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851 | |
005 | 20231128092114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66850707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6116570 | |
040 | ▼a 211015 ▼c 211015 ▼d 211009 | |
082 | 0 4 | ▼a 495.780071 ▼2 23 |
085 | ▼a 497.80071 ▼2 DDCK | |
090 | ▼a 497.80071 ▼b 2022z1 | |
100 | 1 | ▼a 김경령, ▼d 1968- ▼0 AUTH(211009)158985 |
245 | 2 0 | ▼a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의 이해 / ▼d 김경령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2 | |
300 | ▼a 397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제2언어로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대한 이해 | |
504 | ▼a 참고문헌(p. 361-386)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8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8S1A6A4A01032539)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0071 2022z1 | 등록번호 1118636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감사의 말씀 책 구성 제1장 제1언어 습득 & 제2언어 습득 1.1. 제2언어 습득 연구 1.2. 제2언어 습득 연구와 한국어 교육 1.3. 제1언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 1.4. 아동의 제1언어 습득 1.5. 아동의 이중언어 습득 1.6.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습득 제2장 한국어 습득의 언어학 2.1. 대조 분석 2.1.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대조 분석 2.2. 오류 분석 2.2.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오류 분석 2.3. 중간언어 2.3.1. 중간언어 이론 2.3.2. 모국어 영향 2.4. 유표와 보편문법 2.4.1. 보편문법 가설 2.4.2.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보편성, 유표성 2.5. 기능적 접근법 2.5.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형식 지도 제3장 한국어 습득의 심리학 3.1. 신경언어학 3.2. 언어 학습 과정 3.3. 언어 습득 순서 3.3.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형태소 습득 순서 3.4. 입력과 출력 3.4.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입력, 출력, 입출력 기반 교수 3.5. 입력과 상호작용 3.5.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명시적, 암시적 피드백 3.6. 학습자 변인 3.6.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동기 3.6.2.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양식 3.6.3.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전략 제4장 한국어 습득의 사회언어학 4.1. 의사소통 능력 4.1.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화행 4.2. 미시사회적 요인들: 상호작용 4.2.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교실 대화 4.3. 미시사회학적 요인 4.4. 거시사회적 요인 4.5. 제도적인 힘과 제약 4.5.1. 한국어 교육 정책 제5장 제2언어 습득 이론과 연구 방법 5.1. 제2언어 습득 이론 종합 및 비판 5.2.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용어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