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a 4500 | |
001 | 000046117204 | |
005 | 20220608093817 | |
007 | ta | |
008 | 220607s2022 ggka 000c kor | |
020 | ▼a 9791168014589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6233676 | |
040 | ▼a 211036 ▼c 211036 ▼d 211036 ▼d 211009 | |
082 | 0 4 | ▼a 028.1 ▼2 23 |
085 | ▼a 028.1 ▼2 DDCK | |
090 | ▼a 028.1 ▼b 2022z5 | |
100 | 1 | ▼a 윤성근, ▼d 1975- ▼0 AUTH(211009)91597 |
245 | 1 0 | ▼a 이상한 나라의 책 읽기 : ▼b 책 좋아하는 당신과 나누고픈 열 가지 독서담 / ▼d 윤성근 지음 |
260 | ▼a 파주 : ▼b 드루 : ▼b 한국학술정보, ▼c 2022 | |
300 | ▼a 421 p. : ▼b 삽화 ; ▼c 22 cm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28.1 2022z5 | Accession No. 1118652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1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28.1 2022z5 | Accession No. 1513597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28.1 2022z5 | Accession No. 1118652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1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28.1 2022z5 | Accession No. 1513597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열 가지 ‘읽는다’에 맞춰 책과 읽기에 관한 수다를 풀었다. 헌책방 주인장이 자기 돈 주고 구입한 책 50권과 함께 현실적인 책 읽기 방법을 만나보자. 읽지 않는 이들은 결코 알지 못할 원더랜드에서 열리는 독서 티파티에 당신을 초대한다.
세상에 책이 많다한들 책을 읽는 사람은 정해져 있기 마련이다. 책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그 이유가 명확하다. 재미없고 지루하다거나, 어린시절에 강요당했다거나 하는 식이다. 그렇다면 책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저자는 15년간 다양한 책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왔지만, 하나같이 왜 책을 좋아하는지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찾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더욱 ‘책답게’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가 진정 책 읽는 자들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
책 싫어하는 사람이 이 책을 보면 신묘한 작용이 일어나 책을 읽고 싶게 된다는 얘기는 하지 않겠다. 책을 읽지 않아도 스스로 인생이 즐겁고 편안하다고 믿는 사람은 그대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책의 필요성을 느낀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열 가지 ‘읽는다’에 맞춰 책과 읽기에 관한 수다를 풀었다. 헌책방 주인장이 자기 돈 주고 구입한 책 50권과 함께 현실적인 책 읽기 방법을 만나보자. 읽지 않는 이들은 결코 알지 못할 원더랜드에서 열리는 독서 티파티에 당신을 초대한다.
“그런데 왜 책을 읽는가?”
책 읽는 사람에게 건네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주인장의 독서담
세상에 책이 많다한들 책을 읽는 사람은 정해져 있기 마련이다. 책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그 이유가 명확하다. 재미없고 지루하다거나, 어린시절에 강요당했다거나 하는 식이다. 그렇다면 책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책 읽기가 너무 즐거워 밤을 새는 사람, 1년에 책을 한 권 이상은 사게 되는 사람, 매일 책을 읽어야만 하거나 외출할 때 가방에 뭐라도 읽을거리가 없으면 불안한 사람, 심지어는 책으로 방이 비좁아진 사람까지, 저자는 15년간 다양한 책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왔지만, 하나같이 왜 책을 좋아하는지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찾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더욱 ‘책답게’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가 진정 책 읽는 자들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
책 싫어하는 사람이 이 책을 보면 신묘한 작용이 일어나 책을 읽고 싶게 된다는 얘기는 하지 않겠다. 책을 읽지 않아도 스스로 인생이 즐겁고 편안하다고 믿는 사람은 그대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책의 필요성을 느낀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헌책방 주인장이 책을 읽는 열 가지 방법
당신의 읽기는 어떤가요?
책은 10장으로 구성했다. 각 장은 ‘사람은, 재미로, 빠르게, 느리게, 걸으며, 번역을, 무작정, 쓰면서, 겹쳐서, 여러 번’ 읽는 방법을 몇 권의 책과 함께 소개한다. 각 장의 순서는 읽는 순서와 관계가 없으니 마음 닿는 ‘읽는다’부터 만나볼 수 있다. 헌책방 주인장이 자기 돈 주고 구입한 책과 함께 현실적인 책 읽기 방법을 만나보자. 물론 이 외에 다양한 읽기는 수없이 존재한다. 자신만의 읽는 법이 있다면 책 앞쪽 빈 칸에 적어보자. ‘나는 ___ 읽는다’라고 말이다.
아울러 예시로 든 책은 2000년 이후에 출간된, 될 수 있으면 글을 쓴 시점에서 절판되지 않은 것으로 선정했다. 모두 50권이다. 헌책방을 운영한다고 해서 신간을 아예 읽지 않는 것은 아니다. 세상 모든 책은 언젠간 헌책이 된다. 그래서 헌책방을 운영하려면 아이러니하게도 신간을 사서 읽을 수밖에 없다. 헌책방 주인으로서 만난 다양한 책과, 그 과정에서 겪고 통찰하고 이야기하고 싶었던 모든 것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저자 또한 책머리에서 “끝없는 변화를 통해 생동감 있는 사고를 하도록 만드는 방법에 관한 내 나름의 제안”을 이 책에 담았다고 밝힌다. 헌책방 주인장으로서 그냥 넘어가기 아쉬웠던 ‘헌책’ 이야기는 각 장 마지막에 [붙임]으로 소박하게 더했다.
책 좋아하는 이들과 마음껏 수다 떨고 싶은 저자의 마음이, 많은 이들의 마음에 가닿길 바란다. 저자는 “읽을 수 있는 인간으로 태어났음을 신에게 감사하며 오늘도 책장 위에 놓인 작은 책 한 권을 손으로 쓰다듬는다.”라고 말한다. 책 읽는 삶에 그 누구보다도 진심인 사람, 책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공감할 말이다. 자, 이제 읽지 않는 이들은 결코 알지 못할 원더랜드에서 열리는 독서 티파티에 당신을 초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윤성근(지은이)
책방지기이자 이야기 수집가. 대외적으로는 헌책방 주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책을 찾는 사연을 들려주면 손님이 원하는 책을 전국에 수배하여 찾아주는 ‘책탐정’으로 일하고 있다. 대학 졸업 후 잘 다니던 IT 회사를 그만두고 헌책의 세계에 진입했다. 단골손님으로 자주 다니던 헌책방에 직원으로 들어갔고, 2007년부터 서울 은평구에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이라는 작은 책가게를 열고서 이상한 손님과 기묘한 흔적책들을 기다리고 있다. 헌책방은 있을 수 있는 일부터 있을 수 없는 일까지 다 일어나는 시공간이 뒤틀린 초현실의 멀티버스 세계이다. 온갖 인간군상이 모여드는 신비한 꿈과 모험의 동산 헌책방에서 지금도 놀라운 사람들을 만나고 비밀책장에 흔적책들을 꿍쳐두며 살고 있다. 특기는 기묘함을 넘어 기괴한 손님이 왔을 때 경청하는 표정을 지으면서 머릿속으로는 딴생각하기. 지은 책으로 『헌책방 기담 수집가』 『이상한 나라의 책 읽기』『서점의 말들』 『작은 책방 꾸리는 법』 『동네 헌책방에서 이반일리치를 읽다』 『탐서의 즐거움』 『내가 사랑한 첫 문장』 『책이 좀 많습니다』 『침대 밑의 책』 『심야책방』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시작하는 글 1. 사람을 읽는다 한 걸음 떨어져 있다는 유일한 단서 한나 아렌트,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신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 존 바에즈, 《존 바에즈 자서전》 제 계획이 실현될 것 같습니까? W. 버나드 칼슨, 《니콜라 테슬라 평전》 자신의 깊은 수렁 바깥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다니엘 슈라이버, 《수전 손택》 그야말로 한칼에 상대를 죽이는 작가 박홍규,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 [붙임] 《방망이는 알고 있다》 2. 재미로 읽는다 모험이나 불행은 결코 자잘한 일로 시작되는 법이 없으니까 미겔 데 세르반테스 사아베드라, 《돈키호테》 작가가 독자에게 속임수를 썼다는 말인가? 히가시노 게이고, 《추리소설가의 살인사건》 하나의 문장은 언제나 다음 문장을 부른다 금정연, 《담배와 영화》 조그만 세계를 통해 넓은 곳을 엿보려는 독자라면 김목인, 《직업으로서의 음악가》 하지만 세상은 굴러가고 그들도 굴러간다 찰스 부코스키, 《창작 수업》 [붙임] 《노란 손수건》 3. 빠르게 읽는다 게다가, 책도 없다면, 거기는 얼마나 지루하겠는가! 이치은, 《천상에 있는 친절한 지식의 중심지》 사실 나는 아무것도 기다리지 않는다 에밀 시오랑, 《태어났음의 불편함》 “나는 지금 사하라를 바꾸고 있어.”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아틀라스》 무언가를 잃기 위해선 먼저 찾아야 한다 알베르토 망겔, 《서재를 떠나보내며》 자기 나름의 고결한 방식으로 앨런 재닉·스티븐 툴민,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 [붙임] 《타오르는 푸른나무》 4. 느리게 읽는다 책상에서 몇 시간 떨어져 있는 동안 페터 한트케, 《어느 작가의 오후》 이미 일어났다고 알려진 일은 일어나지 않은 일보다 신비롭다 배수아, 《뱀과 물》 모든 사람이 이런 모자를 쓰고 있다 토마스 베른하르트, 《모자》 물어볼 가치가 있는 의문스러운 것 마르틴 하이데거, 《숲길》 같은 것의 반복, 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것의 반복 최정우, 《사유의 악보》 [붙임] 《대부》 5. 걸으며 읽는다 나머지 모든 것이 사라졌을 때 리베카 솔닛, 《길 잃기 안내서》 서서히 얽히고설키고 뒤죽박죽이 된 이 느낌 다니구치 지로·구스미 마사유키, 《우연한 산보》 밤나무의 뒤엉킨 뿌리에서 W. G. 제발트, 《아우스터리츠》 나는 그런대로 잘해 나가고 있다 가즈오 이시구로, 《녹턴》 온몸으로 미칠 듯이 생생하게 예감하는 바 그대로 로베르트 발저, 《산책자》 [붙임] 《지나가는 길에》 6. 번역을 읽는다 말은 의미를 두지 않고 문장을 만든다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서》 인생에는 참으로 신기한 일이 많더라고 레몽 크노, 《문체 연습》 시선은 인간의 찌꺼기이다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 꼭 번역에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라 가토 슈이치·마루야마 마사오, 《번역과 일본의 근대》 온갖 종류의 다양성을 위한 여지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괴델, 에셔, 바흐》 [붙임] 《아가리》 7. 무작정 읽는다 내가 한층 빨리 이야기한들 무슨 소용이랴? 제임스 조이스, 《복원된 피네간의 경야》 나는 이 책을 멀리 보고 있다 김수영,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 모든 숨겨진 영혼의 보석들이 드러나는 순간 로베르트 무질, 《특성 없는 남자》 세계를 읽어 낼 가능성 움베르토 에코 外,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컬렉션》 원더랜드에 가본 여행자는 아주 드물다 알베르토 망겔·자니 과달루피, 《인간이 상상한 거의 모든 곳에 관한 백과사전》 [붙임] 《헤밍웨이 전집》 8. 쓰면서 읽는다 늘 젖고, 늘 울었지 박상륭, 《죽음의 한 연구》 야채를 먹으려면 대단히 노력해야만 한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창백한 불꽃》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문장 박완서, 《친절한 복희씨》 그러나 믿어다오, 이것은 오로지 우연일 뿐이다 베르톨트 브레히트,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전날보다 훨씬 익숙해진 숲길 최윤, 《동행》 [붙임] 《시간의 사용》 9. 겹쳐서 읽는다 천재만이 다른 천재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사야 벌린, 《낭만주의의 뿌리》 누구나 똑같이 하는 생각이 옳은 생각인가 토마스 만, 《파우스트 박사》 텍스트에 내재한 리드미컬한 선율 프랑수아 누델만, 《건반 위의 철학자》 돌아가는 길은 좀 멀긴 하지만 김승옥, 《무진기행》 물론 새로운 것은 있죠. 하지만 그게 곧 진보는 아닙니다 롤랑 마뉘엘, 《음악의 기쁨》 [붙임] 《서울과 파리의 마로니에》 10. 여러 번 읽는다 각자의 이야기, 각자의 과거, 각자의 전설 조르주 페렉, 《인생 사용법》 옛날로 돌아간 것 같아 사토우치 아이, 《모험도감》 목록에서 느끼는 어지러울 만큼의 탐욕스러움 움베르토 에코, 《궁극의 리스트》 내가 바라는 ‘나’가 아니라 지금 있는 ‘나’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아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인간 앞에 쏟아진 소리의 무더기 막스 피카르트, 《인간과 말》 [붙임] 《그릴 수 없는 사랑의 빛깔까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