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송지연
Title Statement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송지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Physical Medium
65장 ; 26 cm
기타형태 저록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OLL211009)000000257076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30   246  
General Note
지도교수: 서문경애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장 39-55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직무만족도, 회복탄력성, 간호장교,,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791
005 20220517182312
007 ta
008 220102s2022 ul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30 ▼c 246
100 1 ▼a 송지연
245 1 0 ▼a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 송지연
246 1 1 ▼a Effect of MBTI personality type and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of nursing officers in military hospitals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65장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서문경애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39-55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직무만족도 ▼a 회복탄력성 ▼a 간호장교
776 0 ▼t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257076
900 1 0 ▼a 서문경애, ▼e 지도교수
900 1 0 ▼a Song, Jiyeon, ▼e
900 1 0 ▼a Seomun, Gyeongae, ▼e 지도교수
945 ▼a ITMT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96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46 Accession No. 1630817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46 Accession No. 1630817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군병원 간호장교의 MBTI 성격유형,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군병원에 소속된 간호장교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이며,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25.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간호장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결혼상태, 최종학력, 연령, 복무구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간호장교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하는 요인은 1단계 모형에서 40대 이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2%를 설명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2단계 모형에서는 회복탄력성 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40대이상,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18.3%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회복탄력성과 40대 이상의 연령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키는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복무인원 증가 등의 직업적 안정성 보장을 위한 현실적인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determine the impact of MBTI personality type and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nursing officers in military hospitals. Methods : The study's respondents were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21, with 187 copie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m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dow Version 25.0.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 age, and service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officers, and the correlation of nursing offic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stage one model, th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nursing officers'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ose in their 40s or older, explaining 10.2 perc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tage two model, the resilience variable was introduc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people in their 40s and older, with 18.3 percent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nursing officers' job satisfaction. It was discovered that resilience and age over 40 are highly associated, and that a personalized program to strengthen resilience w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Furthermore, realistic institutional settings should be provided to maintain professional stability,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long-term service personnel,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officers.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1. 군병원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	 7
  2. 군병원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하는 요인	 11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17
  2. 연구 대상 및 연구기간	 17
  3. 연구 도구	 18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0
  5. 자료 분석 방법	 21


Ⅳ. 연구결과
  1. 군병원 간호장교의 일반적 특성 및 MBTI 성격유형	 22
  2. 군병원 간호장교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의 정도	 24
  3. 군병원 간호장교의 일반적 특성 및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25
  4. 군병원 간호장교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27
  5. 군병원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7


참고문헌	 39

부    록(설명문, 설문지)	 56

Abstract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