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요즘 아이들 학급 집단 심리의 비밀 : 교사가 알아야 할 '51가지 학급 운영의 지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현수, 1966-, 저 구소희, 저 조교금, 저 최미파, 저 하상범, 저
서명 / 저자사항
요즘 아이들 학급 집단 심리의 비밀 : 교사가 알아야 할 '51가지 학급 운영의 지혜' / 김현수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Visang :   비상교육,   2022  
형태사항
241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
9791166097249
일반주기
공저자: 구소희, 조교금, 최미파, 하상범  
부록: 1. 학급 경영을 위한 작지만 중요한 환경과 공간에 관한 정보들, 2. 관계 증진을 위한 학급 공간 구성, 3. 학급 집단 심리 51가지 지혜와 실천, 현장에서 적용해보기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38-24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4375
005 20230307172311
007 ta
008 220428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91166097249 ▼g 13370
035 ▼a (KERIS)BIB000016155610
040 ▼a 243009 ▼c 243009 ▼d 211009
082 0 4 ▼a 371.1024 ▼2 23
085 ▼a 371.1024 ▼2 DDCK
090 ▼a 371.1024 ▼b 2022
245 0 0 ▼a 요즘 아이들 학급 집단 심리의 비밀 : ▼b 교사가 알아야 할 '51가지 학급 운영의 지혜' / ▼d 김현수 [외]지음
260 ▼a 서울 : ▼b Visang : ▼b 비상교육, ▼c 2022
300 ▼a 241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500 ▼a 공저자: 구소희, 조교금, 최미파, 하상범
500 ▼a 부록: 1. 학급 경영을 위한 작지만 중요한 환경과 공간에 관한 정보들, 2. 관계 증진을 위한 학급 공간 구성, 3. 학급 집단 심리 51가지 지혜와 실천, 현장에서 적용해보기 외
504 ▼a 참고문헌: p. 238-241
700 1 ▼a 김현수, ▼d 1966-, ▼e▼0 AUTH(211009)98568
700 1 ▼a 구소희, ▼e
700 1 ▼a 조교금, ▼e
700 1 ▼a 최미파, ▼e
700 1 ▼a 하상범,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1024 2022 등록번호 1118631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급은 집단이다!교사는 집단 작업자이다!" 학교 폭력 예방, 존중하는 학급 문화, 소외되는 학생이 없는 교사와 학생 모두 행복한 학급 사회심리학의 51가지 지혜와 교사들의 실천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에 소개된 51가지 지혜는 원격 연수를 진행하면서 선생님들께서 가장 많이 질문하시고, 가장 원칙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시는 내용들을 정리해서 새로 만든 것이다. 아주 상식적인 것이지만 원칙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학급 운영을 개인의 관점이 아닌 새로운 관점으로 보고자 하는 선생님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 개인에서 학급으로, 집단 심리로
- 개인에서 또래 관계의 관점으로
-개인을 가르치는 교사에서 집단을 가르치는 교사로

교사는 집단 작업자, group worker입니다. 그렇지요? 그런데 제대로 훈련 받아보신 적이 있나요? 20명에서 30명에 이르는 아이들이 모여 있는 학급을 제대로 움직이는 방법을 말입니다. 이런 질문을 받고 자신에게 되물으면 상당히 당황스러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집단은 단순히 개인의 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그 어떤 집단도 그런 경우는 없습니다.
한 명, 한 명의 착한 아이가 집단의 일원이 되면 잔혹하게 변하기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혼자 있을 때는 아무 말도 못하면서 무리 안에 있을 때는 욕설을 내뱉으면서 소리치는 그 심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교실과 교무실에서 순식간에 달라지는 아이들의 태도는 집단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학급에 들어가면 아이들이 집단적으로 "우~~~" 하는 소리와 함께 군중으로서 집단행동을 할 때 교사는 20~30명의 아이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학생들의 집단행동으로 학급 운영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학급을 집단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관점에서 학급을 바라보고자 이 책을 쓰고 또 연수 과정을 만들었습니다. 일차적으로는 사회심리학 그리고 집단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집단의 병리학적 이해와 정신 의학적 접근은 아마 다음 기회에 더 심도 깊게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이번 작업도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학급을 개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책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급을 집단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고 접근하려는 책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책이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고 향후 이 분야의 논의가 확산되기를 바라는 애석한 마음을 여러 독자분들에게 전하는 바입니다.

이 책에 소개된 51가지 지혜는 원격 연수를 진행하면서 선생님들께서 가장 많이 질문하시고, 가장 원칙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시는 내용들을 정리해서 새로 만든 것입니다. 아주 상식적인 것이지만 원칙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실을 바라보는 관점은 여전히 개인의 관점이 지배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아이들 개개인이 합쳐져 집단이 될 때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낳습니다. 긍정적인 면에서도 그렇고, 부정적인 측면에서도 그렇습니다.
집단은 개인의 합이 아니라는 사실에 기초해서, 집단에서의 잔혹성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는 사람들, 군중의 폭력성을 연구하는 사람들, 일본에서 학교 폭력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교실 카스트를 말할 때, 모두 놀라워하는 것은 그 연약하고 착하고 순수한 개인으로서의 각 가정의 자녀들이 또래 집단이라는 장에서, 교실이라는 집단의 장에서, 학교라는 또래들이 대거 모인 군중의 장에서, 우리가 알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변합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그 환경에 들어오면 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또한 집단이 모이면 어떻게 집단 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는지, 혼자 할 수 없는 일을 함께 모여서 해낼 수 있는지,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고 했는데, 그 과정에서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집단의 강점이 무수히 많기 때문에 우리는 각자 살지 않고 모여서 생활하기 위해 집단을 조직합니다. 그 장점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 응집, 촉진, 자신감, 정체감, 유능감, 소속감 등입니다. 이는 집단에 소속된 개인을강화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부디 이 책이 신규 선생님을 포함한 여러 선생님들에게 학급을 새롭게 만나고, 어려운 학급을 다시 돌아보는데 도움이 되길 빕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현수(지은이)

1966년 서울 출생.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교수. ‘성장학교 별’ 교장, 사단법인 ‘별의친구들’ 상임이사. 대한민국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사랑으로 다가서는 전문가로, 사춘기 자녀와 부모님 사이에서 청소년기를 통역하는 ‘사춘기 통역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공중 보건의로 소년 교도소에 근무하면서 ‘문제 행동은 심리적 구조 신호’라는 것을 절감하고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어려운 성장기를 보냈던 봉천동에서 ‘사는기쁨 신 경정신과’를 열면서 청소년들과 본격적으로 만나기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사재를 털어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위한 치유형 대안 학교 ‘성장학교 별’을 세워 지금까지 교장을 맡고 있다. 게임 중독, 은둔형 외톨이, 학교 폭력, 느린 학습자, 자해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청소년들의 어려움과 함께해 왔다. 교사들에게도 관심이 많아 ‘프레네 교육학’을 중심으로 공교육 교사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2018년 이후에는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을 창립하여 애착 이론을 중심 으로 함께 공부하고 있다. 2011년 명지병원으로 자리를 옮겨 경기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부 중앙심리부검센터,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등에서 센터장으로 활동했으며, 코로나 시기에는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단장을 맡았다. KBS 「아침마당」, EBS 「부모클래스」, 「세바시」 등에 다수 출 연한 바 있으며, ‘별’ 학교 운영의 공로로 2021년 교보재단에서 주는 참사람 대상을, 느린 학습자, 경계선급 청년들의 인권을 확대하는 활동을 인정받아 2022년 태평양-동천재단이 주는 태평양 공익 인권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무기력의 비밀』,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공부상처』,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등이 있다. 진료, 교육, 강연 등 1인 10역을 소화하느라 깔끔한 의사 가운을 입는 날보다 덥수룩한 머리에 어깨에는 커다란 백팩을 멘 채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 날이 더 많다. “환자는 물론이고 환자의 환경까지 관심을 갖고 치료해 주는 의사가 되 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구소희(지은이)

인천 삼산초등학교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으로 배움을 학생들과 실천하고 동료 교사들과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큰 보람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초등상담교육연구회, 학급긍정훈육법 등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함께 운영하였고, 관계중심 생활교육지원단, 민주시민교육 아카데미, 사회정서학습(SEL) 선도교사, 교육과정-수업-평가 통합지원단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읽고, 쓰고, 성찰하며 자신과 세상을 알아가는 활동을 의미 있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만든 책으로는 『요즘 아이들 학급 집단 심리의 비밀』, 『민주주의자들의 교실: 실천편』 등이 있습니다.

조교금(지은이)

아이들과 마주보고 함께 실천하고 배우고 성장을 나눌 수 있음에 늘 감사한 초등 교사이다.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 인천 생활교육지원단, 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 그림책연구회, 민주시민교육 아카데미에서 활동과 강의 지원을 하며 오늘도 아이들과 동료들과 삶이라는 정원을 함께 가꾸어간다. 함께 만든 책으로 &lt민주주의자들의 교실: 철학편&gt, &lt초등그림책문해력수업&gt, &lt마음이머무는그림책한문장&gt등이 있다.

최미파(지은이)

학창시절 학교에서 경험한 사랑을 전하는 교사가 되고 싶은 초보 영어교사다. 교직 첫해에 고등학교 2학년 담임교사를 맡아 각기 다른 아픔을 지닌 학생들의 마음과 학급 문화를 알아가며 파란만장한 시간을 보냈다. 아이들을 더 잘 이해하고 싶어서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에 들어와 공부하며 성장하고 있다. 서울 보성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며, ‘덕분에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하상범(지은이)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과 학급 운영에 보람을 느끼고 있다. 어려운 역사를 학생들이 친근하게 받아들이며,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수업을 하고 있다. 참신한 교육활동으로 학생들과 즐겁게 만나기 위해 토론, 수업비평, 교육연극 분야 연구회 활동에 참여하며,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 학교 안의 다양한 관계 문제를 이해하고자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에 들어와 선생님들과 함께 배우며 성장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학급을 공동체로 변화시키는 51가지 지혜

1부. 학급 집단의 이해와 발달
1. 선생님, 집단 좀 다룰 줄 아시나요? - 김현수
2. 학급의 집단성을 만드는 3가지 재료 - 김현수
3. 교사의 리더십과 학급 빛깔 - 구소희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1:존 쉰들러가 제시하는 교사 리더십 유형
4. 학급 생활에 대한 기대는 모두 다르다 - 김현수
5. 학급은 발달한다 - 구소희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2:학급의 발달과 협력 단계
6. 초등 학급의 4계절 - 구소희 ㆍ 조교금
7. 중등과 고등 학급의 4계절 - 최미파 ㆍ 하상범

2부. 학급과 또래, 관계와 구조의 이해
1. 학급에서의 관계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김현수
2. 또래 집단을 통해 본 학급의 역동적 구조 - 김현수
3. 관계 공격과 학급 내 서열 구조의 이해 - 조교금
4. 또래 관계의 인기, 수용과 거부 - 김현수 ㆍ 조교금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3:친구 관계의 인기와 수용의 발달
5. 어른들은 모르는 또래들의 은밀한 규칙 - 하상범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4:또래 압력과 또래에게 가해지는 집단의 규칙

3부. 행복하고 역량 높은 학급의 비법, 소속감과 응집성
1. 학급 소속감은 자긍심, 정체감까지 강화한다 - 김현수
2. 학급 소속감을 높이는 비법 - 김현수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5:재미없는 일을 어떻게 똘똘 뭉쳐서 하면 잘할 수 있는가?
3. 학급 응집성과 우정의 관계 - 최미파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6:우정과 학급 응집 사이의 법칙 플러스 알파
4. 학급 활동 참여를 높이는 비법 - 최미파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7 : 학급에서 함께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응집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8 : 학급 활동 참여 향상 6가지 방법 요약

4부. 학급 집단 심리 해결의 키워드, 의사소통
1. 학급에서의 집단들은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가? - 김현수
2. 학급 토론은 준비가 필요하다 - 김현수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9:방관자 효과 / 투표하지 않는 학교
3. 학급 모두가 잘못된 결정을 내렸다,집단 사고와 집단 지성의 차이 - 김현수
〃학급 집단 심리 이해를 위한 학습 선물 10:학급 운영 실패의 4가지 흐름 / 집단 지성의 구성 요소들
4. 학급의 분열, 관계의 악화 - 김현수
5. 학급 내 갈등과 갈등 해법 찾기 - 김현수
6. 학급 세우기 - 민주적 학급 운영 - 구소희
7. 학급에서의 토론 만들어가기 - 하상범
8. 서로 존중하는 학급 약속 만들기 - 구소희 ㆍ 조교금 ㆍ 최미파 ㆍ 하상범
9. 학급 회의로 소통하는 학급 만들기 - 구소희 ㆍ 조교금 ㆍ 최미파 ㆍ 하상범

에필로그

부록
1. 학급 경영을 위한 작지만 중요한 환경과 공간에 관한 정보들 - 김현수
2. 관계 증진을 위한 학급 공간 구성- 구소희 ㆍ 최미파
3. 학급 집단 심리 51가지 지혜와 실천, 현장에서 적용해보기 - 조교금
4. 학교 공동체에서의 분열과 투사적 동일시 - 김현수

참고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