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755 | |
005 | 20220526135211 | |
007 | ta | |
008 | 220428s2021 ulkad b 000a kor | |
020 | ▼a 9791165890735 ▼g 93340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8.95193 ▼2 23 |
085 | ▼a 338.9539 ▼2 DDCK | |
090 | ▼a 338.9539 ▼b 2021z1 | |
245 | 0 0 | ▼a 통일준비를 위한 북한의 SDGs 소개와 지표분석 / ▼d 황수환 연구책임 ; ▼e 최규빈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Introduction to North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indicator analysis for unification preparation |
246 | 3 1 | ▼a Introduction to North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indicator analysis for unification preparation |
246 | 1 3 | ▼a 통일준비 및 북한사회개발 이슈와 연계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행 지표개발 및 역량 구축(1/3년차) |
260 | ▼a 서울 : ▼b 통일연구원, ▼c 2021 | |
300 | ▼a 377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 ▼a KINU 연구총서 ; ▼v 21-16 |
500 | ▼a 공동연구: 강우철, 김지현, 문경연, 이해정, 이효정, 홍석훈 ; 연구지원: 홍예선 | |
504 | ▼a 참고문헌: p. 357-369 | |
650 | 0 | ▼a Sustainable development ▼x Political aspects ▼z Korea (North) |
650 | 0 | ▼a Economic development ▼x Political aspects ▼z Korea (North) |
650 | 0 | ▼a Korean reunification question (1945- ) |
700 | 1 | ▼a 황수환, ▼g 黃琇煥, ▼e 책임연구 |
700 | 1 | ▼a 최규빈, ▼g 崔圭彬, ▼e 연구 |
700 | 1 | ▼a 강우철, ▼g 姜宇哲, ▼e 연구 |
700 | 1 | ▼a 김지현, ▼g 金志賢, ▼e 연구 |
700 | 1 | ▼a 문경연, ▼g 文炅鍊, ▼e 연구 |
700 | 1 | ▼a 이해정, ▼g 李海晶, ▼e 연구 |
700 | 1 | ▼a 이효정, ▼g 李孝貞, ▼e 연구 |
700 | 1 | ▼a 홍석훈, ▼g 洪碩焄, ▼e 연구 |
830 | 0 | ▼a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 ▼v 21-16 |
900 | 1 0 | ▼a Hwang, Soohwan, ▼e 책임연구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8.9539 2021z1 | Accession No. 1118635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통일준비 및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유엔의 SDGs와 북한개발협력을 연계할 수 있는 지표 개발과 이행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 연구서다. 총 3년차 연구 중 1년차 연구에 해당하며, 북한의 SDGs 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2021년 7월 북한이 제시한 VNR(Voluntary national Review)과 기존 SDGs의 이행현황을 비교하고, 기존 연구자료와 성과물들을 정리, 분석하여 지표를 발굴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통일준비 및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유엔의 SDGs와 북한개발협력을 연계할 수 있는 지표 개발과 이행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 물론 17개 목표 169개 세부목표로 구성된 SDGs는 유엔 차원에서도 169개 세부목표에 대한 지표를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가 수준에서 대안적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총 3년차 연구 중 1년차 연구에 해당하며, 북한의 SDGs 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2021년 7월 북한이 제시한 VNR(Voluntary national Review)과 기존 SDGs의 이행현황을 비교하고, 기존 연구자료와 성과물들을 정리, 분석하여 지표를 발굴하고자 했다. 북한 SDGs 연구와 관련하여 파편화된 지표 자료를 종합정리하여 169개 세부지표별로 북한의 현황을 정리하여 유엔이 제시하지 못한 지표의 경우 대안적 지표를 발굴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Ⅰ . 서론 Ⅱ . 유엔의 SDGs 논의 동향 및 북한의 연계 가능성 Ⅲ . 분야별 SDGs 지표 현황 및 분석 Ⅳ . 북한의 SDGs 지표 현황과 북한 적용 가능 지표 Ⅴ . 결론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