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통합의료인문학 강의 : 인간과 질병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윤재, 朴潤栽, 1966-, 저 김현수, 金炫秀, 1975-, 저 박성호, 朴晟浩, 1981-, 저 신지혜, 저 염원희, 廉元姬, 1977-, 저 이상덕, 李相德, 1983-, 저 이은영, 저 이향아, 저 장하원, 저 조태구, 저 최성민, 崔聖旻, 1975-, 저
단체저자명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서명 / 저자사항
통합의료인문학 강의 : 인간과 질병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모시는사람들,   2022  
형태사항
262 p. : 삽화 ; 25 cm
ISBN
9791166290930
일반주기
집필진: 박윤재, 김현수, 박성호, 신지혜, 염원희, 이상덕, 이은영, 이향아, 장하원, 조태구, 최성민  
감수: 박소연, 임성빈  
부록: 집필진 소개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56-26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757
005 20220526131703
007 ta
008 220428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91166290930 ▼g 03000
035 ▼a (KERIS)BIB000016066446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610 ▼2 23
085 ▼a 610 ▼2 DDCK
090 ▼a 610 ▼b 2022z1
110 ▼a 경희대학교. ▼b 인문학연구원. ▼b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245 1 0 ▼a 통합의료인문학 강의 : ▼b 인간과 질병 / ▼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지음
260 ▼a 서울 : ▼b 모시는사람들, ▼c 2022
300 ▼a 262 p. : ▼b 삽화 ; ▼c 25 cm
500 ▼a 집필진: 박윤재, 김현수, 박성호, 신지혜, 염원희, 이상덕, 이은영, 이향아, 장하원, 조태구, 최성민
500 ▼a 감수: 박소연, 임성빈
500 ▼a 부록: 집필진 소개
504 ▼a 참고문헌: p. 256-261
536 ▼a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9S1A6A3A04058286)
700 1 ▼a 박윤재, ▼g 朴潤栽, ▼d 1966-, ▼e▼0 AUTH(211009)132712
700 1 ▼a 김현수, ▼g 金炫秀, ▼d 1975-, ▼e
700 1 ▼a 박성호, ▼g 朴晟浩, ▼d 1981-, ▼e
700 1 ▼a 신지혜, ▼e
700 1 ▼a 염원희, ▼g 廉元姬, ▼d 1977-, ▼e▼0 AUTH(211009)37087
700 1 ▼a 이상덕, ▼g 李相德, ▼d 1983-, ▼e
700 1 ▼a 이은영, ▼e
700 1 ▼a 이향아, ▼e
700 1 ▼a 장하원, ▼e
700 1 ▼a 조태구, ▼e
700 1 ▼a 최성민, ▼g 崔聖旻, ▼d 1975-, ▼e▼0 AUTH(211009)95287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 2022z1 등록번호 111863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들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인간사회의 의료행위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도모하는 의료인문학의 연구 질의 심화와 대중화라는 양대 요구를 수용하여, 의료인문학 강의 교재로 기획된 책이다. ‘인간과 질병’라는 부제로서, 의료에 관한 역사적인 고찰과 동서양 의료의 비교, 인간의 심신과 의료의 관계 등 가장 기본적인 관심사로부터 접근을 시작한다.

감염병과 정신병, 만성질환이라는 이 책의 3대 키워드는 현대사회 인간이 직면한 가장 보편적인 질병의 범주이기도 하다. 인간과 질병의 관계 이해는 인류에 대한 이해와 세계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는 지름길이기도 하므로, 이 책은 ‘교재’를 넘어 ‘교양서’로서도 손색이 없다. 후속 ‘의료와 사회’와 짝을 이루게 된다.

의료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통합의료인문학을 위한 입문서


1990년대에 한국에 의료인문학이라는 학문이 소개되고 확산되기 시작했다. 각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의료인문학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교실이 생겼고, 이곳에서 의료사를 중심으로 의료인문학이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의료문학, 의철학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고, 그 영역은 인문학을 넘어 사회과학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주요 의과대학은 ‘인간적인 의사 만들기’라는 목표 아래 의료인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인문학에 대한 관심의 증대가 실질적인 성과의 축적으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전공자 수가 적다 보니 단행본 수준의 연구가 부족하다. 무엇보다 의료인문학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재의 수가 적다. 일종의 개설서에 해당하는 책들이 출간되었지만, 개략적인 소개에 머물고 있다.
물론 소개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 의료인문학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쌍방향 교육이 강조되는 점을 고려하면 교재의 성격도 변화해야 한다.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상호 소통을 통한 학습력 제고로 그 경향이 변하고 있다면 학습해야 할 내용이 개설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교재는 적절하지 않다. 교수는 질문을 던질 수 있고, 학생은 스스로 고민을 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교재를 구성하는 방식이 적절하다.

『통합의료인문학 강의』는 그런 점에서 각별하다. 각 장은, 역사학 용어를 빌리면, 주로 다양한 사료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할 지식이 아니라 교수와 학생이 서로 고민하고 토론해야 할 화두인 셈이다. 물론 단순하게 사료만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각 절 첫머리에 학습 대상을 개략적으로 소개하여 교육과 학습의 방향을 짐작하게 한다. 또 각 절마다 ‘학습 활동’을 적시하여 학생이 그 방향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새로운 교육방식에 적합한 교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부제는 ‘인간과 질병’이다. 질병은 인류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했고, 인류의 역사 내내 함께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인류와 더불어 존속할 것이다. 의료는 그 질병에 대처하고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이다. 그 노력 역시 인류와 함께 시작되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질병에 대한 이해는 인류에 대한 이해이고, 세계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인문학, 나아가 인문학적 관점에서 의료를 고민하는 의료인문학의 대상으로 질병은 필요하고 중요하고 적절하다.

『통합의료인문학 강의』가 포괄하는 시공간은 방대하다. 시기적으로는 고·중세 의학부터 현대의학까지를, 공간적으로는 동서양을 두루 포괄한다. 별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는 질병은 장을 분리해서 배치하였다. 정신병, 감염병, 나아가 현대에 문제가 되고 있는 만성질환이 그 예이다. 질병을 앓는 공간으로 몸에 대한 장도 별도로 배치하였다. 각 장의 내용을 학습하면서 학생은 의료인문학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습득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다음 권으로 ‘의료와 사회’ 편이 예약되어 있다. 다음 편에서는 환자와 의사의 관계, 의료제도, 의료윤리, 생로병사, 나아가 최근 유행하는 4차 산업혁명과 의료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것이다. ‘인간과 질병’이 통시적인 관점에 보다 집중하였다면, ‘의료와 사회’는 상대적으로 공시적인 관점을 강조하였다. ‘의료와 사회’까지 포함한 『통합의료인문학 강의』는 앞으로 오랫동안 의료인문학 학습을 위한 주요 교재로 활용될 것이다.

■ 집필진

<집필진>
박윤재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연구책임자
김현수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박성호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신지혜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전 HK연구교수
염원희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이상덕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교수
이은영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이향아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전 HK연구교수
장하원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전 HK연구교수
조태구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최성민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자료 정리 및 검토>
정세권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최우석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최지희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감수>
박소연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일반연구원(의과대학)
임성빈_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일반연구원(의과대학)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지은이)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중심 가치를 정립할 수 있는 통합의료인문학의 구축과 사회적 확산을 목표로 연구와 실천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인문학 지식의 대중화에 힘쓰고 지역사회의 인문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지역인문학센터 <인의예지>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제1강 고·중세의학
Ⅰ. 과학적 의학의 발전
Ⅱ. 고·중세의 치유

제2강 근대 의료
I. 근대의학의 형성: 사상적 배경
II. 근대의학의 발전
III. 근대의료의 그늘: 의료는 어떻게 ‘거부’되는가?

제3강 현대 의료
I. 현대 의료의 발전
II. 현대 의료와 질병
Ⅲ. 현대 의료의 발전과 이면, 그리고 환자와 의료인의 소통

제4강 몸의 인문학
Ⅰ. 몸에 대한 관념과 그 변화
II. 객체적 몸과 주체적 몸
III. 이상적인 몸과 이상한 몸

제5강 정신병의 인문학
I.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 -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선에서
II. 정신질환에 대처하는 의료의 흐름
III. 타자화된 질병으로서의 정신질환

제6강 감염병의 인문학
I. 만성감염병
II. 급성감염병
III. 전염과 격리

제7강 만성질환과 의료
I. 만성질환
II. 의학의 발전과 만성질환
III. 만성질환과 환자 경험

참고문헌
집필진 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

亜留間次郎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