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젖지 않는 기억은 그림자를 앓는다
어느 날은 아무거나였다가 _ 019
별의 미장센 _ 020
어둠의 샅에 귀 하나 새겨 넣고 _ 022
난젓 _ 024
고래 해체사 _ 026
잉여인간 _ 028
모과나무 아래서 _ 030
복쌈 _ 032
허물이라는 허물 _ 034
샛강에 귀 하나 던져두고 _ 036
노숙의 별은 뉘 집 평상에 잠을 뉘일까 _ 038
그 붉음에 대하여 _ 040
조강 _ 042
2부 소란한 수화
몽골반 _ 047
백색왜성 _ 048
추락, 그 후 _ 050
마네킹 _ 052
웅어 _ 054
슬픔의 까끄라기 _ 056
남겨진 고추장독에 대한 단상 _ 058
자서의 거리 _ 060
두부 _ 062
그때, 오이지 _ 064
봄밤의 일기 _ 066
단디 해라 _ 068
붓꽃척사 _ 069
3부 아무것도 아닌 우리
도깨비바늘 _ 073
향일암 _ 074
곡두 _ 076
갯땅쇠가 천민이다 _ 078
샛길로 오는 입동 _ 080
역마살 독설 _ 082
황산도 _ 084
아무것도 아닌 우리 _ 086
소금쟁이 문장 _ 088
김장화엄 _ 090
7분의 계절 _ 092
조강 _ 094
덖다 _ 095
4부 생채기가 시간을 흔들던 때
멜젓 _ 099
골목 크로키 _ 100
한하운 시인 _ 102
사려니숲 _ 104
석류의 문장 _ 106
건너가는 홍시 _ 108
수종사 풍경 _ 109
북어 북어 _ 110
물집 _ 112
봉숭아 _ 114
아버지는 아버지인 줄 모르고 _ 115
대명포구 _ 116
평화누리길 1 _ 118
평화누리길 2 _ 120
해설 _ 슬픔의 비기悲器에 채워진 “어느 날 아무거나”의 갸륵함 _ 123
우대식(시인)