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 김건후, 칭치엔허, 허버트 김, 게르베르트 김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 김건후, 칭치엔허, 허버트 김, 게르베르트 김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재원, 金在源, 1950-, 편 이숭희, 李崇熙, 1946-, 편
서명 / 저자사항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 A forgotten name, a forgotten history : 김건후, 칭치엔허, 허버트 김, 게르베르트 김 / 김재원, 이숭희 엮음
발행사항
파주 :   푸른사상,   2022  
형태사항
349 p. : 삽화, 초상화 ; 25 cm
ISBN
9791130818894
일반주기
"김건후 연보" 수록  
주제명(개인명)
김건후,   金鍵厚,   1904?-?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518
005 20230327094619
007 ta
008 220428s2022 ulkac 000c bkor
020 ▼a 9791130818894 ▼g 03990
035 ▼a (KERIS)BIB00001606887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951.903092 ▼2 23
085 ▼a 953.06092 ▼2 DDCK
090 ▼a 953.06092 ▼b 2022z5
245 0 0 ▼a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 ▼x A forgotten name, a forgotten history : ▼b 김건후, 칭치엔허, 허버트 김, 게르베르트 김 / ▼d 김재원, ▼e 이숭희 엮음
246 3 1 ▼a Forgotten name, a forgotten history
260 ▼a 파주 : ▼b 푸른사상, ▼c 2022
300 ▼a 349 p. : ▼b 삽화, 초상화 ; ▼c 25 cm
500 ▼a "김건후 연보" 수록
546 ▼a 韓英對譯
600 1 4 ▼a 김건후, ▼g 金鍵厚, ▼d 1904?-?
700 1 ▼a 김재원, ▼g 金在源, ▼d 1950-, ▼e▼0 AUTH(211009)77876
700 1 ▼a 이숭희, ▼g 李崇熙, ▼d 1946-, ▼e▼0 AUTH(211009)150273
900 1 0 ▼a Ching, Chien-heo
900 1 0 ▼a 칭치엔허
900 1 0 ▼a Kim, Herbert
900 1 0 ▼a 김, 허버트
900 1 0 ▼a Ким, Герберт
900 1 0 ▼a 김, 게르베르트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092 2022z5 등록번호 1118632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 초, 전 세계를 뒤흔든 격랑에 온몸으로 부딪쳤으나 끝내 역사에 묻힌 한 청년의 기록. 굴곡진 시대를 관통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진 한 청년의 삶의 궤적을 기록한 책이다. 일제 강점, 대공황, 소련의 스탈린 대숙청, 한국전쟁 등 시대의 격랑에 휘말려 희생된 김건후의 불운했던 삶을 파헤침으로써 참혹했던 역사의 비극을 되새긴다.

소용돌이치는 시대의 격랑 속으로 사라진 청년 ‘김건후’의 삶의 흔적을 파헤친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한국에서 태어나 독립운동에 몸 바친 부친을 따라 중국으로 망명했고, 미국 유학을 거쳐 소련의 스탈린 대숙청과 한국전쟁의 와중에 희생될 수밖에 없었던, 어느 젊은 한국인 청년의 비극적인 삶을 생생하게 기록한 책이다. 김건후가 한국전쟁 시기 납북된 뒤에 태어난 딸인 김재원 교수는 어머니인 정정식 교수로부터 전해진 기억, 소련 강제수용소에서의 생활을 기록한 김건후의 친필 수기, KGB(옛 소련 비밀경찰)와 미국 국립문서고(NARA II) 등에 보관되어있는 기밀문서와 자료들을 수집하면서 그의 행적을 추적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 김건후의 생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 독립운동가 김홍서의 아들로 태어난 김건후(金鍵厚)는 아버지를 따라 중국으로 망명하여 칭치엔허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게 된다. 미국으로 유학한 뒤에는 허버트 김(Herbert Kim)이라는 이름으로 광산학을 전공하였으며, 대공황으로 인해 소련으로 이주하여 광산기술자로서 활동하던 그는 스탈린의 대숙청에 휘말려 스파이라는 누명을 써 체포되고, 강제수용소에서 노역에 동원된다. 그의 재판 과정과 수용소에서의 혹독한 생활을 생생하게 기록한 친필수기를 통해 시베리아 굴락의 비인간적인 환경과 인권 유린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방 후 극심한 정치적 투쟁의 장으로 변한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공산주의에 동조적이라는 의심을 받아 이승만 정권으로부터 소외되었지만, 자신의 전공을 살려 광산 개발에 매진하다가 한국전쟁 발발 후 납북되어 여전히 생사도 밝혀지지 않은 채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사라지고 말았다.

격동의 시대, 개인의 비극이 던지는 시사점
김건후가 겪었던 파란만장한 삶은, 곧 당시 한국과 전 세계가 거쳐온 격동의 시대를 반영한다. 식민지가 되어버린 조국,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독립운동가들의 중국 망명, 미국의 대공황과 미·소 간의 정치 대립, 스탈린의 대숙청, 이념투쟁의 장이었던 해방기 한국.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삶과 행적을 기록하는 건 참혹했던 역사의 비극을 되새기며 반성하는 행위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숭희(엮은이)

뮌헨대학교(LMU)에서 정치학, 러시아사, 유럽사를 전공했다(박사). 한국 국방대학교 교수로 국제정치학, 동북아시아의 안보 정치 및 강대국의 외교를 강의했다. 현재 한국 국방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김재원(엮은이)

독일 뮌헨대학교(Ludwig-Maximilians-Universitat Munchen) 미술사학대학에서 학부과정을 마치고, 철학박사(미술사학)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에서 박사연구원을 지냈다. 인천가톨릭대학교에 재임하며 그리스도교미술학과(석사과정)와 그리스도교미술연구소 설립을 이끌었고, 조형예술대학 학장을 역임하였으며, 동 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책머리에 _ 김재원, 이숭희

I 서문 _ 히로아키 구로미야
1. 한국, 중국, 미국 그리고 러시아에서의 삶
2. 신념의 변화
3. 죽음, 생존 그리고 귀환
4. 실종

II 김건후의 생애 _ 이숭희
1. 김건후의 성장 과정과 아버지의 영향
2. 칭치엔허의 중국 생활
3. 허버트 김의 미국 생활
4. 시련의 소련 생활
5. 석방, 귀국, 그리고 납북
6. 무혐의 종결과 복권

III 시베리아의 유형수, 게르베르트 김의 악몽 _ 김건후
1. 체포, 재판, 사형수 감방의 9일
2. 알마아타 임시수용소, 즐라토우스트 정치범 수용소, 솔로베츠키 수용소
3. 쿠루폴다 수용소, 아르한겔스크 임시수용소
4. 보르쿠타로 이동, 보르쿠타의 초기 생활, 제2지구
5. 보르쿠타 수용소의 일상, 북극지역의 겨울, 제4지구, 제3지구
6. 갑작스런 호출, 보르쿠타 출발, 모스크바로 이동, 모스크바의 첫 폭격, 모스크바 감옥
7. 모스크바 출발, 오렌부르그를 거쳐 사마라(쿠이비셰프)로 이동, 소련 비밀경찰(NKVD)의 심문
8. 모스크바 재이송, NKVD 요원 면담, 쿠이비셰프 이송, 석방

IV 허버트 김 이야기 _ 레너드 버치

V 폴린의 기록 _ 폴린 김
1. 폴린이 루스벨트 영부인에게 보낸 탄원서
2. 폴린이 허버트에게 보낸 편지

VI 에필로그:안개 속 여정 _ 김재원
1. CSM 캠퍼스에서
2. 정정식과 결혼,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
3.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서

■ 김건후 연보
■ 사진 및 문서자료

관련분야 신착자료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