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현희, 李賢熙, 1957-, 저 이준식, 李俊植, 1956-, 저 김나영, 저 이상혁, 李商赫, 1967-, 저 백두현, 白斗鉉, 1956-, 저 최경봉, 崔炅鳳, 1965-, 저 박걸순, 朴杰淳, 1959-, 저 김병문, 金炳文, 1974-, 저 이지원, 李智媛, 1960-, 저
서명 / 저자사항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 이현희, 이준식 외
발행사항
[고양] :   가갸날,   2021  
형태사항
307 p. : 삽화 ; 22 cm
총서사항
한글학술도서 ;1
ISBN
9791187949824
일반주기
공저자: 김나영, 이상혁, 백두현, 최경봉, 박걸순, 김병문, 이지원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422
005 20230309162446
007 ta
008 220428s2021 ggka 000c kor
020 ▼a 9791187949824 ▼g 93710
035 ▼a (KERIS)BIB000016159851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495.711 ▼2 23
085 ▼a 497.11 ▼2 DDCK
090 ▼a 497.11 ▼b 2021z18
245 0 0 ▼a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 ▼d 이현희, ▼e 이준식 외
246 3 ▼a 위대한 유산 한글 오백팔십년의 여정
260 ▼a [고양] : ▼b 가갸날, ▼c 2021
300 ▼a 307 p. : ▼b 삽화 ; ▼c 22 cm
490 1 0 ▼a 한글학술도서 ; ▼v 1
500 ▼a 공저자: 김나영, 이상혁, 백두현, 최경봉, 박걸순, 김병문, 이지원
700 1 ▼a 이현희, ▼g 李賢熙, ▼d 1957-, ▼e▼0 AUTH(211009)54352
700 1 ▼a 이준식, ▼g 李俊植, ▼d 1956-, ▼e▼0 AUTH(211009)67833
700 1 ▼a 김나영, ▼e
700 1 ▼a 이상혁, ▼g 李商赫, ▼d 1967-, ▼e▼0 AUTH(211009)88913
700 1 ▼a 백두현, ▼g 白斗鉉, ▼d 1956-, ▼e▼0 AUTH(211009)75991
700 1 ▼a 최경봉, ▼g 崔炅鳳, ▼d 1965-, ▼e▼0 AUTH(211009)130033
700 1 ▼a 박걸순, ▼g 朴杰淳, ▼d 1959-, ▼e▼0 AUTH(211009)64326
700 1 ▼a 김병문, ▼g 金炳文, ▼d 1974-, ▼e▼0 AUTH(211009)92145
700 1 ▼a 이지원, ▼g 李智媛, ▼d 1960-, ▼e▼0 AUTH(211009)126008
830 0 ▼a 한글학술도서 ; ▼v 1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1z18 등록번호 1118631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글학술문고 1권.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당시부터 한말과 일제시기의 한글운동, 그리고 한글의 세계화까지를 전문연구자들이 함께 서술한 책이다. 한글은 창제자가 밝혀진 세계 유수의 언어다. 한류를 정점으로 하는 한국의 국력과 한국문화의 힘이 커지면서 세계 언어로서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런 만큼 우리 민족의 한글에 대한 자긍심도 남다르다. 하지만 우리는 한글을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훈민정음》 해례본에 창제목적이 서술되어 있듯이, 한글은 분명 백성을 위한 문자다. 훈민정음이 창제되던 때는 한자를 중심으로 한 중세적 어문질서가 강고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세계질서 속에서 한글이 창제된 배경에 대해서는 좀더 깊은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한글 연구에 매진하는 이유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당시부터 한말과 일제시기의 한글운동, 그리고 한글의 세계화까지를 전문연구자들이 함께 서술한 책이다. 한글은 창제자가 밝혀진 세계 유수의 언어다. 한류를 정점으로 하는 한국의 국력과 한국문화의 힘이 커지면서 세계 언어로서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런 만큼 우리 민족의 한글에 대한 자긍심도 남다르다. 하지만 우리는 한글을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훈민정음》 해례본에 창제목적이 서술되어 있듯이, 한글은 분명 백성을 위한 문자다. 훈민정음이 창제되던 때는 한자를 중심으로 한 중세적 어문질서가 강고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세계질서 속에서 한글이 창제된 배경에 대해서는 좀더 깊은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한글 연구에 매진하는 이유다.
한편 한글은 창제 당시는 물론 대중의 생활글로 퍼져나가는 과정에서 숱한 장벽과 간난신고를 겪어야 했다. 간단치 않은 여러 장벽을 뚫고 한글은 어떻게 대중 속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을까? 조선시대에 한글 사용자층은 누구이며 한글 교육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을까? 대한제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한글은 어떻게 단숨에 우리 언어생활의 중심에 설 수 있었을까? 그 속에서 한글운동을 펼치고 한글을 지켜낸 선각자들의 지난한 움직임은 어떻게 펼쳐졌던 것일까? 해방후 남북에 서로 다른 체제가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큰 이질화 없이 남북이 언어적 동질성을 갖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이 책은 이 모든 의문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자매편으로 한글학술문고2 《한글, 문해력, 민주주의》가 있다.

저자 소개
이현희(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이준식(전 독립기념관장)
김나영(여주이주민지원센터 한글학교장)
이상혁(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
백두현(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최경봉(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박걸순(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병문(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
이지원(대림대학교 교수, 역사학)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여주세종문화재단(엮은이)

김하수(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최경봉(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성우(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강사) 신동일(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아미(경인교대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연구원) 김한수(사단법인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하승우(이후연구소 소장)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이재영(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 서현숙(삼척여고 국어 교사) 장주식(여강길 대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훈민정음 창제부터 한글의 세계화까지

세종의 한글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이현희
한글운동의 역사적 의의 이준식
대중문화로 만난 한국, 한글로 소통하다 김나영

한글 창제와 민본정치

훈민정음 창제와 집현전 학자들에 대하여 이상혁
훈민정음의 교육과 확산 백두현
한글의 지방 보급과 백성의 참여 최경봉

한글 사랑과 조선의 독립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어문민족주의의 발양 박걸순
주시경의 어문 운동 전략에 관하여 김병문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 이지원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