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5796 | |
005 | 20230526155259 | |
007 | ta | |
008 | 211229s2022 ulka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3 ▼c 406 | |
100 | 1 | ▼a 황동범 |
245 | 1 0 | ▼a VR 활용 영어 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읽기 수업 이해도와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 ▼d 황동범 |
246 | 1 1 | ▼a The effect of VR-using English classes on comprehension and academic interest in high school English reading classes |
246 | 3 1 | ▼a Effect of VR-using English classes on comprehension and academic interest in high school English reading classe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 |
300 | ▼a v, 49장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박인우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2. 2 |
504 | ▼a 참고문헌: 장 30-33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VR ▼a 영어수업 ▼a 가상현실 | |
776 | 0 | ▼t VR 활용 영어 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읽기 수업 이해도와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257082 |
900 | 1 0 |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
900 | 1 0 | ▼a Hwang, Dong-beom, ▼e 저 |
900 | 1 0 |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3 406 | 등록번호 1630817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3 406 | 등록번호 1630817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최근 가상현실(VR) 기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앞으로 전망은 더욱 밝아 보인다. 가상현실(VR) 기술이 흥미를 유발하고 실제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제공해준다는 점은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이미 알려진 바이다. 다만, 교수매체 활용 측면에서 살펴볼 때 VR 기술이 학교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입시 중심의 대한민국 교육 생태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다시 말해, 현재 고등학교에서 가장 일반적인 교수법인 ‘강의식’ 수업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매체로서 VR이 사용될 수 있을 때 보편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 기술이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되는 고등학교 영어 읽기 수업에 활용되었을 때,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와 학업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시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동일한 지문으로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몰입형 VR기기인 오큘러스 Rift S를 활용해 지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장소인 Horseshoe Bend와 Antelope Canyon을 탐사해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약 10분), 비교 집단에는 해당 지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을(약 5분) 동안 시청한 후 사전․사후 수업 이해도 검사와 학업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읽기 수업 후 VR 체험을 실시했을 때, 수업 이해도에서 비교집단과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VR 기술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과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다만 2주라는 비교적 짧은 실험기간으로 인해 VR 매체가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에 충분한 효과를 미치지 못했을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몰입형 VR이 영어 읽기 수업에 활용 되었을 때, 학생들의 학업 흥미도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사전․사후 학업 흥미도 검사지의 응답에서 실험집단의 학업적 흥미도 검사 점수 평균은 상승하였으며,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독립표본 t-검정 결과는 비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VR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몰입형 가상현실 구동을 위한 기기 및 컴퓨터 구입에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다보니 동시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VR 체험을 진행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독해 수업 후 교사가 학생들을 한 명씩 순서대로 불러 기기를 착용시킨 후 체험을 진행하여 얻은 결과값으로,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변인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VR 매체를 처음 접해본 학생들이 대다수였으며,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실험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신기효과(Novelty Effect)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사실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게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를 통해 VR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읽기 수업 현장에서 학업 흥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컴퓨터에 기반한 동영상과 ppt가 지배적인 교수매체인 한국 고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이번 연구가 수업 현장에서 다양한 교수매체 활용에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어보기를 희망해본다.
목차
목 차 국문 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1. 가상현실(VR) 5 2. 가상현실과 교육 7 3. 가상현실과 영어교육 9 4. 구성주의 10 5. 학업흥미 12 Ⅲ. 연구방법 14 1. 연구대상 14 2. 연구도구 14 가. 진단평가 14 나. 가상현실 컨텐츠 16 다. 진단평가(사전검사) 17 라. 영어 수업 이해도 검사(사후검사) 18 마. 사전‧사후 학업적 흥미도 검사 18 3. 연구설계 및 절차 19 가. 실험설계 19 나. 연구절차 19 4. 수업내용 및 절차 20 가. 수업내용 20 나. 수업절차 21 다. 수업도구 22 라. 자료 수집 및 분석 23 Ⅳ. 연구결과 24 1. VR활용 영어 읽기 수업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24 2. VR활용 영어 읽기 수업이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25 Ⅴ. 결론 및 제언 27 참고문헌 29 부록 33 ABSTRACT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