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악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llam, Susan 조현재,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악 = Music / Susan Hallam ; 조현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돌배나무,   2022  
형태사항
218 p. : 삽화 ; 19 cm
총서사항
심리학으로 말하다 ;12
원표제
The psychology of music
ISBN
9791190855129 9791190855006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8-218
일반주제명
Music --Psychological aspects Musical perception Music --Acoustics and physics Music --Social aspect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6181
005 20230303160249
007 ta
008 220517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91190855129 ▼g 04180
020 1 ▼a 9791190855006 (세트)
035 ▼a (KERIS)BIB000016208114
040 ▼a 211021 ▼c 21102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81.11 ▼2 23
085 ▼a 781.11 ▼2 DDCK
090 ▼a 781.11 ▼b 2022
100 1 ▼a Hallam, Susan ▼0 AUTH(211009)149850
245 1 0 ▼a 음악 = ▼x Music / ▼d Susan Hallam ; ▼e 조현재 옮김
246 1 9 ▼a The psychology of music
246 3 9 ▼a Psychology of music
260 ▼a 서울 : ▼b 돌배나무, ▼c 2022
300 ▼a 218 p. : ▼b 삽화 ; ▼c 19 cm
490 1 0 ▼a 심리학으로 말하다 ; ▼v 12
504 ▼a 참고문헌: p. 198-218
650 0 ▼a Music ▼x Psychological aspects
650 0 ▼a Musical perception
650 0 ▼a Music ▼x Acoustics and physics
650 0 ▼a Music ▼x Social aspects
700 1 ▼a 조현재, ▼e▼0 AUTH(211009)149851
830 0 ▼a 심리학으로 말하다 ; ▼v 12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1 2022 등록번호 1118648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음악의 보편성과 다양한 관점에 따른 고유한 특성, 음악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 뇌가 음정, 음색,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음악을 들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 기분과 감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타고난 재능인 동시에 학습과 연습이 중요한 음악적 기량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논하며 음악의 중요성과 음악이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준다. 우리와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음악이 우리를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으로 어떻게 이끄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인간성과 현대인의 일상을 좀 더 깊이 살펴본다.

음악은 우리의 기분에 어떤 영향을 줄까?
문화마다 음악은 어떻게 달리 규정될까?
음악적 기량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

『음악: 심리학으로 말하다』는 음악의 보편성과 다양한 관점에 따른 고유한 특성, 음악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 뇌가 음정, 음색,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음악을 들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 기분과 감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타고난 재능인 동시에 학습과 연습이 중요한 음악적 기량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논하며 음악의 중요성과 음악이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준다.
우리와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음악이 우리를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으로 어떻게 이끄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인간성과 현대인의 일상을 좀 더 깊이 살펴본다.

<심리학으로 말하다> 시리즈는 다양한 주제와 현대인의 관심사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분석한다. 잠재의식 속 욕구와 혐오부터 수 세대를 걸쳐 전해져 온 타고난 사회적 본능에 이르기까지 우리 안에 숨겨진 심리적 요소를 파헤친다.
재미있고 유익한 주제들을 선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한 이 시리즈는, 일반적인 사회 통념과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여 인간의 본성을 깊이 탐구하고 현대인의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음악은 어떤 존재인가?

음악은 모든 문화에 존재하지만, 무엇이 음악인가는 개인에 따라,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게 규정된다. 자칭 ‘흥의 민족’답게 우리 조상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음악과 함께했다. 육체적으로 힘들거나 지루하고 반복적인 일을 할 때 노동요로 흥을 돋웠고, 그물을 당기거나 모를 심는 등 여럿이서 조직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노동요를 부르기도 했다. 현대의 노동요도 별반 다르지 않다. 부르기보다 듣는 일이 많아졌지만 우리는 업무에 집중하기 위해, 더 빠른 속도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 노동요를 듣는다. 이렇게 음악은 예로부터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자장가를 들었던 어린 시절을 지나 학교에서는 하나의 과목으로 음악을 배우며, 음악을 직업으로 삼거나 취미로 즐기는 사람들도 있다. 특별히 음악을 찾아듣지 않더라도 드라마나 영화에서 극적인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OST가, 카페에서 선곡한 여유로운 재즈 음악이 귀를 즐겁게 한다. 일상 어디에서나 접하게 되는 음악은 감정을 표현하거나 해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집단을 결속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매 순간 우리와 함께하고 있는 음악은 인간의 삶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어떤 의미를 지닐까?

『음악』에서는…

1장에서는 문화 중립적인 입장, 서양 문화권과 비 서양 문화권, 현대적 관점 등 여러 시각으로 음악을 정의해본다. 모든 문화에 존재하는 음악의 보편성을 상기시키며 오랜 세월 개인, 집단, 사회에서 음악이 담당해 온 역할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우리가 음악을 소화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 뇌가 시간, 음정, 음색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음악을 들을 때 나타나는 여러 반응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음악적 기량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논한다. 사람과 환경의 상호 작용을 보여 주는 여러 모델을 알아보고 출생부터 성년에 이르기까지 음악적 발달 궤적을 따라간다. 음악적 발달은 적극적 음악 활동 참여나 듣기 등을 통해 노년기까지 평생 지속될 수 있다. 4장에서는 우리 일상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위치를 알아본다. 일상의 여러 활동에서 음악은 도움이 되며 감정과 기분을 조절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여가 활동의 일부로 음악을 듣거나 직접 음악 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5장에서는 음악을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과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본다. 음악은 감정을 이끌어 내고 자율 신경계를 자극해 기분을 바꾼다. 정서적으로 취약한 노인의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환자들의 심신 안정이나 아이들의 충동 조절과 자기 통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6장에서는 음악적 능력에 대해 알아본다. 청각적 지각 능력과 유전에 초점을 둔 초기의 관점을 살펴보고, 절대 음감과 음치, 음악적 서번트와 윌리엄스 증후군, 음악 영재에 대해 소개한다. 우리가 음악적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고 평생에 걸쳐 음악을 하는 데는 청각 능력도 중요하지만, 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를 추구할 수 있는 기회가 핵심이다. 7장에서는 전문적 음악 기량을 갖추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최근 음악을 접하고 배울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마련되면서 음악과 관련된 직업과 이에 필요한 역량이 더욱 다양해졌다. 전문성 패러다임에 의하면, 음악적 기량 향상을 위해서는 ‘의도적인’ 연습에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한다. 그러나 연습 방법의 차이로 연습량이 전문 기술 수준과 반드시 정비례하지 않으며, 동기 부여 또한 음악적 전문 기술 개발 정도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음악 작업이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두뇌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는 적극적인 음악 활동이 청각 지각과 언어 능력, 공간 추론과 수학적 능력 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수전 핼럼(지은이)

런던대학교교육대학원(UCL Institute of Education)의 교육 및 음악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2015년에 음악교육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제국훈장(MBE)을 수훈했다. 교수직 수행 전에는 전문음악인 및 음악교육자로 활동했다.

조현재(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번역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연구소에서 번역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심리학으로 말하다’ 시리즈 『일터』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 음악의 의미와 기능
02 음악 뜯어보기
03 일생에 걸친 음악적 기량 개발
04 일상생활 속 음악
05 음악을 활용한 건강과 웰빙
06 음악적 능력과 관련된 주제들
07 전문적 음악 기량 개발
08 지적 기능에 미치는 음악의 효과

추가자료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