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장시경
Title Statement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시경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Physical Medium
v, 72장 ; 26 cm
기타형태 저록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DCOLL211009)000000257077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23   410  
General Note
지도교수: 박인우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장 51-60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성지식, 성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온라인 성교육,,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800
005 20230526155432
007 ta
008 211223s2022 ul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10
100 1 ▼a 장시경
245 1 0 ▼a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 ▼d 장시경
246 1 1 ▼a Effect of gender,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content utilization-centered online sexual education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v, 72장 ; ▼c 26 cm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51-60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성지식 ▼a 성태도 ▼a 학업적 자기효능감 ▼a 학업적 정서조절 ▼a 온라인 성교육
776 0 ▼t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257077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00 1 0 ▼a Jang, Si-kyung, ▼e
900 1 0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945 ▼a ITMT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166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23 410 Accession No. 1630817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23 410 Accession No. 1630817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사회적·기술적 변화의 흐름에 온라인 교육에 대한 새로운 공감대가 형성되고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성교육에서도 사회적 요구를 반영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면 학습과 달리 온라인 학습 환경은 교사와 분리된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학습 과정을 스스로 통제해야 하므로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중요하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을 선정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성교육의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경기도 Y 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154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을 시행하였다.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을 마친 후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성지식, 성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별, 학업적 정서조절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정서조절,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은 성지식과 성태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교수학습전략 방안에 성별 특성을 고려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교육 콘텐츠 설계 시에는 온라인 학습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명시적인 학습 안내가 제시되고 콘텐츠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 장면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정서조절에 주목하고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정서를 표현하고 상황에 적합한 정서조절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온라인 학습은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하고 위험요인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지속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앞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건강한 성문화 정착을 위해 온라인 성교육의 방안과 교육적 요소에 대해 고민해보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 new consensus on online education was formed,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 field raised the need to reflect social needs in sexual education. Unlike face-to-face learning,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requires autonomous control of the learning process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teacher, so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important. This study started as an attempt to find an effective online sexul education educational method by selec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mong the learner factors that affect successful learning performance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this end, content utilization-centered online sexual education was designed, and content utilization-focused online sexual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4 students in fifth grades in Y-city, Gyeonggi-do for 6 weeks. After completing online sexual education, data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gender,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ffecting sexual knowledg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gender,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sexual attitude, significant influenc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gender,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ffect both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content utilization-centered online sexu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online sexual education program or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strategies that can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by considering gender characteristics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hen designing sexual education content, explicit learning guides should be presented and content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learners can control their own learning proces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chool fiel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emotion regulation appearing in the learning scene, express positive self-awareness and emotions, and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nline learning can be predicted to continue as it can prepare for future social changes and efficiently cope with risk factors. Efforts to consider online sexul education measures and educational elements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y sex culture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성교육 	5
  가. 성교육의 필요성	5
  나. 성교육 동향	6
  다. 성지식과 성태도	8
  라. 성교육 선행연구	9
 2. 온라인 교육	14
  가. 온라인 교육의 효과와 한계	15
  나. 온라인 교육의 유형	16
 3. 온라인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19
  나. 학업적 정서조절	24
  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의 관계	31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33
 2. 연구도구	34
  가. 온라인 성교육 콘텐츠 구성 내용	34
  나. 성지식 측정 도구	35
  다. 성태도 측정 도구	36
  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	37
  마. 학업적 정서조절 측정 도구	38
 3. 연구 절차	38
 4. 자료 처리 및 분석	40

Ⅳ. 연구결과	41
 1.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41
 2.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42
 3.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43
   가. 독립변인이 성지식에 미치는 영향	43
   나. 독립변인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44

Ⅴ. 결론 및 제언	45
 1. 논의 및 결론	45
 2.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61
   [부록 1] 성지식 검사지	63
   [부록 2] 성태도 검사지 	64
   [부록 3]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지 	66
   [부록 4]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지	68

ABSTRACT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