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01-2016년 기간동안 미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최고 경영자팀(Top Management Team: TMT) 내에 회계담당임원이 존재할 때의 효과를 분석한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TMT 내 회계담당임원의 존재가 재무보고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두 번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 투자자들이 TMT 내에 회계담당임원이 존재 하는 기업의 이익 관련 공시에 대해 증분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각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Chapter 1)의 분석 결과, TMT 내에 회계담당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재무보고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강건성 확인을 위해 2SLS 및 성향점수대응기법(PSM)을 사용하였을 때와, 변수정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위해 회계담당임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질적으로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다음으로, TMT 내에 회계담당임원 이 존재하는 기업일수록 내부통제제도의 중대한 취약점을 보고할 확률이 낮고, 고품질 감사인을 선임할 확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TMT 내 회계담당임원의 존재와 재무보고품질 사이의 양(+)의 관계를 설명하는 잠정적인 경로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TMT 내에 회계담당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경영자가 자발적으로 이익예측공시를 할 확률이 높고, 예측공시의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연구의 결과들은 TMT의 기능적 구성이 재무 보고품질 및 기업의 공시행태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업, 외부투자자, 규제기관들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두 번째 연구(Chapter 2)에서는 주식시장 투자자들이 TMT 내에 회계 담당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의 의무적 이익공시(earnings announcement) 및 자발적 이익예측공시(management earnings forecast)에 대해 증분적으로 반응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영업환경이나 회계 복잡성이 큰 기업들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일수록 외부투자 자들이 경영진의 회계전문성에 더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TMT 내 회계담당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공시 후 주가표류현상(PEAD)이 덜 관찰되었는데, 이는 TMT 수준의 회계전문성이 이익공시에 대한 시장의 신뢰성을 높여 공시정보의 주가 반영이 지연되는 현상을 완화해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는 TMT 내 회계담당임원의 존재가 해당 기업의 공시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외부 투자자들의 인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증거를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This study consists of two chapters dealing with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op management team (TMT). In the first chapter, we investigate how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affects a firm’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RQ). In the second chapter, we examine how the stock market responds to earnings-related disclosures of firms with and without an accounting manager in their TMT.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we find that firms with at least one accounting manager in their TMT tend to exhibit better FRQ measured by several proxies. Next, we document that firms with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are more likely to choose high-quality auditors and less likely to have material weaknesses in their internal controls over financial reporting. Lastly, we find that firms with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are more likely to issu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nd their earnings forecasts tend to be more accurate. Collectively, the findings of the first chapter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irms’ FRQ and disclosure behavior. Since financial reporting is the primary medium to publicly convey information to outsiders, our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companies, investors, and regulators. Our findings also suggest two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and FRQ: high-quality auditors and robust internal control systems.
The findings reported in the second chapter indicate that the stock market responses to earnings announcements and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re stronger for firms with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than for those without. This aspect appears to be more salient in firms with greater operating or accounting uncertainties. Further, we find that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magnitude of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s (PEAD). Overall, the findings of the second chapter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documenting for the first time that the presence of an accounting manager in TMT significantly influences equity investors' perception of the credibility of a firm’s earnings disclo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