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805 | |
005 | 20220524160107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kjka QB 000c kor | |
020 | ▼a 9788968498527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6068758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40.1 ▼2 23 |
085 | ▼a 340.1 ▼2 DDCK | |
090 | ▼a 340.1 ▼b 2022z1 | |
100 | 1 | ▼a 김지수, ▼g 金池洙, ▼d 1960- ▼0 AUTH(211009)124823 |
245 | 1 0 | ▼a 생명 도덕 법 문사철학 / ▼d 金池洙 |
246 | 0 | ▼i 한자표제: ▼a 生命 道德 法 文史哲學 |
260 | ▼a 광주 : ▼b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2 | |
300 | ▼a 638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저자의 다른이름은 '보적', '연정'임 | |
900 | 0 0 | ▼a 보적, ▼g 寶積 |
900 | 0 0 | ▼a 연정, ▼g 淵靜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 2022z1 | Accession No. 1118636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통법의 생명도덕을 문사철학 관점에서 통찰한 법인문학서다. 서론에서는 40년간 전통법문화를 연구한 동기와 회포를 풀었다. 제2편은 저자의 독창적 통찰사유로 ‘도-법 규범원류관’의 문사철학론을 펼친다. 제3편은 다양한 주제로 박이정한 문사철학 통찰.담론을 담았다.
이 책은 30년전 서울대 법학박사학위론문 제1초고 일부를 대폭 확대·심화한 결실로, 전통법의 생명도덕을 文史哲學 관점에서 통찰한 법인문학서다. 중문학 부전공 후 법제사 연구에서, ‘역사란 스승(史者, 師也.)’이란 영감을 얻은 저자가, 40년간 전통법문화를 연구한 동기와 회포를 서론에 푼다. 제2편은 老子의 ‘道-德-仁-義-禮’에 역사상、철학사상상 이어진 ‘法’을 더해, 저자의 독창적 통찰사유로 ‘道-法 규범원류관’의 문사철학론을 펼친다. 켈젠의 법효력단계설을 무색케 하는 전통법의 생명도덕성이, 심오하되 쉽고 생기발랄하게 펼쳐진다. 제3편은 東亞 전통 사회규범인 ‘禮-法’에 집중해, 다양한 주제로 博而精한 문사철학 통찰·담론을 담아, 수천년 법의 역사대하를 굽이치며 철학사상과 정신지혜를 선사한다. 결론은 전통법문화의 궁극이념을 간단명료한 몇몇 도표와 명석·통쾌한 요약해설로 종합·정리해 제시한다.
‘道-法 규범체계’를 강물에 빗댄 ‘규범源流’ 외에, 나무에 비유한 ‘규범樹’, 바퀴에 빗댄 ‘규범輪’, 부채꼴에 견준 ‘규범扇’ 등, 본서는 33년째 완전 채식명상으로 學道一如 수행정진에서 얻은 고귀한 보석처럼 영롱한 광명지혜로 활짝 꽃핀 우담바라 같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지수(지은이)
전북 부안 곰소 출생. 변산중, 전주고, 서울대법대(중국문학 부전공), 서울대학원 법학석사, 국립대만대학 법률학연구소 3년 遊學, 서울대학원 법학박사, 한국학술진흥재단 박사후 연수생. 2001년부터 전남대 법대 및 법전원에 재직 중. 전공 논문 수십 편과 공저 몇 권이 있으며, 번역서로, 「불가록(不可錄)」, 「운명을 뛰어 넘는 길(了凡四訓)」, 「화두 놓고 염불하세(印光大師嘉言錄)」, 「절옥귀감(折獄龜鑑)」, 「의심 끊고 염불하세」,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遺敎經」,「참나 찾아 불성광명 밝히는 법-고행두타 묘림승 구도기」, 「중국의 법조윤리 규범집」이 있고, 저서로,「지혜의 법과 생명법학」, 「四知-하늘이 알고 신이 알며, 내가 알고 니가 안다」, 「법 없이도 잘사는 법」, 「제갈량 평전」, 「포청천과 청렴정직 문화」, 「공자가 들려주는 관계의 미학」, 「채식명상 20년」, 「中國의 婚姻法과 繼承法」, 「傳統 中國法의 精神」, 「傳統法과 光州反正」, 「유불선 인생관-道 닦고 德 쌓자」, 「어떻게 살 것인가?-人生指南」 등이 있다. 네이버 블로그: “천인대동전당(天人大同典堂)” https://blog.naver.com/lotusbud44 다음 블로그: “보적념불당(寶積念佛堂)” https://blog.daum.net/lotusbud44/ 유튜브: 明鏡止水 寶積. https://www.youtube.com/channel/UCJLLMrXSZPfcAni3oY4P4uw

Table of Contents
제1편 緖 論 전통법의 역사철학은 왜 배우는가? - 歷史精神의 顯現과 계승발전을 염원하며 / 24 제2편 原 論 道-法 規範源流觀 / 49 제1장 道로부터 法에까지 / 50 제2장 道 / 61 제3장 德 / 87 제4장 仁과 義 / 114 제5장 禮 / 170 제6장 法 / 263 제3편 本 論 禮-法 文史哲學論 / 347 제1장 전통법문화에서 禮의 법규범성과 법 범주의 역사변천 / 348 제2장 先秦 시대 성문법 공포 / 392 제3장 李?의 法經 / 433 제4장 전통 중국에서 복수의 예법과 철학지혜 / 470 제5장 淸末 法律修訂시 禮法論爭과 沈家本의 법사상 / 521 제6장 전통법문화에서 법의 문자어원상 개념과 규범 비유 / 568 제4편 結 論 / 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