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이영기
Title Statement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이영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Physical Medium
92장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DCOLL211009)000000257072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2022. 2
학과코드
0510   6M30   244  
General Note
지도교수: 김성렬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장 58-74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만성, 삶의 질, Type D 성격, 우울, 경부통,,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5789
005 20230526133322
007 ta
008 211230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30 ▼c 244
100 1 ▼a 이영기
245 1 0 ▼a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d 이영기
246 1 1 ▼a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hronic neck pain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92장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김성렬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2. 2
504 ▼a 참고문헌: 장 58-74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만성 ▼a 삶의 질 ▼a Type D 성격 ▼a 우울 ▼a 경부통
776 0 ▼t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w (DCOLL211009)000000257072
900 1 0 ▼a 김성렬, ▼g 金成烈, ▼d 1975-,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1683
900 1 0 ▼a Lee, Yeong Gi, ▼e
900 1 0 ▼a Kim, Sung Reul, ▼e 지도교수
945 ▼a ITMT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207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44 Accession No. 1630817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44 Accession No. 1630817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 경부통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과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제 특성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K대학교 G병원의 마취통증의학과나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여 국제 신체활동 수준 설문, Type D 성격, 우울, 삶의 질의 연구 도구를 포함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였고, 16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or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고 Scheffѐ test로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은 교육 및 월평균 수입수준, 직업 및 배우자 유무, 통증부위 수와 처방약물 수, Type D 성격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 통증 부위 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우울, 전문대학 이상의 교육수준,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설명력은 49.3%이었다. 따라서 경부통 환자의 간호 중재나 삶의 질을 평가 할 때 임상적 특성 뿐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인구사회학적, 사회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Neck pain is common experience in general population mainly advanced country, and its patients suffer from low in functional ability of life, psychological conditions, quality of life in chronicall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m.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verall quality of life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ociodemographic, clinical, physical, psychosocial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se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s of 163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January to June 2021 in patient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at the Guro hospital of Korea university.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survey which consist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Type D personality scale 14 (DS14), Korean Beck Depression Index Ⅱ (K-BDI-Ⅱ) and WHOQOL-BREF. Collected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or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post-hoc analysis by Scheffѐ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5.0 program. Results: A quartile for mean intensity of pain and mean scores for quality of life in chronic neck pain patients were 4 points(3~7) and 64.24±12.78 respectively, and assorted to Type D personality in 25% of the whole. Quality of life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presence of a spouse or occupation, the number of pain sites and prescription drugs and Type D personality.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 level of depression, the number of pain sites.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indicated that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were three that depression, a level of education above college graduate and the marital statu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was 49.3% in final model. Conclusion: When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of a patient with neck pain,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neck pain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1. 만성 경부통과 삶의 질 	8
 2. 만성 경부통 환자의 삶의 질 관련 요인 	11

Ⅲ. 연구방법 	18
 1. 연구설계 	18
 2. 연구대상 	18
 3. 연구도구 	19
 4. 자료수집방법 	23
 5. 자료분석방법 	24
 6. 윤리적 고려 	24

Ⅳ. 연구결과 	25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과 삶의 질	25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33
 3. 제 변수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39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Ⅴ. 논의 	44

Ⅵ.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8

부록 	75
 1. IRB 심사결과 통보서	75
 2. 연구대상자 동의서	78
 3. 연구대상자 설문지	79
 4. 연구도구 사용승인	88

Abstract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