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5792 | |
005 | 20220517182404 | |
007 | ta | |
008 | 211220s2022 ulk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30 ▼c 247 | |
100 | 1 | ▼a 장혜수 |
245 | 1 0 | ▼a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하는 요인 / ▼d 장혜수 |
246 | 1 1 | ▼a Factors associated with nursing job performance of new nurse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 |
300 | ▼a v, 61장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박수경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2. 2 |
504 | ▼a 참고문헌: 장 40-47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Type-D 성격 ▼a 회복 탄력성 ▼a 자기 효능감 ▼a 직무 스트레스 ▼a 신체화 증상 ▼a 간호업무수행능력 ▼a 신규 간호사 | |
776 | 0 | ▼t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하는 요인 ▼w (DCOLL211009)000000257071 |
900 | 1 0 | ▼a 박수경, ▼e 지도교수 |
900 | 1 0 | ▼a Jang, Hye Su, ▼e 저 |
900 | 1 0 | ▼a Park, Soo Kyung,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하는 요인 (688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M30 247 | Accession No. 1630817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M30 247 | Accession No. 1630817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Type-D 성격, 회복 탄력성,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간호업무수행능력의 수준을 확인하고 간호업무수행능력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대학 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하의 신규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win 25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1±.62점으로 보통 수준을 보였다. 많은 요인들 중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총 근무 경력이 간호업무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신규 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총 근무경력이 길수록 간호업무수행능력이 높았다. 결론: 신규 간호사가 실무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직무 스트레스를 우선적으로 관리하는 노력과 신규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 관련 교육 뿐 아니라 신규 간호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맞춤형 심리적인 프로그램,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동, 지지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Type-D personality, resilience, self-efficacy, job stress, somatic symptoms, and nursing job performance in new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job performance in them.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150 new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who were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new nurses.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win 25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nursing job performance was 2.91±.62 points out of 5 normal. Job stress and total work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job performance among many factors. Those with lower job stress and longer total work experience had higher nursing job performance in new nurs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efforts to manage job stress so that new nurses can adapt well to the workplace, and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knowledge and skills of new nurses, continuous interest and support for new nurses is required.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i 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2장 문헌고찰 7 1.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 7 2. 간호업무수행 능력에 영향하는 요인 8 1) Type-D 성격 8 2) 회복 탄력성 9 3) 자기 효능감 10 4) 직무 스트레스 11 5) 신체화 증상 12 6) 간호업무수행능력의 그 외 영향요인들 13 3장 연구 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연구 대상 15 3. 연구 도구 16 4.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19 5. 자료 분석 방법 19 6. 윤리적 고려 20 4장 연구 결과 21 1. 신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21 2. 신규 간호사의 Type-D 성격, 회복 탄력성, 자기 효능감, 신체화 증상, 직무 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능력의 정도 23 3. 신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수행능력의 차이 26 4.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과 Type-D 성격, 회복 탄력성, 자기 효능감, 신체화 증상, 직무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28 5. 간호업무수행능력의 미치는 영향 요인 30 5장 논의 33 6장 결론 및 제언 37 1. 결론 37 2. 제언 39 참고문헌 40 부록 48 Abstract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