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심리장애의 임상적용을 위한 핸드북 : 근거기반의 단계적 치료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arlow, David H., 편저 김정모, 역 김지혜, 역 박상규, 역 박중규, 역 배주미, 역 서수연, 역 신성만, 역 전미애, 역 정경미, 역 조용래, 역 최기홍, 역 현명호, 역
서명 / 저자사항
심리장애의 임상적용을 위한 핸드북 : 근거기반의 단계적 치료 / David H. Barlow 편저 ; 김정모 [외]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1  
형태사항
1072 p. ; 27 cm
원표제
Clinical handbook of psychological disorders : a step-by-step treatment manual (5th ed.)
ISBN
9788999724275
일반주기
공역자: 김지혜, 박상규, 박중규, 배주미, 서수연, 신성만, 전미애, 정경미, 조용래, 최기홍, 현명호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Behavior therapy --Handbooks, manuals, etc. Medical protocols --Handbooks, manuals, etc.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7158
005 20220607142341
007 ta
008 220607s2021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4275 ▼g 93180
035 ▼a (KERIS)BIB000015892443
040 ▼a 211032 ▼c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89/142 ▼2 23
085 ▼a 616.891 ▼2 DDCK
090 ▼a 616.891 ▼b 2021
245 0 0 ▼a 심리장애의 임상적용을 위한 핸드북 : ▼b 근거기반의 단계적 치료 / ▼d David H. Barlow 편저 ; ▼e 김정모 [외]공역
246 1 9 ▼a Clinical handbook of psychological disorders : ▼b a step-by-step treatment manual ▼g (5th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300 ▼a 1072 p. ; ▼c 27 cm
500 ▼a 공역자: 김지혜, 박상규, 박중규, 배주미, 서수연, 신성만, 전미애, 정경미, 조용래, 최기홍, 현명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Behavior therapy ▼v Handbooks, manuals, etc.
650 0 ▼a Medical protocols ▼v Handbooks, manuals, etc.
700 1 ▼a Barlow, David H., ▼e 편저
700 1 ▼a 김정모, ▼e
700 1 ▼a 김지혜, ▼e
700 1 ▼a 박상규, ▼e
700 1 ▼a 박중규, ▼e
700 1 ▼a 배주미, ▼e
700 1 ▼a 서수연, ▼e
700 1 ▼a 신성만, ▼e
700 1 ▼a 전미애, ▼e
700 1 ▼a 정경미, ▼e
700 1 ▼a 조용래, ▼e
700 1 ▼a 최기홍, ▼e
700 1 ▼a 현명호,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1 2021 등록번호 111865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심리장애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근거기반 치료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몸과 마음의 건강과 관련된 전문분야에서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임상실무’가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문 업적이 뛰어나고 풍부한 임상경험이 있는 저자들이 모여 다양한 심리장애 증상과 평가 과정을 설명하고,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제의 임상사례를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였다. 각 증상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함께 임상 실무자들에게 현장의 상황에 적절한 임상 경험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각 증상에 대한 상담 스크립트와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른 확장된 예시가 풍부하게 담겨져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막막한 상담자가 꼭 읽어야 하는 임상 레시피북
심리장애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근거기반 치료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몸과 마음의 건강과 관련된 전문분야에서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임상실무’가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문 업적이 뛰어나고 풍부한 임상경험이 있는 저자들이 모여 다양한 심리장애 증상과 평가 과정을 설명하고,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제의 임상사례를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였다. 각 증상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함께 임상 실무자들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는 현장의 상황에 적절한 임상 경험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각 증상에 대한 상담 스크립트와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른 확장된 예시가 풍부하게 담겨져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정신질환을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한 근거기반의 심리치료 방법을 담고 있다. 각 장은 증상별로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연구 결과와 축적된 임상 경험으로 가득하다. 평가, 사례, 치료 계획, 개입 전략 및 기법에 대한 과정뿐만 아니라 임상 관련 서류 양식 샘플도 제공한다. 이러한 근거기반 치료는 그동안의 엄격하고 수동적인 치료를 벗어나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별화된 치료방법의 적용과 관련이 있다. 이 책에 소개된 치료법들은 사실적이며 효과적이다. 치료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잘 쓰인 교과서이다. 이 책은 손때 묻은 요리책처럼 더 나은 임상 레시피로 치료자의 곁을 지킬 것이다.
- 임상정신의학저널(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비드 H. 발로우(지은이)

미국심리학회의 인증 전문심리학자로서 보스턴 대학교의 심리학과와 정신과 교수이고, 불안 및 관련장애 센터의 설립자이자 소장이다. 그는 500개 이상의 논문과 서적에서 독립적인 장을 맡아 저술하였으며, 60개의 서적과 임상매뉴얼을 저술하였다. 그중 정서장애 및 임상연구 방법에 관한 책들은 아랍어, 중국어, 힌두어 및 러시아어 등의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 발로우 박사의 대표적인 저술로는 『심리장애의 평가와 치료계획을 위한 핸드북 2판(Handbook of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ning for psychological disorders, second edition)』 『불안 및 불안 관련장애 2판(Anxiety and its disorders, second edition)』 등이 있다. 그는 많은 상을 수상하였으며, 최근에는 행동인지치료학회의 Career/Lifetime Achievement 상을 받았다. 임상심리학회와 행동인지치료학회의 회장을 역임하였고,『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and Behavior Therapy』의 편집자이다. 발로우 박사의 연구는 40년 이상 국립건강연구원에 의해 지원받았다.

현명호(옮긴이)

중앙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임상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석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2001년부터 현재까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임상심리전문가와 건강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임상심리학회와 한국건강심리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청소년의 섭식장애와 폭력 그리고 중독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용서 개념을 중심으로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박상규(옮긴이)

현재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박상규심리상담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종신회원으로,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전문상담사 1급, 중독심리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꽃동네치료공동체에서 회복 중인 알코올 중독자와 동반하고 있다. 한국중독상담학회 회장, 한국중독심리학회 회장, 경찰청 마약류범죄수사 자문위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이사장, 세종충북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김정모(옮긴이)

영남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오스나브뤽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 심리학회에서 인증하는 임상심리전문가이며, 한국 명상치유학회의 명상치유전문가이다.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하여 명상을 심리치료에 적용하는 효과에 관해 다수의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2013년 현재 영남대학교 심리학과에 재직 중이다.

신성만(옮긴이)

현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상담심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고, 동 대학교 상담대학원장 및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이며, 한국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중독심리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 보스턴대학교에서 재활상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심리치료 전문가로 일했으며, 특히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과 병원에서 교수요원으로 일했다. 실존치료, 동기와 정서, 중독상담, 정신재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배주미(옮긴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삼성 서울병원 임상심리 레지던트 과정 수료.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박사후 과정. 미국 Beck Institute of Cognitive Therapy 인턴과정 수료.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 임상심리사(1급). 현재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조교수.

조용래(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상심리학박사(임상심리전공) 현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한국심리학회 재난심리위원장

김지혜(옮긴이)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아동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임상심리전문가 과정을 마쳤으며 뉴욕 주립대학교 스트레스.불안장애센터에서 연수하였다.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인지치료의 실제' '이상심리학' '로르샤하 해석 입문' 외 다수의 저서와 역서 및 논문이 있다.

박중규(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임상심리학 수련을 이수했고, 한국심리학회임상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84호), 한국재활심리사협회 재활심리사 1급(28호) 등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제53대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교수로 대구대학교 정신건강상담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정경미(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하와이 주립대학교 박사(임상심리학)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미국 면허심리학자(뉴욕 주) 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최기홍(옮긴이)

현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부설 KU 마음건강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병원에서 정신과 펠로우, 미국 예일대학교 병원에서 연구과학자, 미국 웨슬리안 대학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교수로 심리치료 효과 연구 및 중증정신질환의 재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아파도 아프다하지 못하면」(2018)이 있고, 역서로는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치료자 지침서」(2018), 「중증정신질환의 치료와 재활」(2011) 등 다수가 있다.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Psychological Medicine, Schizophrenia Research 등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석탑연구상과 석탑강의상을 수상하였다. 최기홍 교수는 미국 공인 심리학자(커네티컷 주)이자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로 근거기반 심리치료, 특히 인지행동치료 서비스를 임상현장에 제공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차세대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를 개발하는 국가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다.

전미애(옮긴이)

영남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청소년 상담센터 및 심리상담센터에서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았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하며 연구와 개인 및 집단 상담을 수행했고, 온타리오주의 공인 심리치료사로서 알코올 및 약물 중독 재활센터에서 일했다. 현재 토론토시의 청소년 상담 기관에서 심리치료사로 일하며 개인 상담실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서수연(옮긴이)

성신여대 심리학과 교수 “불면증에 시달리다가 수면을 연구하게 되었다.” 몰아치는 잡념 때문에 불면증에 시달리다가 수면을 연구하게 되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더 편안하게 밤을 지낼 수 있도록 수면을 연구하며 여성과학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편저자 서문

chapter 1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
공황과 광장공포증의 특성
증상의 특징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의 심리치료 역사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의 원인 및 유지 요인의 개념화
치료적 변인
사례연구
평가
인지행동치료의 구성요소
인지행동치료의 전반적 효율성
치료계획서
결론

chapter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
유병률
PTSD의 이론적 모델
평가
치료
사례연구

chapter 3 사회불안장애의 하위 유형과 회피성
성격장애
치료 성과 문헌에 대한 개관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통합된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적 관점에서 본 치료 근거
치료 관련 변인
치료 전 평가 및 치료를 위한 준비
사회불안장애를 위한 개인 인지행동치료
사례연구
성공과 실패에 대한 임상적 예측 변인
요약 및 결론

chapter 4 강박장애
정의
강박장애의 유병률과 원인
동반이환
변별진단
인지행동 모델
치료
평가
초기 면접
집중적인 노출 및 반응방지
사례연구
행동치료 중의 어려움
결론

chapter 5 범불안장애를 위한 수용기반 행동치료
범불안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치료 결과 개관
범불안장애에 대한 수용기반 행동치료 모델
수용기반 행동치료 적용
사례연구
결론
감사의 글

chapter 6 정서장애: 단일화된 범진단적 프로토콜
단일화된 접근을 위한 이론적 근거
치료 변인
평가
치료의 구성요소
프로토콜의 자세한 소개
성과와 결론

chapter 7 우울증을 위한 인지치료
개관 및 연구
우울증의 인지 모델
도식 이론
치료의 특성
협력
인지치료의 과정
증상 감소
만성 우울증에 대한 도식치료
결론

chapter 8 우울증의 대인관계치료
주요우울증
IPT의 개발
IPT의 원리: 우울증에 대한 IPT 모델
IPT의 특징
IPT와 다른 심리치료의 비교
IPT 치료자
IPT 환자
네 가지 대인관계 문제 영역
IPT 치료 과정
사례연구
치료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
반응의 예측인자
결론

chapter 9 우울증을 위한 행동활성화
우울증의 행동적 모델
경험적 연구 성과
진단적·임상적 및 기능적 영역의 평가
치료 과정
사례연구
결론

chapter 10 경계선 성격장애
다른 이론적 접근에 대한 개관
효과적인 경계선 성격장애 치료로서 DBT의 증거
정서조절에 효과적인 치료로서 DBT에 대한 증거
DBT: 치료 개관
생물사회 이론
변증법적 딜레마
치료의 단계와 치료목표
치료 구조화: 기능과 형태
치료전략
사례연구
축어록
Linehan의 사후 개입
감사의 글

chapter 11 양극성장애
양극성장애의 진단
약물치료와 양극성장애의 진행 단계
재발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치료효과 연구
치료의 맥락
치료 전 평가
치료 과정
사례연구
결론
향후 방향
감사의 글 _

chapter 12 조현병과 기타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개발
연구 근거
이론적 진보
기본적인 임상적 원리
배경 요인과 관련 요인
치료의 맥락
CBT의 절차: Manchester 모델
사례연구
낮은 자기존중감: 일반적인 문제
재발방지
임상적 문제와 어려움
결론
감사의 글

chapter 13 알코올사용장애
알코올 문제의 정의와 진단
이론적 모델
이론적 모델의 임상적 적용
사례연구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임상적 예측 요인
결론

chapter 14 약물사용장애
임상적 장애 정의하기
평가 _
불법 약물사용장애의 인지행동치료
CRA와 바우처 병행치료의 적용: 사례연구
결론
감사의 글

chapter 15 우울증과 물질남용을 위한 근거기반 관계 및 반응성 치료
접근방식에 대한 개관
연구 근거
우울증 및 물질남용
접근방식의 적용
사례연구: 앰버
결론

chapter 16 수면장애의 치료
수면과 불면증
불면증 진단
CBT-I 치료의 근거
치료의 맥락
평가
치료 도입
행동적 요소
인지적 요소
치료 요약과 재발방지
치료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
결론과 미래 방향성

chapter 17 섭식장애: 범진단적 프로토콜
분류 및 진단
임상적 특성
발달 및 세부 과정
‘범진단적’ 관점
인지행동 이론
치료에 대한 연구
치료의 맥락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기
치료에 대한 개관
치료 프로토콜
저체중 환자를 위한 CBT-E
결론
감사의 글

chapter 18 커플 고충
전통적 행동커플치료(TBCT)
‘통합적’ 치료
커플 고충의 원인론
IBCT의 적용 _
사례연구
결론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