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6341 | |
005 | 20220518132756 | |
007 | ta | |
008 | 220518s2022 ggka 000c kor | |
020 | ▼a 9788950900229 ▼g 03320 | |
040 | ▼a 211092 ▼c 211092 ▼d 211092 | |
082 | 0 4 | ▼a 006.312 ▼2 23 |
085 | ▼a 006.312 ▼2 DDCK | |
090 | ▼a 006.312 ▼b 2022z3 | |
245 | 0 0 | ▼a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 / ▼d 조성준 [외] 지음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22 | |
300 | ▼a 271 p. : ▼b 삽화 ; ▼c 22 cm | |
500 | ▼a "직관을 넘어 핵심을 꿰뚫는 데이터 분석의 절대 법칙" -- 겉표지 | |
500 | ▼a 부록: 빅데이터 직업 제대로 알기, 데이터 전문가를 키우는 대학들, Q/A 묻고 답하기 | |
500 | ▼a 공저자: 조재희, 김성범, 이성임, 조성배, 이영훈 | |
650 | 8 | ▼a 자료분석[資料分析] |
650 | 8 | ▼a 데이터분석[데이터分析] |
650 | 8 | ▼a 빅데이터 |
700 | 1 | ▼a 조성준, ▼e 저 |
700 | 1 | ▼a 조재희, ▼e 저 |
700 | 1 | ▼a 김성범, ▼e 저 |
700 | 1 | ▼a 이성임, ▼e 저 |
700 | 1 | ▼a 조성배, ▼e 저 |
700 | 1 | ▼a 이영훈,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06.312 2022z3 | 등록번호 1310562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006.312 2022z3 | 등록번호 1513634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06.312 2022z3 | 등록번호 1310562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006.312 2022z3 | 등록번호 1513634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난 30여 년간 대한민국 AI·빅데이터 분야를 이끌어온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뭉쳐 ‘데이터 활용 입문서’를 출간했다. 금융, 제조, 마케팅, 영업, HR 등 비즈니스 전반에 걸친 빅데이터 최신 경향과 풍부한 사례를 담아, 실제 빅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어떻게 현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내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직관’이나 ‘경험’은 주관적일 뿐 아니라 저마다 해석을 달리할 수밖에 없는 반면, ‘데이터’는 객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는 의견과 해석이 넘치는 세상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돕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다. 이 책은 비전공자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 분석 방법을 찾고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제공한다.
★ 국내 TOP 30 기업 임직원 강력 추천
★ 화제의 서울대 데이터마이닝캠프 프로그램 수록
★ 데이터 분석 최신 경향 및 사례 총정리
대한민국 AI·빅데이터 분야를 이끄는
조성준 서울대 교수와 국내 최고 석학들의
절대 실패하지 않는 실전 데이터 분석법 대공개!
‘직관’과 ‘경험’으로 성공하는 시대는 끝났다!
국내 최고 데이터 전문가들이 말하는 실전 데이터 분석법!
지난 30여 년간 대한민국 AI·빅데이터 분야를 이끌어온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뭉쳐 ‘데이터 활용 입문서’를 출간했다. 금융, 제조, 마케팅, 영업, HR 등 비즈니스 전반에 걸친 빅데이터 최신 경향과 풍부한 사례를 담아, 실제 빅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어떻게 현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내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직관’이나 ‘경험’은 주관적일 뿐 아니라 저마다 해석을 달리할 수밖에 없는 반면, ‘데이터’는 객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는 의견과 해석이 넘치는 세상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돕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다. 이 책은 비전공자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 분석 방법을 찾고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제공한다.
☞ 함께 읽으면 좋은 21세기북스의 책들
▶ 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조성준 지음|21세기북스|2019년 8월 28일 출간|16,000원
☞ 21세기북스 채널에서 도서 정보와 다양한 영상자료, 이벤트를 만나세요!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왜 어떤 사람은 데이터로 성공하고 어떤 사람은 실패하는가!
정답을 찾고 싶은 당신에게 필요한 특별한 빅데이터 강의
지금 우리는 일상이 데이터가 되는 시대를 넘어, 데이터가 일상이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넷플릭스는 사용자 시청 기록을 분석하여 추천 영상으로 매출을 올리고, 나아가 무엇이 성공할지 미리 예측하여 소비자 입맛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한다.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들을 살펴보면 데이터가 그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제 데이터는 누구에게나 필요한 소양이자 역량이 된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데이터를 얼마나 알고 활용하고 있을까?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알리고 대중화에 앞장서온 ‘빅데이터 국민 멘토’ 조성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의 주도로 2010년부터 최근까지 열린 서울대 데이터마이닝캠프가 그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엮어 책으로 만들어졌다. 문과, 이과 가리지 않고 수만 명의 지원을 받으며 매회 뜨거운 반응을 얻은 이 캠프에는 산업공학, 통계학, 경영학, 컴퓨터공학 등 데이터 분야의 최고 석학들이 참여해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중요한 모든 것을 다뤘다. 캠프의 프로그램을 고스란히 담은 이 책을 통해 데이터 천재들이 데이터를 활용해 어떻게 비즈니스 가치를 만들고 성과를 내는지 생생하게 알게 될 것이다.
실제 국내 기업에서는 비즈니스에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절반 이상이 활용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다고 한다. 잠자고 있는 데이터를 비즈니스 성과와 기업 가치로 바꿀 사람은 누구일까? 이 책의 저자들은 비전공자도 자신의 분야에서 데이터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데이터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에는 데이터 교육을 단 한 번도 받아본 적 없는 데이터 문맹들이 여전히 많다. 이 책을 통해 빅데이터 세계에 첫발을 내디뎌볼 것을 권한다. 저자들의 친절한 안내를 따라가다 보면 저절로 빅데이터라는 강력한 무기를 갖추게 될 것이다.
핵심만 쏙쏙 뽑아 정리한 데이터 분석의 절대 법칙!
데이터 문맹도 빅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는 비밀!
실제 데이터 분석에는 큰 비용과 긴 시간이 필요하다. 데이터 전문가들은 금을 캐기 위해 어두컴컴한 터널 속에 들어간 광부와 같다. 이때의 금은 바로 ‘인사이트’이고, 데이터의 광산에서 금을 캐는 활동은 곧 ‘데이터 분석’이다. 그러나 이 책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아닌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즉 마케팅, 영업, 상품기획, HR, 재경 같은 기업의 핵심 부서에서 일하는 사람들, 또는 공공기관의 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차관, 국장, 과장 등을 포함한 비전공자들이다.
이 책은 모든 사람이 코딩을 배우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단지 2~4주 정도 투자해 데이터 분석의 핵심 이론과 응용을 이해하는 수준의 준전문가가 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를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라 부른다.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자신이 직접 간단한 분석을 할 줄 아는 파워 유저이자, 어려운 분석은 전문가에게 맡겨 정확히 원하는 바를 이야기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획자이다. 비즈니스의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인사이트를 정의하는 것은 이들의 몫이다.
그렇다면 비전공자나 입문자가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3가지 단계를 제시한다. 첫째 ‘데이터 분석의 기본 이론과 알고리즘을 공부한다’, 둘째 ‘실제 데이터가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셋째 ‘비즈니스 가치를 분석 문제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분석 방법론과 사례가 현업의 의사결정자들에게 빅데이터, 인공지능, 데이터 마이닝, 애널리틱스의 기초 핵심 이론과 응용을 이해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만드는 과정의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가장 객관적으로, 가장 합리적으로, 가장 과학적으로
최고의 선택과 결정을 돕는 데이터 기초 체력을 키워라!
금융, 통신, 유통업 등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서는 이미 상당히 많은 빅데이터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메가트렌드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 흐름 속에서, 데이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낼 힘이 되어줄 이 책은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데이터의 의미와 데이터 분석의 목적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어떤 인사이트를 기대해야 하는지,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고 어떤 분석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2부에서는 데이터에 숨겨진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조직의 데이터 문해력을 높여주고 의사결정자에게 통찰을 제공하는 데이터 시각화가 어느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3부와 4부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 방법을 다룬다. 인공지능을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분류와 예측,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어려운 코딩 문법이나 복잡한 통계학, 기계 학습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도 데이터 분석의 프레임워크를 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부와 6부에서는 데이터 분석의 응용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와 영상,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직관적 방법들을 통해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소개한다. 인공지능과 딥러닝의 활용 분야와 적용 사례를 쉽게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조성배(지은이)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인공지능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22년 대한민국정부 근정포장, 2021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특훈교수, 2017년 가헌학술상, 2005년 한국정보과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우리는 인공지능과 함께 할 수 있을까?≫(2021), ≪왜 인공지능이 문제일까?≫(2017)가 있고, 공저로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2022), ≪혁신의 목격자들≫(2019), ≪미래과학≫(2018) 등이 있다.
조성준(지은이)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마이닝, AI, 머신 러닝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이자 빅데이터 연구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워싱턴대학교에서 인공지능 연구로 석사 학위를, 메릴랜드대학교에서 신경망과 기계 학습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서울대학교에서 산업공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빅데이터AI센터장 일도 하고 있어요. 국내 대표 기업 및 공공 기관에 초청되어 활발한 자문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중 강연을 통해 대한민국 최고 빅데이터 권위자이자 멘토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조재희(지은이)
광운대학교 정보융합학부 교수로 창업지원센터장, 입학처장, 국제처장을 역임했다. 네브래스카대학교에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데이터 자산의 전략적 활용, 시공간 데이터분석, 다차원 모델링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장과 정부3.0 추진위원회 빅데이터분과 전문위원을 지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국내 데이터 발전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김성범(지은이)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교수. 조지아공과대학교에서 산업시스템공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고, 텍사스주립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교수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부학장, 인공지능공학연구소장, 기업산학연협력센터장을 역임하였다. 공저로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2022), ≪첨단유산≫(2021),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설계한다≫(2018) 등이 있다.
이성임(지은이)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에서 학사, 통계학과에서 석사를 마치고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에서 근무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통계학과에서 박사를 마치고, 동 대학 복잡계통계연구센터 박사후 연구원, 고려대학교 의과학연구원 연구 교수로 있다가 2004년부터 단국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데이터 마이닝과 범주형 자료분석, 생존 분석, 통계적 품질관리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된 연구 분야는 생존 분석과 통계적 모니터링 방법 등이다. 공역 저서로 《비즈니스 애널리틱스를 위한 데이터마이닝 in 파이썬》(2023)과 《비즈니스 애널리틱스를 위한 데이터마이닝 R edition》(2018), 공저로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2022)가 있다.
이영훈(지은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공학과/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데이터 마이닝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LG전자 UX연구소와 현대자동차 빅데이터실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텍스트 분석과 사용자 데이터 분석 분야의 전문가로 다수의 논문 발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기아자동차, 현대중공업, LG유플러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생산성본부 등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강연과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1부 데이터 문맹 탈출, 반드시 알아야 할 데이터 상식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빅데이터
좋은 기획이 빅데이터의 가치를 결정한다
어떻게 빅데이터를 분석할 것인가
비전공자가 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는 방법
기획과 분석, 핵심 원리만 이해하면 성공한다
2부 데이터 시각화로 트렌드를 읽어라
복잡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탐색하면 생기는 변화
데이터에 숨어 있는 본질을 발견하다
데이터 마이닝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가 만나면
결국 다양한 데이터 경험이 중요하다
3부 분류와 예측, 미래를 읽는 가장 확실한 방법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움직이는 기본 원리
데이터 활용은 분류와 예측에서 시작한다
함수를 찾으면 미래가 보인다
무한한 가능성의 인공지능
4부 데이터를 끼리끼리 뭉쳐 보는 군집분석의 힘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
군집분석, 어디에 어떻게 쓰일 것인가
데이터 간 거리를 읽으면 결과가 명확해진다
중요한 의사결정일수록 반복적으로 분석하라
5부 인공지능, 더 빠르고 능숙하게 이미지를 분석하다
기계가 인간처럼 스스로 학습하고 분석하는 세상
단순한 원리로 극강의 성과를 내는 딥러닝
알파고 이후 인공지능이 만든 놀라운 성과들
앞으로 10년, 빅데이터로 준비하는 미래
부록 빅데이터 직업 제대로 알기
데이터 전문가를 키우는 대학들
Q/A 묻고 답하기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