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664 | |
005 | 20220530103238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ulk 001c kor | |
020 | ▼a 9788999725500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031600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152.4/8 ▼2 23 |
085 | ▼a 152.48 ▼2 DDCK | |
090 | ▼a 152.48 ▼b 2022 | |
100 | 1 | ▼a Leahy, Robert L. |
245 | 1 0 | ▼a 질투, 나는 왜 그를 믿지 못할까 / ▼d Robert L. Leahy 저 ; ▼e 서수연, ▼e 이종선, ▼e 최기홍 공역 |
246 | 0 3 | ▼a 신뢰를 되찾고 소유욕을 극복하며 관계를 회복하는 방법 |
246 | 1 9 | ▼a The jealousy cure : ▼b learn to trust, overcome possessiveness & save your relationship |
246 | 3 9 | ▼a Jealousy cure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 |
300 | ▼a 316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Jealousy |
650 | 0 | ▼a Interpersonal relations |
700 | 1 | ▼a 서수연, ▼e 역 |
700 | 1 | ▼a 이종선, ▼e 역 |
700 | 1 | ▼a 최기홍, ▼e 역 |
900 | 1 0 | ▼a Suh, Sooyeon, ▼e 역 |
900 | 1 0 | ▼a Lee, Jong-sun, ▼e 역 |
900 | 1 0 | ▼a Choi, Kee-Hong, ▼e 역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2.48 2022 | Accession No. 1118634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질투의 본질, 그 감정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그리고 관계의 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질투의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관계가 너무 밀착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관계가 너무 소원해져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 그리고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강렬한 사랑과 강렬한 두려움의 합,
질투의 본질부터 메시지, 그리고 관계 회복까지강렬한 사랑과 강렬한 두려움의 합,
질투의 본질부터 메시지, 그리고 관계 회복까지
우리에게 이유 없는 감정은 없다. 감정은 우리가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감정에 담긴 고통이 클수록 메시지의 중요성도 크다. 질투의 감정은 아마도 우리가 가장 힘들어하고 다루고 싶지 않으며 인정하고 싶지 않은 감정일 것이다. 그렇지만 질투를 느낀다고 전혀 수치스러워할 필요는 없다. 질투의 감정은 당신이 누군가와 깊은 관계를 맺고 싶기 때문에 생기는 감정이며, 그 누군가를 깊이 사랑하고 소중하게 지키고 싶다는 의미이다. 질투의 감정을 통해 우리는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관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 더 깊은 관계로 발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질투의 감정에 빠져 이성을 잃고 감정에 사로잡힐 때에는 그 관계가 파괴적으로 끝날 수도 있다. 당신이 이 책을 통해 질투 안에는 관계의 회복, 나와 상대에 대한배려와 존중의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꼭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는 질투의 본질, 그 감정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그리고 관계의 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질투의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관계가 너무 밀착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관계가 너무 소원해져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 그리고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역자들은 임상심리학자로서 정신병리와 심리치료 등을 연구하고, 병원,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 상담센터에서 내담자에게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 어느 여름, 이 책의 저자인 Robert Leahy 박사를 초청해 강연과 함께 임상 경험을 나눌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Robert Leahy 박사는 임상심리학자로서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인지행동치료에서 정서를 다루는 영역을 확장하고 있었다. 또한 Leahy 박사가 이 책에서 질투 감정의 본질과 이를 다스리는 방안을 쉽고 명확하게 일반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음을 알았다. 우리는 방학과 연구년을 이용하여, 관계 때문에 고민을 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이 책을 번역하기로 마음먹었다. 코로나19로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가까운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 많은 관계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질투, 나는 왜 그를 믿지 못할까』에서 Leahy 박사는 임상가로 활동한 상당한 경험을 통해 이런 자주 소외되는 개인적이고 관계적인 비극을 조명한다. 그는 질투심의 원천과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당신이 질투심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이 책은 당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게 해 줄 것이며, 당신이 질투심에 대한 욕구와 고통을 경험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 즉 당신의 뇌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해 줄 것이다.
이 책은 당신의 질투심과 그 해결책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깊은 통찰이 있는 중요한 책이다. 당신은 스스로에게 솔직해지고, 마음속의 용기를 찾아내서 질투심으로 충만한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게 될 것이다. Leahy 박사의 글은 섬세하고, 접근 가능하며, 자비롭다. 궁극적으로 질투심을 이겨 내는 것은 엄청나게 고통스럽고 파괴적인 인간 경험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그 여정에 사용할 수 있는 단계적 지침이 있다.
우리에게 이유 없는 감정은 없다. 감정은 우리가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감정에 담긴 고통이 클수록 메시지의 중요성도 크다. 질투의 감정은 아마도 우리가 가장 힘들어하고 다루고 싶지 않으며 인정하고 싶지 않은 감정일 것이다. 그렇지만 질투를 느낀다고 전혀 수치스러워할 필요는 없다. 질투의 감정은 당신이 누군가와 깊은 관계를 맺고 싶기 때문에 생기는 감정이며, 그 누군가를 깊이 사랑하고 소중하게 지키고 싶다는 의미이다. 질투의 감정을 통해 우리는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관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 더 깊은 관계로 발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질투의 감정에 빠져 이성을 잃고 감정에 사로잡힐 때에는 그 관계가 파괴적으로 끝날 수도 있다. 당신이 이 책을 통해 질투 안에는 관계의 회복, 나와 상대에 대한배려와 존중의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꼭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는 질투의 본질, 그 감정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그리고 관계의 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질투의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관계가 너무 밀착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관계가 너무 소원해져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 그리고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역자들은 임상심리학자로서 정신병리와 심리치료 등을 연구하고, 병원,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 상담센터에서 내담자에게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 어느 여름, 이 책의 저자인 Robert Leahy 박사를 초청해 강연과 함께 임상 경험을 나눌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Robert Leahy 박사는 임상심리학자로서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인지행동치료에서 정서를 다루는 영역을 확장하고 있었다. 또한 Leahy 박사가 이 책에서 질투 감정의 본질과 이를 다스리는 방안을 쉽고 명확하게 일반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음을 알았다. 우리는 방학과 연구년을 이용하여, 관계 때문에 고민을 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이 책을 번역하기로 마음먹었다. 코로나19로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가까운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 많은 관계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질투, 나는 왜 그를 믿지 못할까』에서 Leahy 박사는 임상가로 활동한 상당한 경험을 통해 이런 자주 소외되는 개인적이고 관계적인 비극을 조명한다. 그는 질투심의 원천과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당신이 질투심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이 책은 당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게 해 줄 것이며, 당신이 질투심에 대한 욕구와 고통을 경험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 즉 당신의 뇌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해 줄 것이다.
이 책은 당신의 질투심과 그 해결책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깊은 통찰이 있는 중요한 책이다. 당신은 스스로에게 솔직해지고, 마음속의 용기를 찾아내서 질투심으로 충만한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게 될 것이다. Leahy 박사의 글은 섬세하고, 접근 가능하며, 자비롭다. 궁극적으로 질투심을 이겨 내는 것은 엄청나게 고통스럽고 파괴적인 인간 경험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그 여정에 사용할 수 있는 단계적 지침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Robert L. Leahy(지은이)
『The Worry Cure』를 포함하여 26권의 책을 집필 혹은 편집하였다. 그는 미국 전역 그리고 지역의 인지행동치료 기관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며 지도자 역할을 했다. 그는 정기적으로 Psychology Today에 블로그를 운영하며, 『The Huffington Post』에 기고를 하기도 했다. Leahy 박사는 전세계적으로 학회에서 국제적 강연을 개최하였으며, 『New York Times』, 『The Wall Street Journal』, 『The Times of London』, 『The Washington Post, 20/20』, 『The Early Show』 등 다양한 인쇄물을 출간하였고, 라디오와 텔레비전 매체에 출연하였다.
서수연(옮긴이)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과 학사를 졸업하고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임상심리대학원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카고 러시대학교에서 심리 레지던트를 수료하고 스탠퍼드의과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임상심리대학원 시절 DBT 수련을 받지 않겠냐는 교수님의 제안에 선뜻 1년 동안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DBT를 활용한 새로운 치료 수련을 받았고, 이후 모든 심리치료에서 DBT 기술들을 활용하고 있다. 저서로 《밤의 심리학》과 《엄마의 잠 걱정을 잠재우는 책》이 있으며 역서로는 《질투, 나는 왜 그를 믿지 못할까》 등이 있다. 현재 스탠퍼드대학교 방문교수로 해외 거주 중이다.
최기홍(옮긴이)
현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부설 KU 마음건강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병원에서 정신과 펠로우, 미국 예일대학교 병원에서 연구과학자, 미국 웨슬리안 대학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교수로 심리치료 효과 연구 및 중증정신질환의 재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아파도 아프다하지 못하면」(2018)이 있고, 역서로는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치료자 지침서」(2018), 「중증정신질환의 치료와 재활」(2011) 등 다수가 있다.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Psychological Medicine, Schizophrenia Research 등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석탑연구상과 석탑강의상을 수상하였다. 최기홍 교수는 미국 공인 심리학자(커네티컷 주)이자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로 근거기반 심리치료, 특히 인지행동치료 서비스를 임상현장에 제공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차세대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를 개발하는 국가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종선(옮긴이)
강원대 심리학과 교수 “뭔가 편치 않으면 눈을 감고 마음을 스캔한다.” 화려한 불빛으로 물든 서울에서의 기나긴 밤을 보내다 조용하고 미스터리한 런던의 겨울밤을 수년간 보내고 난 후 원래 계획에 없었던 연구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또 한 번의 계획되지 않은 일탈을 늘 꿈꾸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서문 들어가며 제1부 질투심의 열정에 대해 제1장 경쟁적 감정의 진화 질투심은 무엇인가 우리는 질투심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진화론적 관점 질투심의 진화 역사적 관점 재혼 가족에서의 질투심 직장에서의 질투심 질투심은 SNS로 인해 심해진다 요약 메시지 제2장 질투심은 당신에게 문제인가 질투심 척도 질투 나는 감정에 대처하기 질투심이 없는 인생 상상해 보기 제3장 애착과 약속 당신의 애착 양식 당신의 초기 애착 관계 친밀한 관계에 대한 경험 당신의 과거 연애 당신의 관계에 대한 전념과 투자 정서적 친밀감 불확실성과 걱정 제2부 질투심이 문제가 될 때 제4장 질투심에 사로잡힐 때 핵심 신념 규칙 편향된 생각 걱정과 반추 질투심으로 가득 찬 마음 통합해 보기 감정에 사로잡히기 제5장 파트너의 마음을 멀어지게 하는 질투 전략들 심문하기 단서 찾기 다른 사람들이 파트너에게 관심 있다는 사인 찾기 토라지기와 철수하기 비난하기 경쟁자 비하하기 파트너 비하하기 관계를 끝내고자 위협하는 것 파트너가 치러야 하는 대가를 높이기 파트너가 질투하게 만들기 양다리 걸치기 당신의 전략이 잘 작동하고 있는가 제3부 질투심 돌리기 제6장 관찰과 수용하기로 한발 물러서기 어떻게 하면 이런 느낌을 멈출 수 있을까 질투심에 대해 여유를 주기 나도 당신도 괜찮지 않지만, 그래도 괜찮다 제7장 당신의 생각과 함께 살아가기 중립적 생각이 주요 생활 사건이 되는 방식 침습적 사고 평가하기 질투 생각을 해야 하는가 질투 생각 수용하기 질투심이 단지 생각이라면 어떨까 질투로 보내는 시간은 한편에 제쳐 두기 당신의 생각에 점점 지루해진다 생각을 배경 소음으로 처리하여 듣기 질투 생각 위한 공간 만들기 상황 역전시키기: 파트너가 당신을 질투한다면 제8장 질투심 반박하기 자동적 사고에 반박하기 자동적 사고에 대한 대안 고려하기 자동적 사고에 대한 합리적 반응 탐색해 보기 규칙의 기본 가정 검토하기 질 투심과 관련 있는 신념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검토해 보기 제가 배신당하면 어떻게 하죠 누구를 믿어도 될까요 생존자 찾기 제9장 상황 속에서 질투를 이해하기 관계의 방 관계의 렌즈를 돌려 보기 함께 해결했던 문제들을 살펴보기 당신은 질투심으로만 한정 지을 수 없는 사람이다 제10장 함께 해결하기 함께 작업하기 위한 일반적 지침 논의 시작하기 논의를 위한 원칙 나의 질투심에 대해 파트너와 이야기하는 방법 나의 행동에 대해 스스로 정직하라 당신이 변화하고자 하는 부분을 생각하라 나에게 어떤 자유가 있는지 찾아보라 질투하는 파트너에게 대응하는 방법들 계속 작업해 나가기 제11장 과거사의 질투심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는 과거에 두기 나는 당신의 유일한 사람이고 싶어요 자신의 질투심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들 과거사의 질투심에 감추어진 규칙들 진화의 렌즈 현실적인 지침 만들기 내 파트너가 그를 원했었다면, 어떻게 나를 원할 수 있을까 아마도 나보다는 다른 사람이 내 파트너에게 더 좋은 상대였을 거야 나는 이 생각을 떨쳐낼 수 없어 현재의 순간에 도달하기 당신은 오늘의 관계만을 맺을 수 있다 제12장 복합적인 작업: 과거 부정을 극복하기 위기는 전환점일 수 있다 서로의 관여 정도를 명확히 하라 파트너의 부정에 대한 반응 파트너의 부정이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변화를 위한 동기 키우기 기본 규칙 세우기 당신의 파트너에게 경청하기 공동의 목표에 집중하기 마치는 말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