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강서진
서명 / 저자사항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서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115 p. : 천연색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DCOLL211009)000000257092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1   1162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창희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13-115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국어교육, 문학교육, 주몽 신화,,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810
005 20230628115845
007 ta
008 220103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1 ▼c 1162
100 1 ▼a 강서진
245 1 0 ▼a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 ▼b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d 강서진
246 1 1 ▼a A study on the aspects of <Jumong myth> 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 ▼b focusing on high school textbooks
246 3 1 ▼a Study on the aspects of <Jumong myth> 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 ▼b focusing on high school textbooks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115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이창희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p. 113-115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국어교육 ▼a 문학교육 ▼a 주몽 신화
776 0 ▼t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w (DCOLL211009)000000257092
900 1 0 ▼a 이창희, ▼g 李昌熙, ▼d 1961-, ▼e 지도교수 ▼0 AUTH(211009)54273
900 1 0 ▼a Kang, Seojin, ▼e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주몽 신화> 교육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127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1 1162 등록번호 1630818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1 1162 등록번호 1630818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신화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가치관이 담겨 있는 문학텍스트이다. 따라서 신화의 문학적 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우리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신화 교육의 의의는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른다는 문학 교육 목표와도 잘 부합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현행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주몽 신화>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안 교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각 신화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신화와 <주몽 신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다시금 확인하였다. <주몽 신화>는 신화 중 가장 높은 문학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하는 데 적합하며,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요건을 두루 갖추었다는 점, 신화적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점에서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에 대해 학습’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다양한 이본과 방영된 드라마의 활용을 통해 ‘문학 작품의 재생산’에 대해 학습할 수 있으며, 적절한 길이와 전형적인 구조는 ‘작품의 수용’을 돕기에 적절했다. <주몽 신화>에는 고구려 국가 수립의 역사와 선조들의 세계관 등 당시 삶과 세계의 모습이 녹아 있다. 이런 점은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에 적합하며, <주몽 신화>의 가치를 충분히 인식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주몽 신화>를 계속해서 전승시킴으로써 ‘우리 문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현행 교과서에서의 <주몽 신화> 수록 현황을 분석하고,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세 개의 이본을 분석했다. 이후, 각각의 교과서들의 본문과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양상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렇게 분석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서를 제안하였다. 작품에 대한 보다 심화된 학습을 위해 대안 교재는『문학』교과서로 설정하였으며, 2015 개정 ‘문학’ 교육과정에 따라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영역과 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단원의 성취 기준과 학습 목표는 <주몽 신화>의 교육적 가치를 기준으로 3가지로 선정하였다. 교과서의 구성은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최근에 와서 사람들은 더 이상 신화의 ‘신성성’을 믿지 않는다. 집단에 대한 자부심이나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인주의가 더 성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화를 활용한 콘텐츠들이 계속해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은 신화가 여전히 현대의 사람들에게 흥미와 의미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화는 문학 작품이기 이전에 우리 선조들의 역사적, 사회적 경험을 담고 있는 것으로, 세계화 시대에 우리 문학과 민족에 대한 이해를 돕기에 적절하다. 신화를 통해 한국 문학의 원형을 알 수 있고, 선조들의 정서와 삶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건국신화는 우리의 역사인 동시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문학이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교사는 신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연구를 통해 신화의 교육과 전승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검토	4


Ⅱ. [주몽 신화]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	8
1. 신화의 특성 및 종류	8
2. [주몽 신화] 작품론	18
3. [주몽 신화]의 교육적 가치	30


Ⅲ. [주몽 신화]의 교과서 수록 양상과 분석	37
1. [주몽 신화] 교과서 수록 양상	37
(1) 개관	37
(2) 이본의 양상	39
2. 『국어』 교과서별 분석	46
(1) 금성(류)	47
(2) 해냄에듀(정)	54
(3) 소결	62
3. 『문학』 교과서별 분석	64
(1) 미래엔(방)	64
(2) 비상(한)	75
(3) 창비(최)	80
(4) 소결	85


Ⅳ. [주몽 신화]의 대안 교재 구성 방안	90
1. 대안 교재의 지침	90
2. 대안 교재의 실제	96


Ⅴ. 결론	108


[참고문헌]	11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