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서 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정서 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Fonagy, Peter, 1952-, 저 Gergely, György, 저 Jurist, Elliot L., 1953-, 저 Target, Mary, 저 황민영, 역
Title Statement
정서 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 Peter Fonagy [외]공저 ; 황민영 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2  
Physical Medium
450 p. ; 26 cm
Varied Title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ISBN
9788999725838
General Note
공저자: György Gergely, Elliot L. Jurist, Mary Target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07-450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Affective disorders Affect (Psychology) Self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573
005 20230808144057
007 ta
008 220428s2022 ulk b 000c kor
020 ▼a 9788999725838 ▼g 93180
035 ▼a (KERIS)BIB000016114589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89 ▼2 23
085 ▼a 616.89 ▼2 DDCK
090 ▼a 616.89 ▼b 2022z1
245 0 0 ▼a 정서 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 ▼d Peter Fonagy [외]공저 ; ▼e 황민영 역
246 1 9 ▼a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300 ▼a 450 p. ; ▼c 26 cm
500 ▼a 공저자: György Gergely, Elliot L. Jurist, Mary Target
504 ▼a 참고문헌: p. 407-450
650 0 ▼a Affective disorders
650 0 ▼a Affect (Psychology)
650 0 ▼a Self
700 1 ▼a Fonagy, Peter, ▼d 1952-, ▼e▼0 AUTH(211009)32877
700 1 ▼a Gergely, György, ▼e▼0 AUTH(211009)154368
700 1 ▼a Jurist, Elliot L., ▼d 1953-, ▼e▼0 AUTH(211009)154369
700 1 ▼a Target, Mary, ▼e▼0 AUTH(211009)154370
700 1 ▼a 황민영, ▼e▼0 AUTH(211009)154367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9 2022z1 Accession No. 1118633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9 2022z1 Accession No. 11186869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2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9 2022z1 Accession No. 11187419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피터 포나기(지은이)

심리학 박사이자 정신분석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현대 정신분석과 발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심리언어학 분과장이다. 런던 ‘안나 프로이트 센터’의 총책임자이며, 영국정신분석학회에서 아동 및 성인 정신분석 분야의 훈련/감독 분석가이다. 주된 관심 분야는 경계성 인격장애, 초기 애착관계, 폭력성 등이다. 그의 주된 업적은 정신분석 이론에 자신의 경험적 연구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500편 이상의 논문과 270챕터를 출판했고, 19권의 책을 저술했고, 17권의 편저자이다. 평생의 업적으로 대영제국훈장을 수여받았고, ‘영국 한림원’으로부터 최고의 심리학자에게 주는 ‘윌리(Wiley) 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정서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정신화 중심의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 『정신건강 임상영역에서 마음헤아리기의 적용에 대한 핸드북』 등이 있다.

황민영(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Ewha Womans University)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며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은 심리학 박사이다. 현재 한국심리학회 정회원이고, 한국발달심리학회 정회원, 한국임상심리학회 전문회원이다. 애착과 정신병리에 관심을 가지고 인간의 발달을 공부해 온 황민영 박사는 인간의 발달과 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정신병리와 인지기능 사이의 역동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임상심리전문가인 황민영 박사는 현재 마인드랩(mindLAB)이라는 작은 상담심리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이론적 관점

제1장 애착과 반영기능: 자기 조직화에의 역할
반영기능, 정신화: 역사적 배경
영유아기 반영기능의 발달적 기원
부모의 반영기능과 애착 안정성
영유아의 애착 양상
향후 대인관계 결정요인으로서의 애착 체계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반영기능
자기 발달에 대한 반영기능의 시사점
비정상적 반영기능에 대한 발달적 틀

제2장 정서와 정서 조절에 대한 역사적 및 다학제적 관점
서론
철학적 관점
심리적 관점
신경과학적 관점
정신분석적 관점
애착이론 관점
정서 및 정서 조절에 대한 통합적 관점

제3장 정신화 발달의 심리사회적 모델에 대한 행동유전학자의 도전
서론
사회화의 종식: 양육 vs. 유전
유전자와 환경의 접점에서의 주체성
IIM-a 및 IIM-c의 신경해부학적 기반
임상적 시사점
결론


제2부 발달적 관점

제4장 정서 비춰 주기의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이론: 영유아기 감정적 자기 인식 및 자기 통제의 발달
마음이론 관점에서 본 감정 발달
감정 상태의 모방 기반 귀인: 멜초프-고프닉 가설
내적 vs. 외적 자극에 대한 초기 민감성
생해 첫해의 감정 발달
자기 상태 표상의 수준: 자동적 vs. 통제된 과정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의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모델
유관성 탐지 모듈: 영유아의 유관성 분석 및 유관성 최대화
유관성 탐지의 발달적 기능
바이오피드백 훈련 및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에 기저하는 메커니즘으로서의 유관성 탐지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와 감정 상태의 실시간 조절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의 표상적 결과: ‘현저함’ 가설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이론 관점에서의 ‘정서 조율’
멜초프와 고프닉의 ‘동일한 나’ 가설
‘유사한 나’ 가설
발달정신병리 및 치료적 개입에의 함의
정서 비춰 주기의 정상적 결과 vs. 병리적 결과
치료적 개입 메커니즘으로서의 정서 비춰 주기
결론

제5장 자기 및 주체성 이해의 발달
서론: 마음이론 발달의 시각에서 본 주체로서의 자기에 대한 초기 이해
‘신체적 주체’로서 자기의 초기 발달
‘사회적 주체’로서 자기의 초기 이해
‘목적론적 주체’로서 자기 및 타인의 이해: 9개월 사회인지 혁명
‘지향적 심적 주체’로서 자기와 타인의 이해
‘표상적 주체’로서 자기와 타인의 이해 및 ‘자서전적 자기’의 발달
발달정신병리에의 함의

제6장 ‘현실과의 놀이’: 주관성의 발달에 대한 발달 연구 및 정신역동 모델
정신적 현실의 개념
발달적 관점의 중요성
정신적 현실의 발달에 대한 경험적 관찰
정신화 능력의 발달에서 타인의 역할
5세 미만 아동의 정신분석치료 사례: 레베카
초기 대상관계의 발달 모델과 정신적 현실의 진화

제7장 현저한 정서 비춰 주기 및 가장 놀이의 정서 조절적 사용의 발달
서론
‘현저한 외재화’ 및 정서적 자기 조절
‘현저한 외재화’의 정서 조절적 사용에 대한 생물학적 및 사회적 결정요인
임상 사례: 매트
논의
결론

제8장 정상 발달 청소년 및 청소년 붕괴에서의 발달적 이슈
서론
자기 발달이론
청소년기 주요 과업으로서의 분리
임상 사례: 토니
임상 사례: 글렌


3부 임상적 관점

제9장 비조직형 애착에서의 경계성 성격장애의 근원
성격장애에서의 애착 체계 및 대인관계 왜곡
사회 인지 능력의 결정요인으로서의 애착 경험
애착과 자기의 정상 발달
성격장애 세대 간 전달 모델
반영기능에 대한 학대의 영향
성격장애와 정신화의 손상
비조직형 애착과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의 증상학
제안된 모델의 몇 가지 요건
심리치료와 정신화

제10장 경계성 상태에서의 정신적 현실
서론: 정신적 현실의 정상 발달
정신적 현실의 두 모드의 통합을 가로막는 외상의 역할
관계 양상의 경직 및 표상 체계의 경화
자기 파괴성에서의 역기능적 정신적 현실-임상 사례: 엠마
대인관계 폭력에서의 역기능적 정신적 현실-임상 사례: 헨리에타

제11장 임상 현장에서 정신화된 정서성
정신화된 정서성의 개념
정신화된 정서성의 요소
임상 사례
테레사
베니
스콧
롭
결론


맺는 글
심적 모델과 절차
자기의 핵심에 있는 대상
병리적 발달에 대한 성찰
심리치료와 정신화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