체계의 보편성 : 주요 30개 언어를 대상으로 / 허용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21  
형태사항
621 p. : 삽화 ; 26 cm
ISBN
979116685032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09-62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7281
005 20221206121908
007 ta
008 220608s2021 ulka b 000c kor
020 ▼a 9791166850325 ▼g 93700
035 ▼a (KERIS)BIB000016032594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414 ▼2 23
085 ▼a 414 ▼2 DDCK
090 ▼a 414 ▼b 2021
100 1 ▼a 허용, ▼g 許龍, ▼d 1955- ▼0 AUTH(211009)4377
245 1 0 ▼a 자연 언어 음운 체계의 보편성 : ▼b 주요 30개 언어를 대상으로 / ▼d 허용 지음
246 1 1 ▼a Universals of phonological systems in natural language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300 ▼a 621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609-621
536 ▼a 이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6A4A01022506)
945 ▼a ITMT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1118653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5110570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151362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1118653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5110570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4 2021 등록번호 151362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보편성의 관점에서 자연 언어의 자음 체계와 모음 체계를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우선적으로 30개의 언어에서 출발하였다. 30개 언어는 모두 10개의 어족에서 가려내어 고른 것이다.

보편성의 관점에서 자연 언어의 자음 체계와 모음 체계를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우선적으로 30개의 언어에서 출발하였다. 30개 언어는 인도·유럽 어족의 14개 언어(게르만 어군 3개 언어, 이탈리아 어군 5개 언어, 슬라브 어군 4개 언어, 인도·이란 어군 2개 언어), 우랄 어족의 2개 언어, 알타이 어족 2개 언어, 중국·티베트 어족 2개 언어, 타이·카다이 어족 2개 언어,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2개 언어, 아프리카·아시아 어족 3개 언어, 니제르·콩고 어족 1개 언어, 그리고 서로 다른 2개의 고립 어족 등 모두 10개의 어족에서 가려내어 고른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허용(지은이)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SOAS, University of London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말소리의 세계

제1장 언어와 말소리
1. 음성과 음향
2. 말소리의 특성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3.1 발동
3.2 발성
3.3 조음
4. 조음 기관

제2장 자연 언어 말소리의 분류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2. 자음의 분류
2.1. 기류 기제에 의한 분류
2.2 성문 상태에 의한 분류
2.3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2.4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2.5 장애음의 음성적 유표성
2.5.1 조음 방법에서의 유표성
2.5.2 조음 위치에서의 유표성
3. 모음의 분류
3.1 단모음의 분류
3.1.1 모음의 높이
3.1.2 모음의 앞뒤 위치
3.1.3 입술의 둥근 정도
3.2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일반 모음
3.2.1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3.2.2 모음 공간과 일반 모음
3.2 장모음과 비모음
3.2.1 장모음
3.2.2 비모음

제3장 자연 언어 자음 체계의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1. 음성적 보편성
1.1 음성적 보편성의 내용
1.1.1 자음 전체의 구성
1.1.2 장애음의 구성
1.1.3 공명음의 구성
1.1.4 정치성과 복잡성
1.2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1.2.1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내용
1.2.2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기준
2. 음운적 보편성
2.1 음운적 보편성의 원리
2.1.1 자질의 분절음 결정 원리
2.1.2 자질 경제성 원리
2.1.3 유표적 자질 회피 원리
2.1.4 활성화 원리
2.1.5 음운적 강화의 원리
2.2 자음 체계의 음운적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2.2.1 자질 경제성 원리
2.2.2 유표적 자질 회피 원리
2.2.3 활성화 원리
2.2.4 음운적 강화의 원리

제4장 주요 언어 자음 체계의 보편성 분석
0. 분석 모형
1. 인도·유럽 어족
1.1 게르만 어군
[1] 독일어
[2] 영어
[3] 네덜란드어
1.2 이탈리아 어군
[4] 이탈리아어
[5] 프랑스어
[6] 스페인어
[7] 포르투갈어
[8] 루마니아어
1.3 슬라브 어군
[9] 러시아어
[10] 폴란드어
[11] 체코어
[12]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1.4 인도·이란 어군
[13] 힌디·우르두어
[14] 페르시아어
2. 우랄 어족
[15] 헝가리어
[16] 핀란드어
3. 알타이 어족
[17] 터키어
[18] 몽골어
4. 중국·티베트 어족
[19] 중국어
[20] 버마어
5. 타이·카다이 어족
[21] 타이어
[22] 크메르어
6.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23] 말레이어
[24] 타갈로그어
7. 아프리카·아시아 어족
[25] 아랍어
[26] 히브리어
[27] 하우사어
8. 니제르·콩고 어족
[28] 스와힐리어
9. 고립 어족
[29] 한국어
[30] 일본어

제5장 자연 언어 모음 체계의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1. 모음 목록의 크기에 따른 보편성
2. 모음 구성에 따른 보편성
2.1 단계성에 따른 보편성
2.2 균형성과 대칭성에 따른 보편성
3. 모음의 음성적 자질에 따른 보편성
3.1 저설성에 따른 보편성
3.2 전설성에 따른 보편성
3.3 원순성에 따른 보편성
4. 모음의 분포에 따른 보편성
4.1 기저 음소의 설정
4.1.1 주변부 모음과 기저 음소
4.1.2 중앙부 모음과 기저 음소
4.2 모음 분포 분석 기제의 적용
5. 장모음과 비모음
5.1 장모음과 모음 체계
5.2 비모음과 모음 체계

제6장 주요 언어 모음 체계의 보편성 분석
0. 분석 모형
1. 인도·유럽 어족
1.1 게르만 어군
[1] 독일어
[2] 영어
[3] 네덜란드어
1.2 이탈리아 어군
[4] 이탈리아어
[5] 프랑스어
[6] 스페인어
[7] 포르투갈어
[8] 루마니아어
1.3 슬라브 어군
[9] 러시아어
[10] 폴란드어
[11] 체코어
[12]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1.4 인도·이란 어군
[13] 힌디·우르두어
[14] 페르시아어
2. 우랄 어족
[15] 헝가리어
[16] 핀란드어
3. 알타이 어족
[17] 터키어
[18] 몽골어
4. 중국·티베트 어족
[19] 중국어
[20] 버마어
5. 타이·카다이 어족
[21] 타이어
[22] 크메르어
6.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23] 말레이어
[24] 타갈로그어
7. 아프리카·아시아 어족
[25] 아랍어
[26] 히브리어
[27] 하우사어
8. 니제르·콩고 어족
[28] 스와힐리어
9. 고립 어족
[29] 한국어
[30] 일본어
제7장 맺음말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