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강호철
서명 / 저자사항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강호철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vi, 65장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OLL211009)000000257079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23   409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인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31-35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수학 정의적 특성, 학습량 제시 방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799
005 20230526155407
007 ta
008 211223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09
100 1 ▼a 강호철
245 1 0 ▼a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d 강호철
246 1 1 ▼a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246 3 1 ▼a Effect of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vi, 65장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31-35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수학 정의적 특성 ▼a 학습량 제시 방식
776 0 ▼t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257079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00 1 0 ▼a Kang, Hocheol, ▼e
900 1 0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1일 수학 학습량 제시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73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09 등록번호 1630817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09 등록번호 1630817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PISA, TIMSS와 같은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매우 높지만, 정의적 특성에서는 매운 낮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출발하였다. 
먼저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 계기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은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정의 및 구성요소,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들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일 수학 학습량 제시 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선정한 실험 대상자는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학습을 관리해 주는 전국 대도시의 초등학교 1, 3, 5학년 241명을 선정하였다. 그중 설문지 및 평가에 불성실하거나 일관성 없는 응답을 한 45명을 제외한 196명을 1일 수학 학습량 제시 방식에 따른 2개의 집단에 무선할당으로 배정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실험처치 전에 사전검사로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 및 수학학업성취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4주의 기간 동안 학생들에게 1일 학습량을 ‘낱장으로 매일 제시하는 방식’과 ‘한 권으로 한꺼번에 제시하는 방식’으로 차이를 두어 교재를 제공하고 학습을 하게 하였다. 4주의 실험처치 기간이 끝난 후 사후검사로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 및 수학학업성취도 검사를 다시 시행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F=9.076, p=.003)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일 학습량 제시 방식의 차이에 따른 학업성취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322, p=.252). 


 주요 용어: 학습량 제시 방식, 수학 정의적 특성, 수학 학업성취도

A B S T R A C T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Kang Hocheol Major in Instructional Metho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 Park Innwoo This study started with a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Korean students have very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cognition in evaluating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PISA and TIMSS, but low in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are formed on student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component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whether th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amount affects the affective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ath learning.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ere 24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grades in large cities nationwide, where parents actively manage their learning. Among them, 196 people were selected, excluding 45 who answered insincere or inconsistent with the survey and evaluati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Before the experiment, an affective factors test and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math learning were performed as a preliminary test. During the next four weeks, students were given books and asked to study by making a difference between "one sheet each" and "one book at a time." After the four-week experiment period, the affective factors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math learning were performed again as post-test. As a result,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F=9.076, p=).003)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F=1.322, p=).252). Keywords: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daily math learning,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Math achievement.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습 교재의 구성 체제	 5
  2.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	 10


Ⅲ. 연구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연구 도구	 18
  3. 실험 절차	 21
  4.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24
  1. 1일 학습량 제시 방식의 차이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24
  2. 1일 학습량 제시 방식의 차이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6


Ⅴ. 결론 및 제언	 28
  1. 논의 및 결론	 28
  2. 제언	 30


참고문헌	 31
부록	 36
ABSTRACT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