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음악 교사와 음악 애호가를 위한)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이론과 실제

(음악 교사와 음악 애호가를 위한)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이론과 실제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민경훈, 1958- 정순영, 저
Title Statement
(음악 교사와 음악 애호가를 위한)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이론과 실제 / 민경훈, 정순영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어가,   2022  
Physical Medium
309 p. : 삽화 ; 24 cm
ISBN
979119110955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06-30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440
005 20230321115212
007 ta
008 220428s2022 ggka b 000c kor
020 ▼a 9791191109559 ▼g 93370
035 ▼a (KERIS)BIB000016073132
040 ▼a 224010 ▼c 224010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780.15 ▼2 23
085 ▼a 780.15 ▼2 DDCK
090 ▼a 780.15 ▼b 2022z3
100 1 ▼a 민경훈, ▼d 1958- ▼0 AUTH(211009)37459
245 2 0 ▼a (음악 교사와 음악 애호가를 위한)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이론과 실제 / ▼d 민경훈, ▼e 정순영 공저
246 1 1 ▼a Theory and practice for music appreciation and music criticism
260 ▼a 고양 : ▼b 어가, ▼c 2022
300 ▼a 309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306-309
546 ▼a 一部 韓英對譯
700 1 ▼a 정순영, ▼e▼0 AUTH(211009)63060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15 2022z3 Accession No. 1118632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저서는 학교의 음악교사와 음악 애호가들을 위해서 음악 감상과 비평에 관한 기본 지식과 실천 방법을 탐구한 인문서이다. 교사가 음악 감상과 비평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을 고안해 낼 수 있는 역량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음악 감상과 비평 학습에 관한 제반 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이 점에서 이 저서는 교사가 음악을 가르치는 데 필요로 하는 이론적 지식과 실천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담고자 노력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민경훈(지은이)

독일 뮌스터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음악교육학 총론』(3판, 공저, 학지사, 2017) 『음악사회학 원전 강독』(공편역, 심설당, 2006)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고찰을 통한 역량 제고」(2013)

정순영(지은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음악 감상의 이론

제1장 음악 감상의 이해

1. 음악 감상의 정의
2. 음악적 인식의 과정
3. 음악 감상의 태도
4. 음악 감상의 단계별 특성

제2장 음악 감상의 학습 방법

1. 음악 감상 학습의 필요성
2. 음악 감상 교육의 목적
3. 음악 감상 학습의 목표와 과제
4. 음악 감상의 지도 방법

제3장 음악 감상과 시각 자료

1. 음악 감상에서 시각 자료의 의미
2. 시각자료의 기능
3. 시각 자료의 다양한 형태

제4장 현대음악의 지도 방법

1. 현대음악 감상의 필요성
2. 현대음악 감상을 위한 전제 조건
3. 현대음악 지도 방법 연구
4. 〈바르샤바의 생존자〉의 단계별 지도 모형
5. 〈바르샤바의 생존자〉의 감상 지도 방법

제2부 음악 감상의 실제

제5장 다성 음악

1. 대위법의 이해
2. 바흐 〈인벤션 1번〉

제6장 표제 음악

1. 표제 음악의 이해
2.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중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제7장 중주곡

1. 중주의 이해
2. 힌데미트 〈5개의 관악기를 위한 작은 실내악〉 중 4악장

제8장 협주곡

1. 협주곡의 이해
2.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 1번 라장조〉
3.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제9장 소나타 형식

1. 소나타 형식의 이해
2.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나단조〉 ‘미완성’ 중 1악장

제10장 미뉴에트 형식

1. 미뉴에트 형식의 이해
2.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사단조〉 중 3악장

제11장 론도 형식

1. 론도 형식의 이해
2. 하이든 〈트럼펫 협주곡 내림마장조〉 중 3악장
3. 베토벤 〈바가텔 25번 가단조〉 ‘엘리제를 위하여’

제12장 예술가곡

1. 예술가곡의 이해
2. 슈베르트 〈송어〉
3. 슈베르트의 연가곡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

제13장 서곡

1. 서곡의 이해
2. 주페의 〈경기병 서곡〉
3. 로시니 〈윌리엄 텔 서곡〉
4. 차이콥스키 〈1812년 서곡〉

제14장 교향시

1. 교향시의 이해
2. 시벨리우스 〈핀란디아〉

제15장 변주곡

1. 변주곡의 이해
2. 모차르트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

제16장 미분음 음악

1. 밀집음군과 미분음의 이해
2. 펜데레츠키 〈히로시마의 희생자를 위한 애가〉

제3부 음악 비평의 이론

제17장 음악 비평의 의미와 원리

1. 음악 비평의 의미와 필요성
2. 음악 비평의 원리

제18장 다양한 관점에서 본 음악 비평

1. 맥락의 관점에서 본 비평
2. 비평의 형태
3. 대상에 따른 비평 방법
4. 비평의 종류와 내용 체계
5. 공연 음악에 관한 비평

제19장 음악 비평가의 태도

1. 비평가의 역량
2. 비평가의 사명
3. 비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소

제20장 음악 비평의 방법

1. 음악 비평 학습의 조건
2. 수준에 따른 음악 비평 방법
3. 단계별 파토스 비평 방법
4. 감상곡 유형에 따른 음악 비평 방법
5. 시대별 음악의 비평 방법

제21장 음악 비평의 학습 이론

1.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비평 학습
2. 선곡의 대상 및 비평의 방향
3. 음악 비평에 관한 학습 이론
4. 음악 비평에 관한 수업 설계

제4부 음악 비평의 실제

제22장 이론 비평

1. 이론 비평의 이해
2. 바흐 〈프렐류드 1번 다장조〉
3. 헨델 〈메시아〉
4. 아이브스 〈고향 시절〉

제23장 실전 비평

1. 실전 비평의 이해
2.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1번 가장조〉 중 3악장
3.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다단조〉 ‘비창’
4. 슈만 〈나비〉
5. 쇼팽 〈야상곡 15번〉
6. 브람스 〈헝가리 무곡 5번〉

제24장 인상 비평

1. 인상 비평의 이해
2. 버르토크 《미크로코스모스》 제4권 중 〈양손 교차〉
3. 정순영 〈모란이 피기까지는〉
4. 백남준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연습곡〉

제25장 재단 비평

1. 재단 비평의 이해
2.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
3. 드뷔시 《베르거마스크 모음곡》 중 제3곡 〈달빛〉

제26장 영화 음악 비평

1. 영화 음악의 개념
2. 영화 〈더 박스〉
3. 영화 〈미나리〉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