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김수연
서명 / 저자사항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 김수연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iii, 74장 ; 26 cm
기타형태 저록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DCOLL211009)000000257134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2   1036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석무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70-74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성차별, 성 역할, 성 표상, 크리티컬 페다고지, 크리티컬 리터러시, 학습자, 교수 학습 방법, 문제 제기식 질문, 대안 텍스트 쓰기, 교육과정,,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845
005 20230531094024
007 ta
008 211224s2022 ul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 ▼c 1036
100 1 ▼a 김수연
245 1 0 ▼a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 ▼b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 ▼d 김수연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iii, 74장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최석무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70-74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2015 개정 교육과정 ▼a 고등학교 ▼a 영어 교과서 ▼a 성차별 ▼a 성 역할 ▼a 성 표상 ▼a 크리티컬 페다고지 ▼a 크리티컬 리터러시 ▼a 학습자 ▼a 교수 학습 방법 ▼a 문제 제기식 질문 ▼a 대안 텍스트 쓰기 ▼a 교육과정
776 0 ▼t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w (DCOLL211009)000000257134
900 1 0 ▼a 최석무, ▼g 崔錫戊, ▼d 1968-,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72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102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36 등록번호 1630818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36 등록번호 1630818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을 분석하였다. 영어,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정하고 3개 출판사의 각 3종 교과서를 선정하여 총 9권 영어 교과서의 읽기 본문 텍스트에 어떤 성차별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남녀 등장인물 수에서 드러나는 차이가 성차별 양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교과서의 성차별 요소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 성차별 요소를 교사가 어떤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에서 다룰 것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상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서 본문 텍스트상 남녀 등장인물의 비율 차이가 줄었지만 여전히 남녀 성비에서 성적 불균형이 있었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 등장인물만 있거나 여성이 부정적으로 묘사된 텍스트를 접할 때 여성 학습자들은 소외감과 무기력감을 느끼고 학습 동기와 욕구를 상실할 수 있다. 사회 통념을 반영한 편향된 성 표상으로 인해 남녀 학습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세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는 문제 제기식 질문과 대안 텍스트 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남녀 등장인물 비율의 차이 및 성차별 요소를 인지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1. 크리티컬 페다고지 5
 2. 크리티컬 리터러시 7
  1) 정의 7
  2) 전략 8
   (1) 문제 제기식 질문 8
   (2) 대안적 관점 9
 3. 성과 성차별 10
  1) 성과 성차별 이론 10
  2)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 국내외 선행 연구 12
   (1) 국내 연구 사례 12
   (2) 국외 연구 사례 1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7
 1. 분석 대상 17
 2. 분석 방법 18
Ⅳ. 연구 결과 20
 1. 영어 교과서 20
  1) A 교과서 20
  2) B 교과서 29
  3) C 교과서 39
 2. 영어Ⅰ 교과서 44
  1) A 교과서 44
  2) B 교과서 47
  3) C 교과서 48
 3. 영어Ⅱ 교과서 52
  1) A 교과서 52
  2) B 교과서 55
  3) C 교과서 58
Ⅴ. 결론 61
 1. 연구의 결론 61
 2. 연구의 시사점 68
 3. 연구의 제한점 69
참고문헌 7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