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467 | |
005 | 20220526151630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87433286 ▼g 03910 | |
035 | ▼a (KERIS)BIB000016089236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82 | 0 4 | ▼a 370.9519 ▼2 23 |
085 | ▼a 370.953 ▼2 DDCK | |
090 | ▼a 370.953 ▼b 2022z4 | |
100 | 1 | ▼a 이범직, ▼g 李範稷, ▼d 1942- |
245 | 1 0 | ▼a 조선 유교 교육 문화 / ▼d 이범직 지음 |
246 | 1 1 | ▼a The education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
246 | 3 1 | ▼a Education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
260 | ▼a 서울 : ▼b 문학의문학, ▼c 2022 | |
300 | ▼a 326 p. ; ▼c 23 cm | |
900 | 1 0 | ▼a Lee, B. J.,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953 2022z4 | Accession No. 1118632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 시대 유교 교육의 근간을 이뤘던 관학과 사학을 매우 자세하고 치밀하게 조사하고 연구해 놓았다. 역사서와 역사의식을 필두로 하여,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한 조선 시대에 교육 제도와 교육 과정, 교육 기관의 설치와 운영, 학생과 교생 선발, 과거 제도에 이르기까지 세밀한 분석을 통해 봉건 신분제 사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폭 넓은 교육과 선발이 이뤄진 부분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고구한다.
우리 한국사는 세계사이다!
임인년 새해에 이범직 교수가 조선 시대의 유교 교육과 문화에 대한 여러 편의 글을 모아서 한권의 책으로 발간해 내었다. 근래에 들어서 우리의 한류문화는 세계적인 문화 슈퍼 파워로 세계 시장에서 군림하고 있다. 이것은 오랫동안 우리의 역사 저변에 흐르고 있던 한국인의 얼과 혼과 흥과 따뜻한 마음이 격변하는 시대의 조류를 타고 밖으로 흘러나와서 세계인의 마음을 두드리고 폭 넓은 공감을 얻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물질문명보다 성숙한 정신문명을 이루는 데는 더 지난한 시간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인간적인 마음,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는 예의와 범절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오랜 역사적 축적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법치보다는 예악을 중시하고 인의를 모범으로 삼는 통치이념을 구현하였으며, 성균관과 사부학당, 서원, 향교, 서당 등, 관학과 사학을 중심으로 매우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교육이 이루어졌던 시대이다. 이 책에서 이범직 교수는 조선 시대 유교 교육의 근간을 이뤘던 관학과 사학을 매우 자세하고 치밀하게 조사하고 연구해 놓았다. 역사서와 역사의식을 필두로 하여,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한 조선 시대에 교육 제도와 교육 과정, 교육 기관의 설치와 운영, 학생과 교생 선발, 과거 제도에 이르기까지 세밀한 분석을 통해 봉건 신분제 사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폭 넓은 교육과 선발이 이뤄진 부분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고구한다.
역사 속에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인의 하늘을 경외하고 사람과 세상을 널리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어떻게 교육과 문화 속에서 실천되고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는 작업은 시대를 넘어서 더욱 필요한 일일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4 Ⅰ. 역사서와 역사의식.............................................9 Ⅱ. 전통적 교육문화의 창조적 계승..........................45 Ⅲ. 조선전기 유학교육과 향교의 기능.......................65 Ⅳ. 조선전기의 교생신분.........................................111 Ⅴ. 조선전기 서원의 교육기능.................................155 Ⅵ. 조선전기 사부학당의 성격..................................191 Ⅶ. 유교사상의 전래와 정립에 관한 연구...................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