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5629 | |
005 | 20220511115251 | |
007 | ta | |
008 | 220511s2022 ulkac b 000a kor | |
020 | ▼a 9788993884494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3047 ▼2 23 |
085 | ▼a 327.539047 ▼2 DDCK | |
090 | ▼a 327.539047 ▼b 2022 | |
100 | 1 | ▼a 이인선 |
245 | 2 0 | ▼a (한 번에 보는) 북러관계 100년 / ▼d 이인선 |
246 | 3 | ▼a 한 번에 보는 북러관계 백년 |
260 | ▼a 서울 : ▼b 615, ▼c 2022 | |
300 | ▼a 161 p. : ▼b 삽화(일부천연색), 초상화 ; ▼c 19 cm | |
504 | ▼a 참고문헌: p. 151-161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47 2022 | 등록번호 1118645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47 2022 | 등록번호 1118645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북·러 관계와 관련한 책을 써내는 전문가들조차 북한과 러시아가 이야기하는 내용은 배척한 채 러시아를 북한의 후견국으로 주장하는 논리를 펼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이다. 북한과 러시아 관계가 언제부터 돈독해진 것인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이 책을 통해 우리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책이다.
우리는 북한과 러시아가 가깝다는 것을 언론으로 접하지만, 북·러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해 왔는지 잘 모르고 있습니다.
북·러 관계와 관련한 자료는 찾기 어렵고 근거 없는 정보만 난무할 뿐입니다. 북·러 관계와 관련한 책을 써내는 전문가들조차 북한과 러시아가 이야기하는 내용은 배척한 채 러시아를 북한의 후견국으로 주장하는 논리를 펼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북한과 러시아 관계가 언제부터 돈독해진 것인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이 책을 통해 우리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책입니다.
정보제공 :

목차
책을 내면서 북ㆍ러 친선관계 시작은 언제부터 소련의 수정주의로 부침을 겪은 북ㆍ러 관계 새로운 이정표를 만드는 북ㆍ러 친선관계 북ㆍ러 친선의 역사와 오늘을 보여주는 상징물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