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5354 | |
005 | 20220517120338 | |
007 | ta | |
008 | 220504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70432944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6156845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791.43/653 ▼2 23 |
085 | ▼a 791.43653 ▼2 DDCK | |
090 | ▼a 791.43653 ▼b 2022 | |
100 | 1 | ▼a 박소진 |
245 | 1 0 | ▼a 영화관에 간 심리학 / ▼d 박소진 지음 |
260 | ▼a 서울 : ▼b 믹스커피, ▼c 2022 | |
300 | ▼a 246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46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653 2022 | 등록번호 1118643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람들은 언제나 심리가 궁금하다. ‘저 사람은 왜 저런 생각을 했을까?’ ‘나는 왜 늘 같은 선택을 하는 걸까?’ 그렇다고 쉽게 알 수 없는 것이 심리이기도 하다. 영화와 드라마를 소재로 심리를 쉽게 알려주는 책 『영화관에 간 심리학』이 나왔다. 이 책은 사랑, 가족, 폭력 등 각 주제에 어울리는 26편의 영화와 드라마 속 캐릭터를 통해 일상의 심리를 알려준다.
흔히 영화를 ‘2시간짜리 인생’이라고 한다.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인간의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영화 속 인물과 스토리에 몰입하고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해 울고 웃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영화를 통해 자신이 경험한 세계와 조우할 수 있고 과거의 나를 만나기도 하고 미래의 나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 책과 함께 영화가 선사하는 즐거움을 느끼는 동시에 나 자신을 알아갈 기회를 얻어보자.
26편의 영화와 드라마에 담긴 일상의 심리
나만의 영화관에서 심리를 읽다
사람들은 언제나 심리가 궁금하다. ‘저 사람은 왜 저런 생각을 했을까?’ ‘나는 왜 늘 같은 선택을 하는 걸까?’ 그렇다고 쉽게 알 수 없는 것이 심리이기도 하다. 영화와 드라마를 소재로 심리를 쉽게 알려주는 책 『영화관에 간 심리학』이 나왔다. 이 책은 사랑, 가족, 폭력 등 각 주제에 어울리는 26편의 영화와 드라마 속 캐릭터를 통해 일상의 심리를 알려준다.
흔히 영화를 ‘2시간짜리 인생’이라고 한다.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인간의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영화 속 인물과 스토리에 몰입하고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해 울고 웃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영화를 통해 자신이 경험한 세계와 조우할 수 있고 과거의 나를 만나기도 하고 미래의 나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 책과 함께 영화가 선사하는 즐거움을 느끼는 동시에 나 자신을 알아갈 기회를 얻어보자.
하나 되지 못하는 두 세계의 접촉 <기생충>
유머는 인지적 전환에 대한 반응이다? <극한직업>
현실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나를 찾아줘>
다양한 영화에서 심리학을 만나다
이 책은 사랑, 가족, 폭력, 범죄, 공포·코미디로 장르를 나눠 폭넓게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분석한다. 영화 <7년의 밤>에서 오영제(장동건 분)를 바라보며 반사회성 인격장애도 사랑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영화 <기생충>을 통해서는 각기 다른 두 가족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사건과 공간에서 주는 심리 문제를 제기한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보면서 역동적인 인물 간의 관계와 주인공의 심리를 엿보고, 그리스 신화와 스토리를 엮으며 시야를 확장시킨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악인전> <아저씨> 등 폭력과 액션이 뚜렷한 영화를 보며 슬픔, 분노, 갈등, 공격성 등을 밖으로 끌어내고 표현함으로써 억눌린 감정을 승화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영화 <배트맨> 시리즈와 <조커>를 통해 악인과 영웅의 탄생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기도 한다.
알고 보면 더 흥미로운 영화 속 심리 이야기
영화 속 인물을 통해 ‘내 안의 나’를 들여다보다
이렇듯 영화는 안전한 투사 도구다.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영상 텍스트 맥락에서 심리적으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영화 속 등장 인물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투사한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기본적으로 타인의 삶을 훔쳐보고 싶은 욕구가 있는데, 이런 욕구를 영화가 일정 부분 해소해주면서 그 안에서 자신을 투영하기도 하고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기도 한다. 이런 영화의 특성으로 방어기제를 완화하고 자신에게 일어나는 신체적 느낌, 감정, 변화, 통찰 등을 알아차리면서 자신과 이야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영화는 자신의 인생을 닮아 있기도 하고, 어떤 영화는 삶의 지표가 되기도 하고, 어떤 영화는 한 사람의 인생에 강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저자가 심리를 설명하기 위해 영화라는 소재를 선택한 이유다. 영화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주제들은 결국 일상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다는 뜻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소통이 필요한 요즘, 다양한 주제들을 통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을 또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소진(지은이)
심리학 박사(수료), 현재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회장 겸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협동조합 대표다. 덕성여대 심리학과, 단국대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추계예술대 영상시나리오학과에 출강했다. 이전에는 덕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상담원, 아동·청소년 관련 치료센터를 7~8년 운영했다. 저서로는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공저) 『영화 속 심리학 1·2』 『처음 시작하는 심리검사와 심리평가』 『당신이 알아야 할 인지행동치료의 모든 것』 『나는 자발적 방콕주의를 선택했다』 『영화로 이해하는 심리상담』 『영화로 이해하는 아동·청소년 심리상담』 『인지발달 및 학습향상을 위한 인지상담의 이해와 실제』(공저)가 있고, 번역서로는 『인지·행동치료 개론』(공저)이 있다. 홈페이지 www.kicb.kr 이메일 kicbtp@naver.com

목차
지은이의 말_당신에게도 인생 영화가 있나요? 글을 시작하며_영화와 심리학이 만나다 PART 1 영화관에서 사랑을 읽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도 사랑을 할 수 있나요? 〈7년의 밤〉 남녀는 원래 한 몸이었다? 〈헤드윅〉 〈무뢰한〉 사랑의 이름으로 그대의 죄를 사하노라! 〈불멸의 연인〉 결혼은 미친 짓이다! 〈나를 찾아줘〉 〈부부의 세계〉 PART 2 영화관에서 가족을 읽다 가족의 이름으로… 〈킬링 디어〉 〈케빈에 대하여〉 또 다른 가족의 이야기 〈기생충〉 PART 3 영화관에서 폭력을 읽다 넌 건드리면 안 되는 걸 건드렸어! 〈존 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아저씨〉 폭력의 두 얼굴 〈더 퍼지〉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동조와 복종의 패러다임 〈피아니스트〉 〈밀그램 프로젝트〉 PART 4 영화관에서 범죄를 읽다 진짜 나쁜 놈들의 전성시대! 〈악인전〉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연쇄살인, “인간인가, 괴물인가?” 〈세븐〉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배트맨과 조커 〈다크 나이트〉 〈조커〉 PART 5 영화관에서 공포·코미디를 읽다 좀비가 되어버린 사람들 〈부산행〉 왜 좀비인가? 〈킹덤〉 〈스위트홈〉 코미디, 유머와 해학 그 어디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극한직업〉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