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528 | |
005 | 20230327112741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ulk b 000a kor | |
020 | ▼a 9791128816680 ▼g 046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15 ▼2 23 |
085 | ▼a 791.43015 ▼2 DDCK | |
090 | ▼a 791.43015 ▼b 2022 | |
100 | 1 | ▼a 이태훈, ▼g 李泰勳, ▼d 1970- ▼0 AUTH(211009)150281 |
245 | 1 0 | ▼a 작가주의 감독 영화 / ▼d 이태훈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22 | |
300 | ▼a xx, 85 p. ; ▼c 19 cm | |
490 | 1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830 |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15 2022 | Accession No. 1118633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작가주의 영화는 상업적인 환경의 제한된 프레임 속에서 영화 속 예술적 가치를 추구하는 영화다. 이 책은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한 대표적인 작가주의 감독 영화의 예술적 가치와 영상화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중예술에 대한 정의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정립시키고 영화에 대한 지식 확대 및 예술적 안목을 넓혀주고자 한다. 상업적 영화가 추구하지 못한 전위 예술의 선구적인 측면을 통해 감독의 ‘정신의 내적 필연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예술성으로 승부하는 작가주의 영화들
코엔 형제, 스탠리 큐브릭, 왕가위, 봉준호 등 상업영화 뛰어넘는 대중성도 갖춰
상업적인 환경의 제한된 프레임 속에서 영화 속 예술적 가치를 추구하는 영화를 작가주의 영화라고 한다. 영화제작에서 감독이 자신의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자기 생각을 전달하면서 영화 전반에 표현된 전체의 미를 예술적으로 잘 승화시킨 영화를 말한다. 작가주의 영화에서 감독은 영화를 리드, 조절하는 최종적인 주인이다. 작가주의 감독은 주제의 탁월함과 고유의 스타일을 통해 작품의 내적 의미를 완성시키는 예술가적 역량과 함께 시각적인 방법을 통해서 이를 반영시켜야 한다는 면에서 탁월한 표현 기술 능력을 보여 준다
‘어른 동화’라는 독특한 이야기 구조와 영상 스타일로 주목받는 웨스 앤더슨(Wes Anderson) 감독은 블랙 코미디 색채의 극 구성을 바탕으로 패셔너블한 영상 스타일을 표현한다. 반대 정서의 배경음악 설정 등 기존의 영상 문법을 뒤엎는 뉴웨이브적 발상과 표현으로 강한 충격과 묘한 여운을 남기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영화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영상을 만들어낸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시계태엽 오렌지'는 파격적인 소재와 수준 높은 예술적 표현기법으로 주목을 끌었다. 아카데미 감독상 등 4개 부문 수상한 코엔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와 왕가위 감독의 '화양연화'도 작가주의 영화다. '살인의 추억' '설국열차' '기생충' 등으로 한국 사회의 현실적 모습을 섬세하게 반영하고 서민계급의 이상향 세계에 대한 갈망 표현을 교육, 계몽적으로 묘사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도 이들과 견줄만하다. 상업적 제작 환경과 컴퓨터그래픽 등 영상미에 의존하는 경향으로 오락성 영화가 난무하는 가운데서도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인 고찰을 추구하는 예술성 높은 작가주의 영화들이 상업 영화를 뛰어넘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이 책에서는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한 대표적인 작가주의 감독 영화의 예술적 가치와 영상화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중예술에 대한 정의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정립시키고 영화에 대한 지식 확대 및 예술적 안목을 넓혀주고자 한다. 상업적 영화가 추구하지 못한 전위 예술의 선구적인 측면을 통해 감독의 ‘정신의 내적 필연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태훈(지은이)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디지털 콘텐츠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에서 예술학 학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아트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 영화학과에서 예술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자의 감독작품인 영화 '스물아홉 다정이'로 제4회 인도 국제영화제(4th Indian World Film Festival- 2020) 단편 부문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현대 작가주의 영화 감독작품의 영상 스타일 분석연구” (2012), “블랙 코미디 장르 영화에 있어 아이러니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2014), “꿈 시퀀스 이미지에 대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연구”(2015), “롱테이크 촬영기법을 통한 장면전환 기법에 관한 연구”(2016), “영화 콘텐츠의 예술적 상징표현 분석연구”(2016) 등이 있으며 2003년 교직 임용 후 50편 이상의 논문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했다.

Table of Contents
예술적 감흥과 독창적 스타일의 세계 01 미국 뉴웨이브웨스 앤더슨 02 영상 스타일의 대명사가이 리치 03 아이러니 블랙 코미디코엔 브라더스 04 상징적 입체주의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05 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표현데이비드 린치 06 인간과 사회의 인문학적 관찰스탠리 큐브릭 07 비약과 시공간 초월의 롱 테이크 기법알레한드로 이냐리투 08 페미니즘과 사회계급의 고찰알폰소 쿠아론 09 색채상징과 영상 스타일왕가위 10 한국 사회계급투쟁 고찰봉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