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692 | |
005 | 20220530133328 | |
007 | ta | |
008 | 220428s2021 ulka b 000c dkor | |
020 | ▼a 9788928516834 ▼g 94080 | |
020 | 1 | ▼a 9788928508341 (SET) |
035 | ▼a (KERIS)BIB000016147295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5 ▼2 23 |
085 | ▼a 953.54 ▼2 DDCK | |
090 | ▼a 953.54 ▼b 2015z3 ▼c 31 | |
100 | 1 | ▼a 김봉규, ▼d 1959- ▼0 AUTH(211009)138749 |
245 | 1 0 | ▼a 청백리 곽안방과 현풍 곽씨 12정려 / ▼d 김봉규 글·사진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21 | |
300 | ▼a 235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대구의 뿌리 달성 산책 ; ▼v 31 |
490 | 1 0 | ▼a 민속원 ; ▼v 1967 |
500 | ▼a 기획: 달성문화재단 | |
504 | ▼a 참고문헌: p. 235 | |
830 | 0 | ▼a 대구의 뿌리 달성 산책 ; ▼v 31 |
830 | 0 | ▼a 민속원 ; ▼v 196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54 2015z3 31 | 등록번호 1118635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구시 달성군 현풍읍 솔례마을은 약 600년 전에 생겨난 마을이다. 이 마을에 맨 처음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한 사람이 곽안방이다. ‘솔례’라는 마을 이름도 곽안방이 지었다. 이 마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예를 잘 따르는 사람,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사람이 되기를 기원했던 것이다.
대구시 달성군 현풍읍 솔례마을은 약 600년 전에 생겨난 마을이다. 이 마을의 입향조入鄕祖, 즉 이곳에 맨 처음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한 사람이 곽안방郭安邦이다. ‘솔례率禮’라는 마을 이름도 곽안방이 지었다. 이 마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예를 잘 따르는 사람,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사람이 되기를 기원했던 것이다. 마을 초입에 꽤 큰 저수지(용흥지)가 있고, 저수지 가에 고목 느티나무와 회화나무 등이 있는 작은 숲이 있다.
그 숲에 ‘충효세업忠孝世業청백가성淸白家聲’이라고 새겨진 커다란 자연석이 세워져 있다. 충과 효를 대대로 이어갈 가업으로 삼고, 청렴결백이 가문의 명성이 되도록 하라는 가르침이다. 이 가르침은 곽안방이 생전에 삶의 철학으로 삼고 평생 실천한 덕목이다. 그리고 이 가르침은 대를 이어 후손들에게 이어졌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봉규(지은이)
영남일보 기자로 조선 선비들의 삶과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칼럼리스트다. 1959년 경북 칠곡에서 태어났으며, 경북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생명과 한국조폐공사 등을 거쳐 1990년 영남일보에 논설위원으로 입사한 후 31년 동안 언론인의 길을 걷고 있다. 영남일보 논설위원과 편집국 기자 및 부장을 거치며 문화부에서 가장 오래 근무했다. 현재는 문화부 전문 기자로 있다. 여러 부서의 기자와 부장, 전문 기자로 있으면서 한국의 전통 사상과 문화에 관한 글을 주로 써 왔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전통 사상과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저자는 《요리책 쓰는 선비, 술 빚는 사대부》, 《현판기행》, 《조선의 선비들, 인문학을 말하다》, 《조선 선비들의 행복 콘서트》, 《불맥, 한국의 선사들(공저)》, 《마음이 한가해지는 미술 산책》, 《한국의 혼, 누정(공저)》, 《길따라 숲찾아》, 《머리카락 짚신》, 《석재 서병오》 등을 출간했다.

목차
청백리 곽안방과 현풍 곽씨 12정려 조선 세조 때의 대표적 청백리 -아전은 두려워하고 백성은 칭송한 청백리 -12정려 주인공 등 많은 인재 배출 행장行狀을 통해 본 곽안방의 삶 청백리의 의미와 역사 -청백리란 -조선 청백리 현황 곽안방 불천위不遷位 이야기 -불천위 개념과 종류 -불천위 역사 -대구경북에 불천위가 많은 이유 -불천위 제사 -불천위 위패를 모시는 공간 -불천위 제사 순서 -불천위 제사의 변천 -곽안방 불천위 제사 -불천위 제사 참관기 곽안방과 계유정난·이시애의 난 -계유정난 -이시애의 난 곽안방 기리는 문화재 -추보당-현풍 곽씨 재실 -이양서원-곽안방 기리는 서원 -이양서원 배향인물 암곡서원-현풍 곽씨 시조 기리는 서원 -현풍 곽씨 시조 곽경 -추원당과 월계정 화산서원-곽안방 아들 기리는 서원 -1990년 중건 -배향 인물 유례가 없는 12정려 12정려 주인공들 이야기 전의 이씨 이야기 -전의 이씨 절명사 -효열부 전의 이씨 사적孝烈婦全義李氏事蹟 12정려 찬탄한 시 12정려각 역사 -정려각 중건상량문 -중수사실重修事實 -이건상량문移建上樑文 -이건사략移建事略 -12정려 중건기 -곽씨정문상량문郭氏旌門上樑文 정려와 정문 -정려旌閭 -정문旌門 예연서원-곽준·곽재우 기리는 서원 -‘의’와 ‘충’에 방점을 둔 당호 -존재 곽준 -망우당 곽재우 파리장서 주인공 면우 곽종석-곽안방 후손 -시무4조 -파리장서운동에 앞장 -파리장서長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