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6548 | |
005 | 20220602091132 | |
007 | ta | |
008 | 220525s2022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6850173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171990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700.103 ▼2 23 |
085 | ▼a 700.103 ▼2 DDCK | |
090 | ▼a 700.103 ▼b 2022z2 | |
245 | 0 0 | ▼a 제로의 책 / ▼d 강현석 [외] |
260 | ▼a [서울] : ▼b 돛과닻, ▼c 2022 | |
300 | ▼a 257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5 cm | |
500 | ▼a 기획: 제로의 예술 | |
500 | ▼a 공저자: 고아침, 김영옥, 손희정, 송수연, 안팎, 어라우드랩(김보은, 김소은), 윤상은, 채효정, 최명애, 최승준, 헤더 데이비스 | |
500 | ▼a 부록: 1. 부모 예술가를 배제하지 않는 방법, 2. 어떤 것도 버리지 않기 위한 조각들 | |
536 | ▼a 이 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공예술사업의 지원으로 제작됨 | |
700 | 1 | ▼a 강현석, ▼e 저 |
700 | 1 | ▼a 고아침, ▼e 저 |
700 | 1 | ▼a 김영옥, ▼e 저 |
700 | 1 | ▼a 손희정, ▼g 孫希定, ▼d 1977-, ▼e 저 |
700 | 1 | ▼a 송수연, ▼e 저 |
700 | 0 | ▼a 안팎, ▼e 저 |
700 | 1 | ▼a 윤상은, ▼e 저 |
700 | 1 | ▼a 채효정, ▼e 저 |
700 | 1 | ▼a 최명애, ▼e 저 |
700 | 1 | ▼a 최승준, ▼e 저 |
700 | 1 | ▼a Davis, Heather, ▼e 저 |
710 | ▼a 어라우드랩, ▼e 저 | |
900 | 1 0 | ▼a 데이비스, 헤더, ▼e 저 |
900 | 1 0 | ▼a 김보은, ▼e 저 |
900 | 1 0 | ▼a 김소은,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103 2022z2 | 등록번호 1118648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후위기, 젠더, 인공지능, 지역, 착취와 돌봄 등 우리 시대가 직면한 다양한 이슈를 ‘제로’라는 키워드로 엮은 책이다. 지구상의 여러 영역에서 벌어지는 과잉 생산과 소비, 우리 내면의 혐오와 차별, 그 앞에서 예술이 갖는 한계와 가능성 등의 문제를 근본적 토대에서부터 돌아보고, ‘제로’ 이후에 새롭게 대면할 내일을 상상한다.
이 책이 담고 있는 질문들은 2020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공예술사업 선정 프로젝트 《제로의 예술》(강민형, 김화용, 전유진 공동기획)을 바탕으로 한다. 《제로의 예술》은 우리 시대가 직면한 문제들을 종으로 횡으로 연결하며 예술의 견고한 프레임을 돌아보고, 창작가/시민/활동가 등 현장의 목소리를 불러모아 공공의 장을 만드는 기획이었다.
『제로의 책』은 기후위기, 젠더, 인공지능, 지역, 착취와 돌봄 등 우리 시대가 직면한 다양한 이슈를 ‘제로’라는 키워드로 엮은 책입니다. 지구상의 여러 영역에서 벌어지는 과잉 생산과 소비, 우리 내면의 혐오와 차별, 그 앞에서 예술이 갖는 한계와 가능성 등의 문제를 근본적 토대에서부터 돌아보고, ‘제로’ 이후에 새롭게 대면할 내일을 상상합니다.
이 책이 담고 있는 질문들은 2020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공예술사업 선정 프로젝트 《제로의 예술》(강민형, 김화용, 전유진 공동기획)을 바탕으로 합니다. 《제로의 예술》은 우리 시대가 직면한 문제들을 종으로 횡으로 연결하며 예술의 견고한 프레임을 돌아보고, 창작가/시민/활동가 등 현장의 목소리를 불러모아 공공의 장을 만드는 기획이었습니다. 다양한 주제로 총 46회의 워크숍과 14회의 강연을 열었습니다. 11개월간의 프로젝트가 일단락을 맺은 뒤, 더 긴 호흡의 대화, 더 많은 상상과 실천을 마련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서로 다른 문제의식을 지닌 언어들을 새로이 모아 『제로의 책』이라는 이름으로 엮었습니다.
외양이 조금 특이합니다. 앞표지에는 목차를, 뒷표지에는 판권지를 앉혀 책의 정보들을 외부에 노출했고, 정교한 계산을 통해 내지에 넣은 기호 패턴이 노출사철제본으로 엮은 책등에 제목이 되어 드러나도록 디자인했습니다. 표지와 내지 모두 재생펄프 함유율이 100퍼센트인 종이에 콩기름으로 인쇄했고, 4X6 전지의 24절 사이즈로 버려지는 종이를 최소화했습니다. 본문 폰트의 크기는 시원하게 키우고 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해 더 많은 사람이 편히 읽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작 과정과 만듦새에 여러 모로 고민이 많이 담긴 책입니다.
● 만든 사람들 소개
[공동기획]
강민형
큐레이터, 통번역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공간 ‘바림’의 디렉터(2014~) 등 시각예술의 다양한 위치에서 활동 중이다. 탈중심적 예술 실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지역에서 활동하고 거주하고 있으면서도 해당 지역성에 얽매이지 않는 예술 활동을 실천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다. 이 초지역성과 자율성을 디지털 기술의 문맥에서 읽고 디지털 기술을 다루는 예술의 다른 형태를 고민하는 《DEGITAL》 플랫폼(2019~)을 만들고 운영한다.
김화용
고정관념과 이데올로기가 만들어낸 정체성에 질문을 던지며 이를 둘러싼 경계, 젠더, 비체, 인간-비인간 대한 고민을 여행, 만남, 연대, 워크숍, 퍼포먼스 등의 방법으로 작업해온 미술작가이자 기획자이다. ‘문화 생산자를 위한 공간 : 가옥’의 워크숍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예술 경계 안팎에서 여러 협업의 가능성을 실험했고, 사회와 예술의 관계 및 공존을 고민하는 ‘옥인 콜렉티브’ 멤버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예술의 신화 뒤에 가려져 있는 비인간 동물과 자원의 착취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인간 중심적 세계가 만든 재난과 폐허에서 발견하는 비인간 생명종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다.
전유진
영화음악으로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2011년부터 사운드, 퍼포먼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뉴미디어 작업을 발표하면서 활동 범위를 넓혀왔다. 2015년 아티스트 그룹 ‘서울익스프레스’를 결성하여 《언랭귀지드 서울》, 《인더스트리얼 퍼포먼스》 등 실험적인 서사 구축에 주목하는 다원예술 공연을 만들었다. 활동 초기부터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워크숍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지속적인 관심을 쏟아왔으며, 2017년 ‘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을 설립하여 기술문화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들을 이어가고 있다.
[디자인]
어라우드랩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이야기들을 어떻게 잘 전달할 수 있을까를 실험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디자이너의 환경적 책임에 통감하며 디자인 제작물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버려지는지에 대해 더 나은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생각들을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종이 한 장 차이〉, 〈소재 선별장〉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였으며, 《제로의 예술》 디자이너로 참여하였다.
[편집]
김영글
쓰고 만드는 사람. 텍스트를 중심으로 영상, 출판, 사진,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엮어 활동한다. 축적된 역사적·사적 자료의 ‘다시 읽기’와 ‘다시 쓰기’를 시도하는 작업을 주로 진행해왔다. 2019년부터 1인 출판사 돛과닻을 운영하며 예술과 출판의 접점을 탐색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옥(지은이)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의 공동대표. 인권연구소 ‘창’ 활동가. 철학과 미학을 공부했고 페미니즘과 인권을 수련했다. 공부와 수련을 하는 내내 표현될 수 없는 것을 가리키는 언어의 힘과 표현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정치적 행위에 매혹됐다. 지금은 사람 책이 들려주는 범속한 트임에 귀 기울이며 몸-마음의 늙어가는 현상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흰머리 휘날리며, 예순 이후 페미니즘》 《이미지 페미니즘》 《노년은 아름다워》, 공저 《돌봄과 인권》 《제로의 책》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등이 있다.
채효정(지은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해직 강사. 2011년부터 경희대에서 ‘대안 사회 구상하기’, ‘예술과 정치’ 등 인문 사회 과목을 강의해 오다 2016년 해고되었다. 이후 부당 해고와 차별적 강사 제도의 시정을 요구하고, 대학의 기업화와 비민주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수요 집회와 잔디밭 강의 등으로 학내 투쟁을 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서양 정치사상을 전공했다. 하이데거의 ‘테크네techne’와 포이에시스poiesis’ 개념을 토대로 기술·예술론에 대한 석사 논문을 쓴 것이 계기가 되어 이후 몸의 정치, 생명정치, 정치미학 등 정치에서 생명과 감각과 감정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박사 수료를 마치고 고대 ‘오이코노미아oikonomia’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여성과 노동을 중심으로 고대 민주주의와 생명정치론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1999년 교육 운동 단체인 ‘학벌없는사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활동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학교 밖 청소년과 함께 하는 인문학 교실 - 삶은 달걀?’, ‘거리의 청소년들과 함께 하는 떡볶이 교실’이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했는데 이것이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었다. 이때 만난 선생님들과 청소년들에게서 배운 것이 큰 힘으로 남아 있다. 정치, 인문·예술, 교육 분야에서 이론과 현실, 사유와 실천을 잇는 ‘현장 연구자’가 되고 싶다. 지배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지배당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지식인이 되고 싶고, 함께 싸우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 고통에 대해 공명하는 존재인 인간과 민주주의가 희망이다. 함께 쓴 책으로 《학교를 버리고 시장을 떠나라》, 《상상하라 다른 교육》, 《교육 불가능의 시대》 등이 있다.
손희정(지은이)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 이론을 전공했다. 지은 책으로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다시, 쓰는, 세계』 『페미니즘 리부트』 『성평등』과 공저 『을들의 당나귀 귀 1, 2』 『제로의 책』 『도래할 유토피아들』 『원본 없는 판타지』 『페미니스트 모먼트』 『대한민국 넷페미사』 등이 있다. 『다크룸』 『여성 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 『호러영화』 등을 한국어로 옮겼다.
강현석(지은이)
내러티브와 텍토닉에 중점을 두고 있는 SGHS 설계회사의 공동대표다. 일민미술관 《그래픽 디자인 2005~2015》(서울, 201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30년 특별전 《상상의 항해》(서울, 2016), 《제16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 작가로 참여하였고, 2019년 『TVPR-투발루 프로젝트』(www.tvpr.tv)를 출판했다. 현재 스위스 건축가 협회(SIA)의 정회원이며,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영주(지은이)
강원도 동강에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생태활동가이자 마을에너지공방OO 대표로 화덕, 구들, 생태건축 등 전환기술 활동을 했다. 퍼머컬처 디자이너로 정원텃밭, 농사, 건축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한국과 일본에서 생태마을, 전환기술, 생태문화예술 등 ‘넥스트젠 코리아’ 활동가로 일했다. 2019년 영광에 작은 집을 지었고 지금은 고창문화도시 일을 하며 문화정책, 문화예술 사업에 한눈을 팔고 있다.
고아침(지은이)
지식과 정보가 누구에 의해서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지 고민하며, 그 과정을 개선하고자 하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 기술 변화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힘이 되도록 기술의 장벽을 낮추고 비판적인 질문을 던지며 다양한 사람의 리터러시를 추구하는 활동을 한다. 인공지능, 데이터과학, 디지털 문화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관심을 둔다.
송수연(지은이)
제작기술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제작과 기술을 다루는 과정이 창의적이고 비판적 접근이자 사회를 매개하는 생각과 실천으로 확장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및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안팎(지은이)
안팎과 박종주, 두 개의 이름으로 글을 쓰거나 번역한다.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SHARE)’, 시각 이미지를 만드는 페미니스트 ‘프로젝트 노뉴워크(No New Work)’의 동료들 곁에서 주로 퀴어, 재현, 정치 등을 생각하고 있다.
어라우드랩(지은이)
광고디자인을 했던 김보은과 건축디자인을 했던 김소은이 함께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김보은은 대학원에서 그린디자인을 공부하면서 환경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김소은은 ‘해방촌마을기록단’으로 활동하며 마을의 기록을 모으고 나누는 활동을 해왔다. 어라우드랩은 환경과 지역, 그리고 디자인의 과정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들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그런 이야기들을 어떻게 잘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해 실험하고 있다.
예술육아소셜클럽(지은이)
김다은, 민경영, 박주원, 신승주, 이경희, 임유빈, 정유희 ‘예술육아소셜클럽’은 예술인이자 부모인 이들이 예술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콜렉티브이다. 부모 예술인이 마주하는 돌봄 노동, 경력 단절 등의 이슈를 환대의 연대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한다. 우리는 각자의 개인적이며 구체적인 경험과 이야기 수집을 토대로 예술계 내의 편향된 인식과 제도적 변화의 지점을 살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윤상은(지은이)
‘무용’이라는 경계 안팎으로 발생되는 흥미로운 지점을 찾아 창작자, 기록가, 교육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안무가. 멈춰있는 것, 버려진 것, 죽어있는 것을 바라보는 태도에 대해 고민하며, 최근에는 박제된 여성 이미지를 수집하고 재가동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주요 안무작으로는 〈죽은 대상을 위한 디베르티스망〉(2015), 〈Stretched Love 늘어난 사랑〉(2018), 〈죽는 장면〉(2020), 〈Ballet for All〉(2021) 등이 있다. 동료 무용가들의 이야기를 담는 블로그 ‘떵샤의 모던댄스’ 운영자다.
이규동(지은이)
건축을 전공한 후 상업, 주거, 전시장 등의 공간과 가구를 디자인하고 만들었다. 하나의 공사를 진행할 때 얼마나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지를 알게 되고, 그것이 폐기물 처리장에 쌓여 거대한 산을 만드는 것을 본 후,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가고 있다. 현재는 도시를 떠나 제주에서 만난 동물들과 복에 겨워 살고 있다.
최명애(지은이)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일했다. 인문지리학자로 인간 너머 지리학과 정치생태학의 접근법을 이용해 야생 동물 및 자연 보전을 연구하고 있다. 고래 관광과 포경, DMZ 두루미,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자연 보전, 생태관광 등을 연구했다.
최승준(지은이)
미디어아티스트로 활동하며 대학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을 가르치다가 현재는 유치원에서 일하고 있다. 어린이들과 〈호기심 킁킁〉이란 수업으로 만나고 있고, AI를 활용한 프롬프트 프로그래밍으로 창작 작업을 하고 있다. 인간에게서 배우는 기계의 학습과 기계의 학습에서 성찰하는 인간의 배움에 관심이 많다.
헤더 데이비스(지은이)
작가, 연구자, 교수이다. 페미니스트와 퀴어 이론을 통해, 정착민 식민주의의 맥락에서 생태학, 물질성, 현대 예술을 연구한다.

목차
02 제로의 책 / 여는 글 06 제로를 위한 디자인 잡담 / 어라우드랩 26 메타버그 세계관 / 최승준 48 재야생화: 인류세의 미래를 위한 대담한 상상 / 최명애 66 부모 예술가를 배제하지 않는 방법 / 부록1 70 모든 몸을 위한 발레 / 윤상은 81 창살과 영혼 / 손희정 101 셀카의 기술 / 고아침 110 구축 없는 건축의 구축 / 강현석 132 집과 숲 / 김영주 인터뷰 156 필패하는 말과 토대 없는 믿음 / 안팎 170 어떤 것도 버리지 않기 위한 조각들 / 부록2 176 이것은 상상력의 싸움이다 / 채효정 206 데이터셋 그리고 팅커링 / 송수연 223 퀴어 자손 / 헤더 데이비스 235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 김영옥 258 함께한 사람들 255 만든 사람들 257 도판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