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장용진
서명 / 저자사항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 장용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형태사항
iii, 72장 : 도표 ; 26 cm
기타형태 저록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DCOLL211009)000000256662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22. 2
학과코드
0510   6YB2   592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언수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62-70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네트워크 제약성, 방위산업, 민군겸용 기술, 혁신 성과, 네트워크 중심성,,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6302
005 20230725132649
007 ta
008 211220s2022 ulkd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YB2 ▼c 592
100 1 ▼a 장용진
245 1 0 ▼a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 ▼d 장용진
246 1 1 ▼a The anteceden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246 3 1 ▼a Anteceden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2
300 ▼a iii, 72장 : ▼b 도표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김언수
502 1 ▼a 학위논문(박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62-70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네트워크 제약성 ▼a 방위산업 ▼a 민군겸용 기술 ▼a 혁신 성과 ▼a 네트워크 중심성
776 0 ▼t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w (DCOLL211009)000000256662
900 1 0 ▼a Jang, Yongjin, ▼e
900 1 0 ▼a 김언수, ▼g 金彦秀, ▼d 1962-, ▼e 지도교수 ▼0 AUTH(211009)124595
900 1 0 ▼a Kim, Eonsoo, ▼e 지도교수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민군겸용 기술개발의 선행요인과 혁신성과 (67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YB2 592 등록번호 1630820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YB2 592 등록번호 1630820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민군겸용 기술(dual-use technology)은 방위산업과 민간 산업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술 활용도가 높다. 특히, 드론,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이 방위산업에서 활용됨에 따라 민군겸용 기술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지식이 기술개발에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지식이 민군겸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특허 네트워크가 민군겸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군겸용 기술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혁신성과가 중요한 방산기업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지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특허 네트워크가 민군겸용 기술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군사기술 특허 721건을 바탕으로 특허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중심성(지식 습득량)은 민군겸용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네트워크 제약성(지식의 유사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입한 자원의 양이 많을수록 네트워크 중심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네트워크 제약성의 부정적인 영향이 모두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충분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민군겸용 기술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민군겸용 기술개발이 혁신성과에 주는 영향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민군겸용 기술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산기업이 밀집한 지역과 국방 연구소가 인접한 곳에서는 민군겸용 기술이 혁신성과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군겸용 기술의 이점을 누리려면 지식 유사성을 줄일 수 있는 다른 산업의 기업과 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군겸용 기술의 중요성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본 연구가 방산기업의 민군겸용 기술개발에 관한 관심을 고취하고 국내 방위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정부 또한 민군겸용 기술개발 정책 수립 시 본연구의 시사점을 활용하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ual-use technology is more efficient because it can be used by both defense and civilian industries. This importance is particularly evident a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drones, robots, and big data analysis are being utilized more broadly for defense purpose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t role that knowledge play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 study closely examining the effects of knowledge on dual-use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knowledge network on dual-use technology. Additionally, by verifying the positive impact of dual-use technolog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fense companies for which innovation performance is vital. In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the effects of the patent network on dual-use technology was examined. It analyzes networks based on 721 military technology patent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military technology networks on dual-us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network centrality (the amount of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dual-use technology, while network constraint (the similarity of knowledge) has a negative one. Furthermore, an increased investment in technology can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s of network centrality and the negative effects of network constraint.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cquiring sufficient volumes of various forms of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dual-use technology. The second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on innovation performanc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defense companies. Additionally, the reginal density of defense companies and the proximity of defense Institute weaken th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dicated, it was confirmed that dual-use technology enhances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for defense companies to reap the benefits of dual-use technology, they must acquire strengthened relationships with counterparts from other industries that can help decrease knowledge similarity. The importance of dual-use technology is likely to increase, so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at defense compan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dual-use technologies. The government will also be able to obtain better results by utiliz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hen formulating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policies.

목차

논문개요   i
목차   ii
제1장 서론   1
제2장 방위산업의 특징과 민군겸용 기술   4
 제1절 방위산업 특징   4
 제2절 한국 방위산업 현황   6
 제3절 한국 방위산업 특징   7
 제4절 군사기술 특징   8
 제5절 민군겸용 기술   10
 제6절 민군겸용 기술과 한국 방위산업   11
제3장 민군겸용 기술 선행요인 연구   13
 제1절 민군겸용 기술의 선행요인과 네트워크   13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9
 제3절 연구방법   26
 제4절 실증분석 결과   33
 제5절 소결론   38
제4장 민군겸용 기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42
 제1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42
 제2절 연구방법   47
 제3절 실증분석 결과   52
 제4절 소결론   55
제 5장 결 언   57
 제1절 시사점   57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59
참고문헌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